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대학교

2025학년도 1학기 숭실대학교 교수 초빙

마감2024.11.06~2024.11.20

채용 정보

  • 접수 기간

    2024.11.06 15:00~2024.11.20 15:00

  • 접수 방법

    홈페이지지원더보기

  • 채용 직군

    전임교원

  • 모집 전공

    국어・국문학, 교양어・문학, 언어학, 영미어・문학, 프랑스어・문학, 문예창작학, 수학, 물리・과학, 통계학, 전산학・컴퓨터공학, 응용소프트웨어공학, 정보・통신공학, 응용공학, 기계공학, 기전공학, 금융・회계・세무학, 경제학, 경영학, 경영정보학, 교양경상학, 회계・세무학, 법학, 가족・사회・복지학, 아동・가족학, 심리학, 사회학, 언론・방송・매체학, 교양사회과학, 산업공학, 화학, 화학공학, 신소재공학, 반도체공학, 재료공학, 건축・설비공학, 건축학, 교양공학, 중등공학교육더보기

  • 기관 유형

    대학교

  • 근무 지역

    서울더보기

2025-1학기 숭실대학교 교수 초빙 공고

 

인터넷 접수기간 : 2024.11.06.() 15:00 – 11.20.() 15:00


1. 초빙분야

 가정년직 전임교원

  – 초빙분야 (39개 분야총 43 )

대학학과()인원모집 전공분야우대사항
인문


대학

국어국문학과1국문한국한문학


영문Sino-Korean literature

1. 고전시가문화콘텐츠 관련 강의가 가능한 자


2. 문화콘텐츠 관련 연구실적 보유자

영어영문학과1국문: 1.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반 영어학 (영어화용론/담화분석 또는 사회언어학에 한함혹은 2. 디지털 휴머니티


영문: 1. AI and Data-Driven English Linguistics (Specialty : English pragmatics; Discourse analysis; Sociolinguistics) or 2. Digital Humanities


불어불문학과1국문프랑스 문화와 언어


영문: French culture and language


예술창작학부


문예창작전공

1국문스토리텔링 및 서사 창작


영문: Storytellig & Story Writing

1. 문예창작학과 스토리텔링 및 소설 창작 관련 강의 경력자


2. 스토리텔링 기획 경력자

3. 문예지 편집·기획 위원 경력자

4. 국내외저명문학상(대산문학상이상문학상한국일보문학상현대문학상문지문학상황순원문학상이효석문학상 등수상자

자연


과학

대학

수학과1국문수학 전 분야


영문: All fields in Mathematics

1. 수학 전공 강의에서 인공지능 관련 주제 교육 가능자 우대
1국문인공지능 관련 응용수학


영문Applied Mathematics related to Aritificial Intelligence

1. 인공지능 관련 과목 강의 가능자 우대
물리학과1국문양자물질/반도체양자과학기술


영문quantum materials / semiconductor, quantum science & technology


화학과1국문나노바이오 화학


영문: Nanobio Chemistry

1. 일반화학유기화학 강의 가능자
정보통계·


보험수리학과

2국문통계학 전 분야


영문: All Areas in Statistics

1. 빅데이터 마이닝/머신 러닝/데이터 사이언스 분야 전공자 우대
의생명


시스템학부

1국문합성생물학 또는 단백질 설계 및 합성


영문: Synthetic Biology or Protein Design


법과


대학

법학과1국문민사법


영문: Civil Law and Procedure

1. 강의경력 3년 이상자 우대
국제법무학과1국문기초법


영문: Jurisprudence

1. AI지식재산법 등 관련 강의경험자 우대
사회


과학

대학

사회복지학부1국문사회복지실천(아동·청소년)


영문Social Welfare practice (children, youth)


정치외교학과1국문국제정치/통일 분야


영문: International Relations / Inter-Korean Relations


정보사회학과1국문정보사회학 또는 현대사회론


영문: Information Sociology or Sociology of Contemporary Society


언론홍보학과1국문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영문: Digital Communication

1. 관련분야 실무 경력자
1국문커뮤니케이션 일반


영문: Communication

1. 관련분야 실무 경력자
평생교육학과1국문인적자원개발


영문: Human Resource Development

1. 국가지역산업 인적자원개발 정책 분야 전문가
경제


통상

대학

경제학과1국문경제학 일반(ESG, 머신러닝디지털 경제학)


영문General Economics(ESG, Machine Learning, Digital Economics)


글로벌통상


학과

1국문국제물류 또는 국제상무


영문International Logistics or International Commerce

1. 국제운송 강의 가능자
경영


대학

경영학부1국문인사/조직


영문: HRM, HRD, OB, or OT

1. 국제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한 자
회계학과1국문회계학


영문: Accounting


벤처중소기업학과1국문경영 전공(스타트업 펀딩벤처캐피탈)


영문: Business Administration

(Startup Funding, Venture Capital)

1. 창업금융(Entrepreneurial Finance) / 혁신창업(Innovative Startup) 강의 가능자


2. 영어강의 경험자

3. SSCI 논문 게재자

금융학부1국문디지털 금융 전분야 – 핀테크,  금융빅데이터금융데이터사이언스금융인공지능 등


영문: FINANCE AND TECHNOLOGY-Fintech, Big Data in Finance, Financial Data Science, Artificial Intelligence in Finance

1. SSCI 또는 SCI(E) 논문 게재자 우대


2. Fintech, Big Data, AI, Blockchain 및 이를 활용한 분야의 연구와 교육(영어강의포함가능 자

3. 실무 경험 보유자 우대

공과


대학

화학공학과1국문화학공학


영문: Chemical Engineering

1. 최근 5년간 해당분야 상위 10% SCI급 국제저명학술지에 주저자/교신저자로서 논문 다수 게재자 우대


2. 학부 화학공학 또는 유사 학과 전공자 우대

신소재공학과1국문신소재 분야


영문Materials Science (Environmental materials or polymers)

1. 친환경 고분자 전공 우대
기계공학부1국문기계공학 전 분야


영문Mechanical Engineering Whole Field

 
산업·정보


시스템공학과

2국문스마트제조 및 서비스데이터사이언스품질경영


영문Smart manufacturing and services, Data science, Quality management, and related areas.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1국문건축시공시공관리 및 IT


영문Architectural construction, construction management and IT

1. 건축시공관리, IT, AI 강의 가능자 우대
건축학부


실내건축전공

1국문실내건축 전 분야


영문: All areas of Interior Architecture

1. 관련분야 실무경력 4년 이상 경력자 우대
IT


대학

컴퓨터학부1국문시스템소프트웨어(컴파일러프로그래밍 언어운영체제소프트웨어 공학 등), 컴퓨터구조


영문: System software (Complier, Programing Language, Operating Systems, Software Engineering), Computer Architecture

1. 컴퓨터 공학 또는 컴퓨터 과학 학부 전공자
1국문컴퓨터 전분야


영문: All areas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1. 컴퓨터 공학 또는 컴퓨터 과학 학부 전공자
전자정보공학부


전자공학전공

1국문명지능형 시스템


영문명: Intelligent Systems

 
전자정보공학부


IT융합전공

1국문명인공지능


영문명: Artificial Intelligence

1. 소프트웨어클라우드인프라기술 분야 경력자 우대 (SW, Cloud Infra Technology)
1국문명전자공학


영문명: Electronic Engineering

1. 전파 및 초고주파 분야 경력자 우대


(Electric Wave & RF)

글로벌


미디어학부

1국문명디지털미디어 공학 전분야


영문명: Digital Media Engineering

1. 5년 이상 관련분야 산업체 경력자 우대
1국문명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콘텐츠


영문명Digital Media Design, Contents

1.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및 개발관련 교육 경험자사용자 경험(UX),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분야 실무경험자 우대, Red Dot, IF design 등 국제 디자인 대회 입상이나 전시회영화제 입상자 우대


2. 5년 이상 관련분야 산업체 경력자 우대

소프트웨어


학부

3국문명소프트웨어 전분야


영문명: All areas of Software

1. 피인용수 우수논문 주저자 우대
AI융합학부1국문명인공지능 전분야 (AI/ML, AI응용, AI컴퓨팅 등)


영문명: Artificial Intelligence (AI/ML, AI Applications, AI Computing)


합 계43

 

  – 지원을 위한 모집분야별 최소연구업적 자격 요건

  ※ 「SCI급 국제학술지란 <SCI(E), SSCI, A&HCI>에 등재된 학술지를 말함

  ※ <최근 5년간>은 2020.3.1. ~ 2025.2.28. 게재 또는 게재예정업적을 의미함

  ※ 주저자라 함은 첫 번째 저자(first author) 또는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를 말함

대학학과()모집 전공분야최소지원자격 연구업적요건
인문


대학

국어국문학과한국한문학최근 5년간 KCI등재 학술지 7편 이상 게재
영어영문학과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반 영어학 (영어화용론/담화분석 또는 사회언어학에 한함혹은 디지털 휴머니티1. 최근 5년 이내 A&HCI, SSCI, SCI(E) 학술지에 주저자 논문 1편 이상 혹은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주저자 논문 5편 이상 (게재 예정 포함)
불어불문학과프랑스 문화와 언어1. 최근 5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5편 이상 게재 (A&HCI 주저자 논문 및 단독저서는 KCI 등재 학술지 논문 2편으로 인정단독 번역서는 KCI등재 학술지 1편으로 인정함)


2. 최근 3년 이내 박사학위를 취득한 신진 연구자는 KCI 등재 학술지 2편 이상 게재

예술창작학부


문예창작전공

스토리텔링 및 서사 창작1. 해당분야 석사 학위 이상


2. 최근 5년간 스토리텔링 관련 저서1(또는 KCI등재 학술지 논문 3)이상 게재또는 최근 5년간 서사창작관련(창작론소설집장편소설 포함저서 2권 이상

자연


과학

대학

수학과수학 전 분야1. 최근 5년간 SCI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1편 이상의 논문을 포함하여 총 3편 이상의 논문 게재
인공지능 관련 응용수학1. 최근 5년간 SCI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1편 이상의 논문을 포함하여 총 3편 이상의 논문 게재
물리학과양자물질/반도체양자과학기술1. 최근 5년간 주저자/교신저자로 게재(게재예정 포함)된 SCI(E) 논문이  (1) 5편 이상이거나또는 (2) Impact factor의 합이 20 이상일 것
화학과나노바이오 화학1. 최근 5년간 주저자로서 SCI(E) 논문 5편 이상 게재 또는 해당 논문들의 Impact factor 합이 20 이상
정보통계·


보험수리학과

통계학 전 분야1. 최근 5년간 관련분야 연구업적이 SCI(E) 국제저명학술지 기준 주저자로 2편 이상
의생명


시스템학부

합성생물학 또는 단백질 설계 및 합성1. 최근 5년간 주저자로서 SCI(E) 논문이 5편 이상 게재(예정또는 해당 논문들의 Impact Factor의 합이 30 이상 (Impact Factor는 최근 3년 평균으로 함)
법과


대학

법학과민사법1. 최근 5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게재 논문 5편 이상 게재
국제법무학과기초법1. 기초법 관련 박사학위 소지자


2. 최근 5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게재 논문 10편 이상 (등재후보지 논문2편은 등재지 논문1편으로 계산)

사회


과학

대학

사회복지학부사회복지실천(아동·청소년)1. 최근 5년간 SSCI급 국제학술지에 5편 이상 논문 게재(주저자로서 논문 게재 2편 이상 포함)
정치외교학과국제정치/통일 분야1. 최근 5년간 SCI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2편 이상 게재
정보사회학과정보사회학 또는 현대사회론1. 최근 5년간 A&HCI, SSCI 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1편 이상 게재
언론홍보학과디지털 커뮤니케이션1. 최근 5년간 SCI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2편 이상 게재
커뮤니케이션 일반1. 최근 5년간 SCI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2편 이상 게재
평생교육학과인적자원개발1. 관련 분야 최근 5년간 국내 또는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게재 논문 1편 이상
경제


통상

대학

경제학과경제학 일반(ESG, 머신러닝디지털 경제학)1. 최근 5년간 SSCI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 게재 논문 1편 이상
글로벌통상학과국제물류 또는 국제상무1. 최근 5년간 SSCI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게재 논문 1편 이상
경영


대학

경영학부인사/조직1. 해당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회계학과회계학1. 최근 5년간 SCI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1편 이상 게재
벤처중소


기업학과

경영 전공(스타트업 펀딩,  벤처캐피탈)1. 최근 5년간 국내 또는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1편 이상 게재
금융학부디지털 금융 전분야핀테크,  금융빅데이터금융데이터사이언스금융인공지능 등1. 최근 5년간 국내 또는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1편 이상 게재
공과


대학

화학공학과화학공학1. 최근 5년간 해당 분야 SCI급 국제저명학술지에 주저자/교신저자로서 논문 5편 이상 게재
신소재공학과신소재 분야1. 최근 5년간 해당 분야 SCI(E)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5편 이상 게재 (JCR 상위 20%) 또는 NSC급 실적 보유
기계공학부기계공학 전 분야1. 최근 5년간 SCI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3편 이상 게재
산업·정보


시스템공학과

스마트제조 및 서비스데이터사이언스품질경영1. 최근 5년간 SCI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2편 이상 게재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건축시공시공관리 및 IT1. 최근 5년간 해당분야 SCI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5편 이상 게재
건축학부


실내건축전공

실내건축 전 분야1. 최근 5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주저자로서 5편 이상 게재 또는 A&HCI 또는 SCI급 학술지 2편 이상 게재
IT


대학

컴퓨터학부시스템소프트웨어(컴파일러프로그래밍 언어운영체제소프트웨어 공학 등), 컴퓨터구조1. 최근 5년간 SCI(E)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또는 한국연구재단(BK21+사업)에서 인정한 컴퓨터 분야 우수국제학술대회 논문 발표 2건 이상
컴퓨터 전 분야1. 최근 5년간 SCI(E)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또는 한국연구재단(BK21+사업)에서 인정한 컴퓨터 분야 우수국제학술대회 논문 발표 2건 이상
전자정보공학부


전자공학전공

지능형 시스템1. 최근 5년간 SCI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 2편 이상 게재 또는 한국연구재단(BK21+사업)에서 인정한 컴퓨터 분야 우수국제학술대회 논문 발표 2건 이상
전자정보공학부


IT융합전공

 

인공지능1. 최근 5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후보지 포함) 4편 이상 게재 또는 A&HCI, SSCI, SCI(E), SCOPUS 학술지에 논문 2편 이상 게재
전자공학1. 최근 5(간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포함학술지 4편 이상 게재 또는 A&HCI, SSCI, SCI(E), SCOPUS 학술지에 논문 2편 이상 게재
글로벌


미디어학부

 

디지털미디어 공학 전 분야1. 공학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2. 최근 5년간 관련분야 주저자로서 SCI(E) 국제학술지에 논문 2편 이상 게재 또는 한국연구재단(BK21+사업)에서 인정한 컴퓨터 분야 우수 국제학술대회 주저자로서 논문발표 총 2편 이상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콘텐츠1. 디자인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2. 최근 5년간 주저자로서 SCI급 학술지에 논문 2편 이상 게재 또는 Scopus (디자인 관련) 2편 이상 게재 또는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디자인 관련)에 4편 이상 게재

소프트웨어학부소프트웨어 전 분야1. 최근 5년간 주저자로서 SCI(E) 학술지에 논문 1편 이상 게재 (한국연구재단(BK21+사업)에서 인정한 컴퓨터 분야 우수국제학술대회 논문 발표도 SCI(E)급으로 인정)
AI융합학부인공지능 전 분야 (AI/ML, AI응용, AI컴퓨팅 등)1. 최근 5년간 주저자로서 SCI(E) 학술지에 논문 1편 이상 게재 또는 한국연구재단(BK21+사업)/정보과학회에서 인정한 컴퓨터 분야 우수국제학술대회 논문 발표 1건 이상 발표

 

 

2. 상세 지원자격

 가. 사립학교 교원 임용 및 사학연금 가입 자격에 결격 사유가 없는 분

 나. 본교 건학이념에 부합되는 기독교인

 다. 해당 전공분야의 박사학위를 소지한 분(2025. 2. 28.까지 학위취득 예정자 포함)

  ※ 학위취득예정자의 경우 학위취득 예정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증명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임용예정일까지 학위를 취득하지 못한 경우 임용이 취소될 수 있음

  라. 정년직 전임교원 전 분야 공통요건

   1) 상기 모집분야별 최소연구업적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분

   2) 최소지원자격요건은 ‘최근 5년간’의 업적기준으로 통일함

      (최근 5년간 : 2020.3.1. ~ 2025.2.28. 게재 또는 게재예정업적을 의미함)

    가) ‘SCI급 국제저명학술지’란 SCI(E), SSCI, A&HCI 에 등재된 학술지를 말함

    나) 논문게재실적 편수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단순편수(저자 수 무관)를 의미함

    다) ‘주저자’라 함은 첫 번째 저자(first author) 또는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를 말함

   3) 영어강의 가능자

 

3. 임용조건

 가. 임용예정일 : 2025.3.1.

 나. 신규교원 중 정년직 전임교원의 경우 3년 이내의 계약제로 임용함

 다. 임용기간 만료 시 재임용심사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계약기간 동안의 업적을 평가하여 재임용여부를 결정함

 

4. 지원방법 및 입력서류안내

※ MAC 환경에서 작업시 지원서의 글자가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습니다윈도우 환경에서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가. 본교 인터넷 교원채용 시스템에 인적사항, 학력사항, 경력사항, 연구업적(대표업적 표기 포함) 등 각 페이지에 자료입력

  1) 지원자 공통 : 최근 5(2020.3.1. ~ 2025.2.28.)간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포함) 학술지와

      A&HCI, SSCI, SCI(E), SCOPUS 저널에 게재 또는 게재 예정된 논문에 관한 자료 입력

     ※ 온라인에만 게재된 논문의 경우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넘버를 입력 요망

  2) 사회과학대학, 경영대학 지원자 : 최근 5년(2020.3.1. ~ 2025.2.28. ) 이내에 출판 또는 출판 예정된 전문학술저서 및 역서에 관한

      자료 입력

  3)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IT대학 지원자 : 최근 5년(2020.3.1. ~ 2025.2.28. ) 이내에 발명자로 등록이 완료 또는 완료 예정된 특허에

      관한 자료 입력

 

  나. 입력서류

  ※ 모든 서류는 교원채용 시스템에 파일로 첨부하며 별도로 페이퍼 형태의 제출사항은 없음

  ※ 입력서류를 접수기간 내에 입력하지 않는 경우에는 서류미비로 미접수 처리됨

  ※ 입력사항을 모두 입력 후 반드시 <지원서 작성완료버튼을 눌러야 접수됨

   1) 신규교원임용 신앙기록확인서 1부

     ‣ 신앙기록확인서는 본교 양식으로 업로드 필수 (붙임 파일 참조)

     ‣ 담임목사 날인은 반드시 직인이어야 함 (직인이 없는 외국교회에 한하여 예외를 인정함)

     ‣ 접수마감일 기준 3개월 이내에 발급받은 확인서만 인정함.

  2) 학위증명서(학사, 석사, 박사) 각 1부

  3) 성적증명서(학사, 석사, 박사) 각 1부

  4) 경력 및 재직증명서 각 1부

      (경력의 경우 입력한 내용과 일치하여야 하며 증명서가 없는 경력사항은 인정하지 않음)

  5) 연구 업적물 각 1부(최종학위논문 업로드 필수)

  6) 외국인의 경우 여권 및 외국인등록증(비자관계 포함) 사본 각 1부

 

 다. 추천서(추천인 2으로 제한함 – 관련분야 전임교원 1명 이상을 포함)

  1) 1단계 기초심사 합격 연락을 받은 정년직 전임교원 지원자만 해당됨

  2) 추천서 제출 기한 및 제출방법, 이메일 주소는 1단계 기초심사 합격자에게 개별 안내함

  3) 추천서는 PDF, JPG 형태(편집 가능한 파일 포맷은 접수하지 않음)로 변환하여 추천인이 해당 학과 이메일로 직접 제출하여야 함

  4) 반드시 추천인의 서명이 있어야 하며, 이메일 제목에 지원자 성명과 지원학과(부)를 명시하여야 함

      (예) 숭실대 임용 지원자 김숭실(영어영문학과) 추천서

 

5. 접수기간 및 방법

가. 접수기간 : 2024.11.6.() 15:00 ~ 11.20.() 15:00 까지

나. 접수방법 : 본교 인터넷 교원채용 시스템 (http://www.ssu.ac.kr/web/jobpf/recruit)

 

6. 심사단계 및 심사기준

가. 기초심사(1단계): 지원자격 충족여부, 학위취득 전공분야, 교육 및 연구경력 분야, 연구실적 분야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심사

나. 심화심사(2단계) : 제출한 연구업적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심화 평가하여 연구실적의 우수성 및 연구 능력을 평가

다. 공개강의 및 면접(3단계) : 강의능력, 의사소통능력, 교수로서의 품성 및 자질 등을 평가

라. 최종면접(4단계) : 총장면접심사

 

7. 초빙일정

심사단계 구분일정비고
지원서 접수2024.11.6.(수) 15:00 ~ 11.20.(수) 15:00본교 인터넷 교원채용 시스템으로 접수
1단계 기초심사2024.11.25.(월) ~ 12.4.(수) 예정심사결과 발표 : 2024.12.6.(금) 예정
2단계 심화심사2024.12.9.(월) ~ 12.17.(화) 예정심사결과 발표 : 2024.12.19.(목) 예정
3단계 공개강의 및 면접2024.12.19.(목) ~ 2025.1.3.(금) 예정심사결과 발표 : 2025.1.10.(금) 예정
4단계 최종면접2024.1.15.(수) ~ 1.17.(금) 예정최종결과 발표 : 2025.1.21.(화) 예정

 

※ 위 일정은 심사진행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 각 단계별 합격자에 한하여 다음단계 심사가 진행됨

※ 각 단계별 심사 결과는 지원자가 지원 시 채용시스템에 등록한 휴대폰 문자와 이메일로 안내함

 

 

8. 유의사항

가. 본교가 공고한 초빙 전공분야에 복수 지원할 수 없음

나. 영어를 제외한 외국어 증명서의 경우 한국어 번역문이 첨부된 “번역공증”된 서류건에 한하여 인정함

다. 서류 제출 시 구비서류가 미비된 것은 접수하지 않음

라. 해당분야에 적격자가 없을 경우 초빙하지 않을 수 있음

마. 자세한 채용일정은 단계별 합격자에 한해 안내함

 

9. 지원분야별 세부 문의

– 모집 분야 및 최소연구업적 자격요건 등 문의가 있으신 경우 해당 학과(부)에 문의

대학학과()지원자 문의


응대가능 번호

지원자 문의


응대가능 이메일 주소

인문대학국어국문학과02-820-0320knjang@ssu.ac.kr
영어영문학과02-820-0330englan@ssu.ac.kr
불어불문학과02-820-0360france@ssu.ac.kr
예술창작학부 문예창작전공02-820-0043writing@ssu.ac.kr
자연과학대학수학과02-820-0410math@ssu.ac.kr
물리학과02-820-0420physics@ssu.ac.kr, hyi@ssu.ac.kr
화학과02-820-0430chem@ssu.ac.kr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02-820-0440stat@ssu.ac.kr
의생명시스템학부02-820-0450bioinfo@ssu.ac.kr
법과대학법학과02-820-0470law@ssu.ac.kr
국제법무학과02-820-0486ila@ssu.ac.kr
사회과학대학사회복지학부02-820-0500social@ssu.ac.kr
정치외교학과02-820-0520politics@ssu.ac.kr
정보사회학과02-820-0047inso@ssu.ac.kr
언론홍보학과02-820-0306masscom@ssu.ac.kr
평생교육학과02-820-0041lifelongedu@ssu.ac.kr
경제통상대학경제학과02-820-0550eco@ssu.ac.kr
글로벌통상학과02-820-0550eco@ssu.ac.kr
경영대학경영학부02-829-8301biz@ssu.ac.kr
회계학과02-820-0548accounting@ssu.ac.kr
벤처중소기업학과02-829-8302venture@ssu.ac.kr
금융학부02-829-8303finance@ssu.ac.kr
공과대학화학공학과02-820-0610chemical@ssu.ac.kr
신소재공학과02-820-0620materials@ssu.ac.kr
기계공학부02-820-0650me@ssu.ac.kr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02-820-0690insteng@ssu.ac.kr
건축학부02-820-0700architec@ssu.ac.k
IT대학컴퓨터학부02-820-0949111659@ssu.ac.kr
전자정보공학부 전자공학전공02-820-0919inforcom@ssu.ac.kr
전자정보공학부 IT융합전공02-820-0630inforcom@ssu.ac.kr
글로벌미디어학부02-820-0949111659@ssu.ac.kr
소프트웨어학부02-820-0949111659@ssu.ac.kr
AI융합학부02-820-0950jh384@ssu.ac.kr

※ 시스템 업로드 오류 등 문의 : 숭실대학교 교무처 교무팀 sunhuman21@ssu.ac.kr

근무 예정지

대표숭실대학교(서울)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상도동, 숭실대학교)

반드시 해당 기관의 공고를 확인지원하시기 바랍니다.공고 바로가기

기관 정보

숭실대학교

  • 기관유형

    대학교(사립)

  • 대표전화

    02-820-0114

  • 대표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상도동, 숭실대학교)

  •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