석박사 대체복무제도, 전문연구요원
오늘은 전문연구요원(전문연) 대체복무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문연구요원 제도란?
군복무 대체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자연계 석박사 졸업생들이 군복무 기간을 대체하여 연구기관에서 연구개발활동을 수행하는 제도입니다.
병역자원 일부를 군 필요인원 충원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병무청장이 선정한 지정업체에서
3년간 연구인력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하는 병역대체복무제도입니다.
전문연구요원 제도의 목적은?
석박사 등 고급인력에게 학문과 과학기술의 지속적인 연구기회를 부여하여 국가산업의 육성 및 발전에 기여하자는 목적을 지니고 있습니다.
전문연구요원의 복무 방식은?
전문연구요원, 전문연의 근무 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첫째로, 정부에서 정한 전공에 해당하는 석사 학위 이상을 취득(수료는 불인정)하고
편입 후부터 지정 업체에서 3년간 근무하는 경우입니다.
둘째로, 병역판정검사 4급일 때 이공계열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중소기업 부설연구기관에서 편입 후 3년간 근무하는 경우입니다.
마지막으로, 이공계열 박사 과정에 재학하면서 편입 후 3년 이상 수학하는 경우입니다.
첫 번째 경우와 두 번째 경우를 일컬어 ‘석사 전문연구요원’이라고 칭하며, 마지막 경우를 ‘박사 전문연구요원’이라고 칭합니다.
전문연구요원의 선발 기준은?
전문연은 TEPS 성적, 대학원 학점을 기준으로 선발됩니다.
* 전문연구요원 추천 기관
2024.07.30 (Tue)
커리어향상
석박사 논문 합격률 높이는 법: 논문 통과 실전 가이드
석·박사 과정에서 논문은 단순한 과제가 아니라 졸업과 학계 진출의 필수 관문입니다. 오늘은 논문 합격률을 높이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법을 정리해 드립니다. 1. 논문의 합격률을 결정짓는 요소논문 심사는 단순히 연구 성과만 평가하지 않습니다.심사위원이 논문을 심사할 때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1) 적합한 저널 선택· 연구 주제와 저널의 일치도: 논문은 연구 주제와 저널의 scope(범위)이 일치해야 합격률이 높아집니다. AI 연구라면 공학 일반 저널보다 AI 전문 저널이 적합합니다.· 저널의 임팩트 팩터 확인: 임팩트 팩터가 높은 저널은 심사 기준이 엄격하며 경쟁률도 높습니다. 연구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해 적합한 저널을 선택하세요· 합격률과 게재 주기 분석: 저널마다 연평균 합격률과 논문 게재까지 걸리는 시간이 다릅니다. 게재까지의 소요 시간을 고려해 계획적으로 선택하세요.2) 연구 주제의 독창성과 기여도· 연구 차별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명확히 짚고, 이를 보완하거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연구라는 점을 강조하세요. 독창성은 논문의 합격률을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학문적 기여도: 연구 결과가 학문적, 산업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기존 이론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는지 명확히 서술해야 합니다.· 문제 해결형 접근: 연구 질문이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심사위원들에게 더 높은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2. 논문 합격률 높이는 구체적인 전략1) 철저한 사전 조사· 최신 연구 흐름 파악: 최근 3~5년간의 핵심 논문을 분석하고 연구 분야의 최신 트렌드와 이슈를 파악하세요. · 목표 저널 분석: 투고할 저널의 최근 논문을 검토하여 해당 저널이 어떤 연구를 선호하고, 어떤 연구 스타일을 요구하는지 확인하세요. · 참고문헌 선정의 정교화: 논문 작성 시 관련성 높은 문헌을 인용하여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강화하세요.2) 명확한 연구 목적과 가설 설정·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연구 질문: 연구 질문이 모호하면 독자와 심사위원이 혼란을 느낍니다. “이 기술이 효과적인가?”와 같은 모호한 질문보다는 “이 기술이 X 환경에서 Y를 얼마나 개선하는가?”와 같이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합니다.· 선행 연구 기반 가설 설정: 연구 가설은 선행 연구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시해야 설득력이 높아집니다. 가설을 설정할 때는 기존 연구와 데이터를 활용하여 충분한 근거를 제시해야 연구 설계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연구 목표와 기대효과의 명확성: 연구가 궁극적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학문적 또는 실질적 기여도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서술하세요.3) 논리적 구성· 서론의 역할: 서론은 독자가 연구의 필요성을 이해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연구의 배경, 문제 정의, 목적을 간결하게 정리합니다.· 방법론의 투명성: 데이터 수집 과정, 실험 설계, 분석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되, 불필요한 내용은 생략해 간결함을 유지하세요.· 결과와 논의의 연결성: 결과를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연구 질문 및 가설과 연결해 심층적으로 논의해야 합니다. 특히 결과의 의미와 한계를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연구 기여도, 한계점,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세요. 3. 심사위원의 관점을 고려한 논문 작성1) 심사위원들이 중점적으로 보는 평가 기준· 명확한 연구 동기: 심사위원들은 연구가 왜 중요한지,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인지 명확하게 제시된 논문을 선호합니다.· 결과의 재현 가능성: 실험 설계와 데이터 분석 방법이 재현 가능한지 여부는 논문의 신뢰도를 좌우합니다. 구체적이고 투명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문헌 인용의 적합성: 최신 연구를 포함한 관련 문헌을 적절히 인용했는지 여부도 평가 요소 중 하나입니다.2) 자주 지적받는 실수· 서론의 불완전함: 연구 질문과 가설이 서론에 명확히 포함되지 않으면 심사위원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결과 해석 부족: 데이터를 단순히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연구 질문과 연관 지어 해석해야 합니다.· 기본 형식 위반: 저널의 템플릿과 포맷을 준수하지 않으면 리젝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4. 합격률을 높이는 실전 꿀팁1) 투고 전 피드백 받기· 지도교수 및 동료 리뷰(피어 리뷰*): 초안을 완성한 후, 반드시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세요.* 피어 리뷰(Peer Review): 특정한 학문 분야의 동료 전문가들에게 연구자 본인의 논문을 평가받고 리뷰 코멘트를 듣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TIP: 심사위원과 비슷한 배경을 가진 연구자에게 피드백을 받으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전문 교정 서비스: 영어 논문의 경우, 문법과 어휘를 다듬기 위해 전문 교정 서비스를 활용하세요.2) 저널의 가이드라인 철저히 준수하기· 포맷팅 확인: 저널 요구사항(폰트, 간격, 참고문헌 형식 등)을 철저히 따라야 합니다.· 투고 시스템 적응: 저널 투고 시스템을 사전에 익혀두면 시간 절약이 가능합니다. 5. 실패 후 재도전 전략1) 리젝 사유 철저히 분석하기· 코멘트 정리: 심사위원의 피드백을 분석해, 어떤 점이 부족했는지 확인하세요. 피드백은 향후 수정 방향을 제시해 주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데이터 보완: 데이터 부족이 리젝 사유라면, 추가 실험이나 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강화하세요. 이는 논문의 신뢰도를 높이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입니다.· 논리 강화: 논리적 연결이 약했던 부분을 보완하고, 심사위원의 지적 사항을 구체적으로 반영하세요.2) 다른 저널로 재투고하기· 저널 수준 조정: 리젝된 논문이라도 연구 성과가 뛰어나다면, 다른 저널로 재투고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다만, 저널의 요구사항에 맞춰 논문을 수정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수정 후 재투고: 동일 저널에 다시 투고할 때는 이전의 피드백을 반영했음을 명확히 설명하고, 수정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세요.6. 자주 묻는 질문 (FAQ)Q1. 심사위원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논문은 어떤 논문인가요?논문 구조가 명확하고, 연구 결과가 기존 학문에 기여하며, 논리가 잘 연결된 논문입니다.Q2. 논문 투고 전에 제목과 초록을 어떻게 작성해야 하나요?· 제목의 간결성과 명확성: 논문의 핵심 내용을 간결하게 표현하며, 연구의 독창성을 드러내세요. 예: “Machine Learning for Climate Forecasting” 대신, “Deep Learning Models for Enhanced Climate Prediction in X Region”처럼 구체적으로 작성· 초록의 구성: 연구배경, 목적, 방법, 주요 결과, 기여도를 포함해야 합니다. 초록은 독자가 논문의 가치를 판단하는 첫 번째 기준이므로, 연구의 기여도를 명확히 서술하세요.· 키워드 포함: 초록에 적절한 키워드를 포함해 검색 가시성을 높이세요.Q3. 논문 리젝 후 동일 저널에 다시 투고할 수 있나요?동일 저널에 재투고는 가능하지만, 이전 심사위원의 피드백을 철저히 반영하고 수정 여부를 명확히 밝혀야 합니다. 커버레터에 수정된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세요.예: “추가 실험을 통해 데이터 신뢰도를 높였으며, 결과를 4.2절에 새롭게 포함했습니다.”Q4. 연구 데이터가 부족하다고 평가받았을 때 대처법은?· 추가 데이터 확보: 실험을 추가로 설계하거나 기존 데이터를 보완하세요.· 데이터 시각화 강화: 부족한 데이터를 보완하기 위해 그래프, 표, 그림 등을 활용해 데이터 해석을 돕는 시각적 자료를 추가하세요.· 한계점 인정: 데이터가 부족한 부분은 한계점으로 명시하며, 이 부분이 연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세요. 석·박사 논문은 연구 성과를 학문적으로 인정받는 중요한 기회입니다.오늘 소개한 전략들을 활용해 논문 합격률을 높이고, 연구 성과를 만들어 보세요.▼ 클릭하고 더 많은 석·박사 관련 정보 확인하기· 석·박사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 대학원생을 위한 연말정산 가이드· 해외 박사 과정 장학금 정보
커리어향상
석사 취업, 사기업 vs 정출연 vs 지자체 vs 대학교 연구원
이번 아티클에서는 석사 졸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취업 방향 네 가지를 정리했습니다. 석사 졸업을 앞두고 진로를 고민하고 있거나, 대학원 석사 진학을 고려하고 있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되실거예요.먼저, 석사 졸업 후 진로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1. 사기업의 R&D 부서에 소속되어 기업의 신기술 연구 수행2. 정부출연연구소 및 공공기관의 석사급 연구원이 되어 국가적 연구 수행3. 지자체에 소속되어 지역 발전을 위한 연구 수행4. 대학교 연구실에 소속되어 관심 분야 연구 수행*아래 정리한 내용은 일반적인 경향성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각 기관, 직무,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 참고해주세요!1. 사기업 연구원추천 대상· 실용적인 연구 결과를 시장에서 빠르게 적용하고 싶은 사람.· 나의 연구를 통해 기업의 성장과 수익 창출에 기여하고 싶은 사람.하는 일· 시장 조사 및 분석: 신제품 개발을 위해 시장 요구와 트렌드를 분석하고, 전략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신제품 및 기술 개발: 기업의 R&D 부서에서 신제품 개발 및 기술 혁신을 주도.· 기술 상업화: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제품화 과정에서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 상업화 전략을 지원.직업 특성· 성과 중심: 연구 성과가 기업의 매출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므로 경쟁이 치열.· 연봉: 비교적 높은 연봉과 성과금· 실용성 강조: 연구가 상업적으로 활용 가능해야 하며, 학문적 성과보다 실용적 결과를 중시.박사급 사기업 연구원과의 비교· 박사급 연구원은 연구 기획과 전략 수립에 중점을 두고, 프로젝트 리더 역할을 수행.· 석사급 연구원은 실무 중심의 연구 및 데이터 분석, 초기 설계 등을 담당.· 박사급은 연봉과 보상이 높으며, 기술적 리더십을 요구받는 경우가 많음.커리어 패스 연구원 → 선임 연구원 → 팀장 → R&D 부서장 → 최고기술책임자(CTO).[TIP] 박사 이후의 진로가 궁금하신가요?박사 취업, 교수 vs 정출연 vs 사기업 3분 요약아티클이 도움이 되실거예요.2. 정부출연연구소/공공기관 연구원추천 대상· 국가 전략과 공익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싶은 사람.·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에서 연구를 지속하고 싶은 사람.하는 일· 공공 연구 과제 수행: 국가 정책에 따라 특정 기술이나 분야의 연구 수행. · 보고서 및 논문 작성: 연구 결과를 학술지에 발표하거나 정부에 보고.· 산학연 협력: 산업계, 학계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 개발 및 이전.직업 특성· 안정성: 정규직 채용 시 정년 보장. 비교적 안정적인 연구 환경 제공.· 자율성 제한: 연구 주제가 정부의 전략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음.· 연구 자금 안정성: 정부 지원으로 연구비 확보가 비교적 수월.박사급 정출연, 공공기관 연구원과의 비교· 박사급 연구원은 연구 과제의 주도적 설계와 국제 협력 프로젝트 등 전략적 업무를 담당.· 석사급 연구원은 데이터 수집과 실험 수행, 보고서 작성 지원 역할을 맡아 실질적인 실행을 담당.· 박사급은 외부 발표와 고차원적 의사결정 참여 비율이 높음.커리어 패스 선임 연구원 → 책임 연구원 → 연구소장 → 정부 정책 자문.[TIP] 정부출연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채용설명회에 다녀왔습니다.채용 담당자가 직접 설명하는 연구원 인재상을 확인해 보세요.3. 지자체 연구원추천 대상· 지역 사회나 특정 공공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싶은 사람.· 정책 연구 및 지역 개발 전략 수립에 관심이 있는 사람.하는 일· 지역 정책 연구: 해당 지역의 경제, 환경, 사회 발전을 위한 연구 수행.· 보고서 작성 및 제안: 정책 대안을 도출하고 지방 정부에 제안. · 지역사회 협력: 지역 주민, 산업체와 협력해 실행 가능한 방안 모색.직업 특성· 지역 특화 연구: 해당 지역의 특성과 요구에 따라 연구 방향 설정.· 안정성: 지방자치단체 산하 공공기관의 경우 안정성이 높음.· 연구 자율성: 공공기관보다 지자체 연구원이 연구 주제에 대한 자율성이 더 클 수 있음.박사급 지자체 연구원과의 비교· 박사급 연구원은 지역 정책 수립 및 연구 주제의 방향 설정을 주도.· 석사급 연구원은 분석 작업, 정책 실행 보조 등 실행 단계에서 실무를 중심으로 활동.· 박사급은 지역 정책 자문과 외부 협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커리어 패스 연구원 → 선임 연구원 → 책임 연구원 → 연구소장.4. 대학교 연구원추천 대상· 학계에서의 연구 경력을 더 쌓고자 하는 사람.· 박사 진학 여부를 고민 중인 사람.하는 일· 연구 과제 수행: 대학 또는 연구소의 프로젝트에 참여. · 논문 작성 및 발표: 연구 결과를 정리해 학술지에 발표.· 학생 지도: 학부 및 대학원생의 실험과 연구를 지원.직업 특성· 임시 계약직: 대부분 일정 기간 계약직으로 근무.· 학문적 성과 중시: 연구 성과와 논문 발표가 주된 평가 기준.· 박사 과정 연계: 연구 경험이 박사 과정 진학 시 도움이 됨. 석사 후 연구원은 학문적 경험을 쌓으며 박사 과정을 준비.커리어 패스· 석사 후 연구원 → 박사 과정 진학 → 포닥(박사 후 연구원) → 교수 또는 연구소 연구원.· 석사 후 연구원 → 사기업 또는 기관 연구원 취업 (석사 후 연구 경험과 논문 실적이 해당 취업에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음)석사 취업 현실이 궁금하다면?지금, 기업이 요구하는 석사급 연구원의 지원자격을 확인해보세요. 진학프로 인기 석사 공고를 모았습니다.각 공고에서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역량을 살펴보시면 성공적인 석사 취업에 가까워지실 거예요.*공고명을 클릭 하시면, 자세한 공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행정연구소 기후변화 피해비용 산정 박사급·석사급 연구원 모집 공고· [강원대학교] 바이오 신약 혁신 소재 융합 선도 연구 센터 석사급이상 연구원 채용 공고· [서울시립대학교] 화학물질빅데이터AI연구센터 (ChemBAI) 연구교수 또는 석사연구원 모집·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연구 분야 위촉연구원(석사급) 채용 공고· [한국산업기술시험원] 2024년 4분기 2차수 위촉계약직(행정, 연구직) 공개모집
지식백과사전
대학원 석박사 연구 커리어의 시작, 국내 우수 학회 모음집_의약학계열
대학원 연구 생활을 시작할 때,나에게 딱 맞는 전공·연구분야의 학회를 어디서 어떻게 찾아야할지 고민 중이실 텐데요.프로님들을 위해 KCI 등재학술지를 보유한 우수 학회를 전공계열별로 모았습니다.세부전공분류, 발행학술지 정보 등의 자세한 내용은 진학프로 공식블로그에서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받아 편하게 확인해보세요.[의약학계열 학회 리스트]▼ ctrl+f로 학회명을 검색하시면 편리합니다 ▼* 우수등재 학술지를 보유한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 출처 :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학회명학회 홈페이지 링크간호행정학회www.kanad.or.kr기본간호학회http://www.kafn.or.kr한국간호교육학회http://www.kasne.or.kr한국의학교육학회www.ksmed.or.kr(사)한국직업건강간호협회http://www.kaohn.or.krKEMA학회https://www.jkema.org/거트앤리버 소화기연관학회협의회http://www.gutnliver.org/경락경혈학회http://www.acupoint.org국제물리치료연구학회-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www.kapard.or.kr대한가정의학회www.kafm.or.kr대한간암학회livercancer.or.kr대한간학회http://www.kasl.org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kasiorg.org대한감염학회www.ksid.or.kr대한갑상선학회https://www.thyroid.kr/대한건선학회kspder.or.kr대한검안학회http://www.optometry.or.kr대한견주관절학회www.kses.or.kr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www.lungkorea.org대한고관절학회www.khs.or.kr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http://www.pnf.or.kr/pnf2015/대한고혈압학회www.koreanhypertension.org대한골다공증학회http://www.koreanosteoporosis.or.kr/대한골대사학회www.ksbmr.org대한골절학회http://www.kofs.or.kr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http://kaomp.org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http://www.kaoms.org/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www.implant.or.kr대한구강해부학회https://kjoa.jams.or.kr대한구순구개열학회http://cleftlp.or.kr/대한근관절건강학회http://www.rheumato.org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www.kanem.or.kr대한기생충학ㆍ열대의학회www.parasitol.or.kr대한남성과학회www.andrology.or.kr대한내과학회www.kaim.or.kr대한내분비외과학회http://www.kaes.or.kr/대한내분비학회www.endocrinology.or.kr대한내시경로봇외과학회www.ksels.or.kr대한노인병학회www.geriatrics.or.kr대한노인정신의학회http://www.kagp.or.kr/대한뇌신경재활학회www.ksnr.or.kr대한뇌졸중학회www.stroke.or.kr대한뇌혈관외과학회www.the-jcen.org대한당뇨병학회www.diabetes.or.kr대한대장항문학회www.colon.or.kr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www.kcpca.or.kr대한두개저학회https://www.skullbase.or.kr대한류마티스학회www.rheum.or.kr대한마취통증의학회www.anesthesia.or.kr대한면역학회www.ksimm.or.kr대한물리의학회 http://www.kspm.or.kr대한물리치료과학회www.jkpts.co.kr대한물리치료학회 http://www.kptjournal.org대한미생물학회www.ksmkorea.org대한미용성형외과학회www.ksaps.or.kr대한미용의학회http://www.caf.or.kr/대한방사선과학회https://ksrs.jams.or.kr/대한방사선종양학회www.kosro.or.kr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http://www.kcsoffice.org/대한법의학회www.legalmedicine.or.kr대한병리학회www.pathology.or.kr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http://ksat.kr/대한본초학회www.herbology.or.kr대한불안의학회www.anxiety.or.kr대한비과학회www.ksrhino.or.kr대한비뇨기종양학회http://www.kuos.or.kr/대한비뇨의학회https://www.urology.or.kr/대한비만학회http://www.kosso.or.kr대한상부위장관ㆍ헬리코박터학회www.hpylori.or.kr대한상한금궤의학회https://kmediacs.com/대한생물정신의학회http://www.biolpsychiatry.or.kr/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http://www.ksbtp.org/대한생식의학회www.ksfs.or.kr대한성형외과학회www.plasticsurgery.or.kr대한소아내분비학회http://www.kspendo.or.kr/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http://www.kspghan.or.kr대한소아신경학회www.cns.or.kr대한소아응급의학회www.kspem.org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www.kacap.or.kr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www.pediatrics.or.kr대한소아치과학회http://www.kapd.org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http://www.kspho.or.kr대한소화기 기능성질환∙운동학회www.ksgm.org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www.gie.or.kr대한소화기학회www.gastrokorea.org대한수면연구학회http://www.sleepnet.or.kr대한수면의학회www.sleep.or.kr대한수부외과학회 http://www.handsurgery.or.kr/대한수의학회http://www.ksvs.or.kr대한수혈학회www.transfusion.or.kr대한스트레스학회http://www.stressfree.or.kr대한스포츠물리치료학회http://www.sportspt.co.kr/대한스포츠의학회www.sportsmed.or.kr대한슬관절학회www.koreaknee.org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http://ksnot.org/대한신경과학회www.neuro.or.kr대한신경손상학회www.neurotrauma.or.kr대한신경외과학회http://neurosurgery.or.kr대한신경정신의학회http://www.knpa.or.kr/대한신경중재치료의학회http://www.ksin.or.kr/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http://neurocriticalcare.or.kr대한신경초음파학회https://www.neurosonology.or.kr:4440/index.php대한신생아학회http://www.neonatology.or.kr대한심장학회www.circulation.or.kr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https://www.ktcvs.or.kr/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http://www.kamprs.or.kr/대한안과학회http://www.ophthalmology.org/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https://www.kaom.org/main/main.html대한암예방학회https://www.kscp.or.kr/대한암학회www.cancer.or.kr대한약리학회www.kosphar.org/대한약침학회http://pharmacopuncture.co.kr대한약학회www.psk1946.or.kr대한연하장애학회http://www.kdys.or.kr 대한영상의학회http://www.radiology.or.kr대한영상치의학회http://www.kaomfr.org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http://www.kapdoh.or.kr대한예방치과학회http://www.kacpd.org/대한예방한의학회spkom.jams.or.kr대한외과초음파학회http://www.ksus.or.kr대한외과학회surgery.or.kr대한외상중환자외과학회http://www.ksacs.org/대한외상학회http://www.trauma.or.kr/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https://www.uti.or.kr/대한우울조울병학회www.theksad.or.kr대한위암학회www.kgca-i.or.kr대한응급의학회www.emergency.or.kr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www.koshic.org대한의료정보학회http://kosmi.org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http://www.healthcommunication.or.kr/대한의사협회http://www.jkma.org대한의학레이저학회http://www.kslms.or.kr/대한의학유전학회http://www.ksmg.or.kr대한의학회http://www.kams.or.kr대한이비인후과학회www.korl.or.kr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www.bukorl.org대한이식학회www.mykst.org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www.healthpro.or.kr대한임상노인학회https://koreangeriatrics.or.kr/대한임상독성학회https://jksct.or.kr/대한임상미생물학회www.kscm.or.kr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www.kscn.or.kr대한임상약리학회http://www.kscpt.org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www.ksmrt.or.kr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http://www.ksmrm.org대한작업치료학회www.ksot.kr대한장연구학회https://www.irjournal.org/대한재활의학회www.karm.or.kr대한정신약물학회www.kcnp.or.kr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www.kaomt.or.kr대한정형외과학회www.koa.or.kr대한조현병학회http://www.schizophrenia.or.kr/대한족부족관절학회www.fas.or.kr대한종양간호학회http://www.kons.or.kr대한종양외과학회www.koreansso.org대한주산의학회http://www.perinatol.or.kr/대한중환자의학회http://www.ksccm.org/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http://kcbot.co.kr대한직업환경의학회http://www.ksoem.or.kr대한진단검사의학회www.kslm.org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http://www.jlmqa.org대한질적연구학회 http://www.kaqrn.or.kr/대한창상학회http://www.woundcare.or.kr/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http://www.neurospine.or.kr대한척추외과학회http://www.spine.or.kr/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www.allergy.or.kr대한청각학회대한체질인류학회https://aba.jams.or.kr/대한초음파의학회www.ultrasound.or.kr대한췌장담도학회www.kpba.kr대한치과교정학회http://kao.or.kr대한치과기공학회http://www.kdtech.or.kr/대한치과마취과학회www.kdsahome.org대한치과보존학회www.kacd.or.kr대한치과보철학회http://www.kap.or.kr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http://kadap.or.kr/대한치과의사협회www.kda.or.kr대한치과재료학회www.kadm.org대한치료과학회http://www.kmts.or.kr대한치매학회www.dementia.or.kr대한치의학회www.kads.or.kr대한치주과학회www.kperio.org대한침구의학회http://www.kamms.org대한턱관절교합학회http://www.occlusion.or.kr대한통증학회http://www.painfree.or.kr대한통합치과학회http://kagd.org/대한파킨슨병및이상운동질환학회http://www.kmds.or.kr대한평형의학회www.vertigo.or.kr대한폐경학회http://www.koreanmenopause.or.kr대한피부과학회http://www.derma.or.kr대한한방내과학회www.ikm.or.kr대한한방부인과학회www.oobgy.or.kr대한한방소아과학회http://www.akop.or.kr/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http://www.onp.or.kr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www.ood.or.kr대한한의학방제학회https://herbalformula.modoo.at/대한한의학원전학회http://journal.kci.go.kr/jkmc대한한의학회http://www.skoms.org대한해부학회www.anatomy.re.kr대한핵의학회www.ksnm.or.kr대한혈관외과학회http://www.ksvs.org대한혈액학회http://www.hematology.or.kr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www.kslpl.org물리치료재활과학회www.jptrs.org병원간호사회www.khna.or.kr보건의료산업학회www.hospitalreport.kr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http://www.scsk.or.kr/사단법인 한국응급구조학회http://www.kemt.or.kr사단법인약침학회www.mapi.or.kr사상체질면역의학회http://www.esasang.or.kr셀메드 세포교정의약학회http://e-compa.org/소화기인터벤션의학회www.sgiw.org아시아심장혈관영상의학회www.asci-heart.org연세대학교 의과대학http://www.kmer.or.kr연세대학교의과대학http://www.eymj.org영남대학교 의과대학https://www.e-jyms.org임상인체동작과학회http://www.jcmsh.org척추신경추나의학회www.chuna.or.kr한국가정·방문간호학회 http://www.kahhn.or.kr한국간담췌외과학회http://www.kahbps.or.kr/한국간호과학회http://www.kan.or.kr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kssn.or.kr/index.html한국간호연구학회http://www.knr.or.kr한국구강보건과학회www.kohs.or.kr한국기초간호학회www.bionursing.or.kr한국노인간호학회https://www.gnursing.or.kr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http://ksgot.org/한국놀이치료학회http://www.playtherapykorea.or.kr/한국농촌간호학회http://www.krhn.or.kr/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http://www.comhealth.or.kr한국독성학회https://www.ksot.or.kr/index.htm?한국동물실험대체법학회http://www.ksaae.org/한국동물위생학회http://www.kosves.re.kr한국망막학회http://www.retina.or.kr한국모자보건학회http://www.ksmch.or.kr/한국병원경영학회http://www.ksha.net한국병원약사회www.kshp.or.kr한국보건간호학회http://www.ksphn.or.kr/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www.khep.or.kr한국보건기초의학회http://kmhs.newnonmun.com/한국보건사회학회 http://kahms.re.kr/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http://www.koshis.or.kr한국보건행정학회http://www.kshpa.org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www.kpsychodrama.com한국산업보건학회www.kiha.kr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http://oshri.kosha.or.kr/한국생약학회www.ksp.or.kr한국신경근육물리치료학회http://www.kanr.co.kr/한국실험동물학회http://www.kalas.or.kr한국심초음파학회www.ksecho.org한국아동간호학회http://www.childnursing.or.kr한국약제학회http://www.kspst.or.kr한국역학회www.ksepi.org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http://www.imentalhealth.org/한국예방수의학회www.jpvm.or.kr한국유방암학회http://www.kbcs.or.kr/한국응용약물학회www.ksap.or.kr한국의료윤리학회 https://medicalethics.jams.or.kr/한국의료질향상학회www.kosqua.net한국의사학회medicalhistory.jams.or.kr한국의철학회https://philomed.jams.or.kr/co/main/jmMain.kci한국의학물리학회www.ksmp.or.kr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http://www.kscte.com/한국임상약학회http://www.kccp.or.kr한국재활간호학회 http://www.kasren.or.kr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http://krspt.org/한국정신간호학회https://kpmhn.or.kr/한국정신분석학회http://www.freud.or.kr한국정신신체의학회http://www.psychosomatics.or.kr한국중독정신의학회https://www.addictionacademy.org/한국중환자간호학회http://ksccn.jams.or.kr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http://www.kchn.or.kr/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www.lipid.or.kr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http://www.ksohn.or.kr한국치위생감염관리학회http://www.ksicpdh.org/한국치위생과학회http://www.kdhs.or.kr한국치위생학회http://www.ksdh.or.kr한국학교보건학회http://www.kssch.or.kr/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www.hospicecare.or.kr한방비만학회http://www.obesity.or.kr한방재활의학과학회www.ormkorea.org한의병리학회https://kmpath.jams.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