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취업정보

싱가포르에서 석박사 취업하면? 싱가포르 비자, 환율, 연구비 지원 펀딩 총정리

싱가포르에서 석박사 취업하면? 싱가포르 비자, 환율, 연구비 지원 펀딩 총정리


싱가포르에서 연구자로 커리어를 쌓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비자, 취업, 생활 등 복잡한 제도 속에서 석박사 연구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만 모은 콘텐츠를 찾고 계셨다면, 이 글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목차

싱가포르 취업 정보

싱가포르 비자 및 행정 절차

싱가포르 현지 적응 및 생활 정보

커리어 성장 전략

 


1. 싱가포르 취업 정보

📌 취업 유망 분야

1) 디지털 기술 (ICT 및 핀테크)

싱가포르는 ‘스마트 네이션 전략’ 아래 AI, 클라우드, 사이버 보안, 데이터 분석 등 디지털 기술을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어요.
정부는 AI 연구개발과 컴퓨팅 인프라에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고, 클라우드 활용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에요.

- 주요 기업: Google, Meta, AWS, Microsoft, Grab, Sea Limited 등
- 유망 직종: AI 연구원, 클라우드 아키텍트,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사이버보안 전문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 전망: 싱가포르는 2029년까지 AI 인재를 현재의 3배로 늘릴 계획이며, 박사급 글로벌 인재를 위해 Tech Pass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요.

 

2) 헬스케어 및 바이오 (의료·생명과학)

고령화와 의료 수요 증가로 헬스케어 산업은 지속 성장 중이에요. 싱가포르는 ‘아시아 생명과학 허브’로 불리며 제약·바이오 R&D 중심지로 자리 잡았어요. 글로벌 제약사와 연구기관이 밀집한 바이오 연구단지인 Biopolis(바이오폴리스)가 있어요.

- 주요 기관: SingHealth, 국립보건그룹(NHG), A*STAR, Novartis, Pfizer, Roche 등
- 정부 지원: RIE2025 예산 중 250억 SGD가 의료·바이오 R&D에 투입되어 박사후 연구자, 수석과학자 채용이 활발해요.
석·박사 학위자의 전문성이 높은 평가를 받는 분야로, 신약개발·임상시험·유전체학 등 고급 연구직의 수요가 꾸준해요.

 

3) 첨단 제조 및 공학 (반도체 등)

싱가포르는 GDP의 20%를 제조업이 차지하는 첨단 제조 강국이에요.
‘Manufacturing 2030’ 비전 아래 반도체, 로보틱스, 나노기술 등 고부가 제조업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 주요 기업: Micron, Infineon, GlobalFoundries, Pratt & Whitney, Rolls-Royce
- 정부 목표: 2030년까지 제조 부가가치 50% 확대
- 유망 직무: 공정 엔지니어, 장비 엔지니어, 반도체 설계·소재 연구직
특히 공학·재료과학·나노기술 박사 인재가 환영받는 분야로, 전문기술자 비자(ONE Pass) 혜택도 적용돼요.


📌 취업 관련 정보

싱가포르 노동법

싱가포르에는 최저 임금 규정이 없고, 업종별로 자율적인 임금 계약을 할 수 있어요.
2025년 기준 대졸 초임은 월 3358~4500 SGD이고, 저임금 근로자 보호를 위해 Progressive Wage Model과 Workfare Income Supplement 제도를 운영해요.
- 법정 근로시간: 주 44시간 (하루 8~9시간)
- 초과근무 한도: 월 72시간, 초과수당은 기본 시급의 1.5배 이상
정년은 2026년부터 64세로 상향되고, 재고용 의무 연령은 69세로 확대될 예정이에요.

참고사항

- Progressive Wage Model(PWM) 제도: 업종(청소·조경·경비업종 등)에 따라 현지 저임금노동자를 위한 임금 인상 지원

- Workfare Income Supplement(WIS) 제도: 월 총 소득이 3,000 SGD 이하인 근로자에게 연간 최대 4,900 SGD 지급


휴가 제도

- 유급 연간휴가: 근속 1년차 7일 → 매년 1일 증가, 최대 14일
- 병가: 외래진료 14일, 입원 60일(중복 포함)
- 출산휴가: 산모가 현 직장에서 출산일 전까지 3개월 이상 근무해야 사용 가능

                 아이가 싱가포르 시민권자라면 16주 유급휴가, 아니라면 8주 유급휴가+4주무급휴가 / 남성은 4주 유급휴가 가능

싱가포르 육아휴가 제도 자세히 확인하기 [여기를 클릭]


연금제도

모든 근로자는 중앙적립기금(CPF)에 가입해야 합니다.
고용주와 근로자가 매월 급여의 일정 비율을 분담하고 일반계좌(Ordinary Account), 투자 목적의 특별계좌(Special Account), 의료저축계좌(Medisave)로 나뉘어요.
55세 이후에는 퇴직연금계좌로 전환되어 생활비로 인출할 수 있어요.


개인 소득세

싱가포르는 거주자에게 누진세율(0~24%)을 적용해요.
2024년부터 50만~100만 SGD 구간은 23%, 100만 SGD 초과 소득은 24% 세율이 적용돼요.
해외 소득이라도 싱가포르 내로 송금된 경우 과세 대상이 됩니다.

싱가포르 개인소득세 확인하기 [여기를 클릭]



2. 비자 및 행정 절차

📌 Employment Pass [EP]

전문직·관리직 외국인을 위한 대표 취업비자입니다. 주로 학사 이상 학위를 갖춘 전문인력에게 발급되고, COMPASS 포인트 40점 이상을 충족해야 해요.

석사 이상의 학위와 전문기술 경력을 갖춘 연구자는 우대 점수를 받을 수 있어요.
EP 신청은 개인이 직접 할 수 없고, 반드시 싱가포르에 등록된 고용주(회사) 또는 인가된 취업 대행사를 통해야 해요.

현지에서 인재 부족 직종으로 인정되는 경우 최대 5년짜리 EP를 받을 수 있는 제도도 있습니다.
- 최소 급여(‘25년 기준): 일반 5,600 SGD / 금융 업종 6,200 SGD
- 유효기간: 최초 2년, 이후 3년 단위 갱신 가능
- 월급 6,000 SGD 이상이라면 배우자·자녀의 Dependant’s Pass(DP) 신청 가능
- 월급 12,000 SGD 이상이라면 고용주가 부모나 성인 자녀 Long-Term Visit Pass(LTVP)도 함께 신청 가능
- 영주권(PRS): 6개월 이상 체류 후 신청 가능

COMPASS(고용보완 평가체계)

COMPASS 평가는 '급여, 학력, 회사 내 국적 다양성, 회사의 현지 고용 지원' 4개 항목과 보너스 항목에서 총 40점 이상을 받아야 통과합니다.

그 중 학력의 경우, 학위 수준과 출신 학교의 위상 등에 따라 점수가 달라져요. 예를 들어 QS세계대학순위 상위 100위권 대학의 학사이상 학위는 20점 만점을 받을 수 있어요. 그 외 인정된 기관의 석사·박사 학위도 10점 등 가산점을 받습니다.

경력 기준은 없지만, 지원자의 나이나 경력 수준에 따라 요구되는 급여 수준이 높아지므로 사실상 경력이 많은 고연봉 전문인력이 EP비자를 발급받아요.

또한 특정 전문 기술 분야 경력자의 경우, 부족 직업군으로 인정받으면 추가 점수를 받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기술 분야 솔리스트(SOL) 직업군으로 인정 시 보너스 점수 20점을 부여해요.


📌 S Pass [SP]

중간 수준의 숙련 인력(기술자, 현장 감독, 중간 관리자 등)을 위한 비자예요.
전문대 졸업 이상의 경력자를 대상으로 하고, S Pass는 별도의 점수제 없이 급여 기준 충족 여부가 중요해요.

고용주가 지원자의 경력과 능력을 고려해 적정 급여를 책정하여 신청하고, 근로자에게 매년 최소 15,000 SGD가 보장되는 의료보험을 제공해야 해요.
- 최소 급여(‘25년 기준): 일반 3,300 SGD / 금융 업종 3,800 SGD
- 유효기간: 최초 2년, 이후 3년 단위로 무제한 갱신 가능
- 월급 6,000 SGD 이상이라면 배우자·자녀의 Dependant’s Pass(DP) 신청 가능
- 월급 12,000 SGD 이상이라면 고용주가 부모나 성인 자녀 Long-Term Visit Pass(LTVP)도 함께 신청 가능


📌 Work Permit [WP]

WP는 건설업, 제조업, 해양업, 가공업, 서비스업 5개 산업 내 비숙련 근로자를 위한 비자예요.
특별한 기술, 경력 없이도 최소 만 18세에서 63세 미만의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이 있는 외국인 근로자에게 발급됩니다.
고용주는 근로자에게 급여와 함께 의료보험 포함 생활비를 지급해야 해요. 의료보험은 SP 비자와 마찬가지로 매년 최소 15,000 SGD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WP 근로자는 싱가포르 입국 후 2주 내로 싱가포르에 등록된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아야 해요.
- 유효기간: 최초 2년, 한국 근로자 기준 무제한 연장 가능
- 가족 동반 불가능



3. 현지 적응 및 생활 정보

2025년 11월 6일 기준 싱가포르 환율은 1 SGD당 1,108원이에요.


1) 주택 임차

- 외국인은 주로 임차 형태로 거주해요.
- PropertyGuru, 99.co 등 플랫폼을 통해 임차 가능한 집을 검색할 수 있어요.
- 일반적으로 2년 계약, 보증금은 1~2개월치 월세예요.

참고사항

계약서에 Diplomatic Clause(외교관 조항)을 넣어, 계약 만료 전 갑작스러운 귀국 시 위약금 없이 해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안전해요.

보통 2년 계약 시 12개월 거주한 다음 퇴거 2개월 전에 미리 주인에게 계약 종료를 통보하면 위약금 없이 계약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통보기한, 통보방법 등 조건을 계약 시 꼼꼼히 확인해야 해요.


2) 은행 계좌 개설

- 주요 은행: DBS/POSB, OCBC, UOB, HSBC 등
- 통장 개설에는 여권과 비자(EP·SP 등)가 필요하며, 관광비자로는 개설할 수 없어요.
- 기본 예치금이 있으며, 잔고가 기준 금액보다 적으면 월 관리 수수료(2~5 SGD)가 부과됩니다.
- 현금카드는 즉시 발급 가능해요.


3) 건강보험 가입

- EP·SP 근로자는 회사가 선택적으로 민간보험을 제공합니다.
- WP 근로자는 고용주가 연간 최소 15,000 SGD가 보장되는 의료보험을 제공해야 해요.


4) 운전면허 및 교통

- 한국 영문면허증 또는 국제운전면허증으로 최대 1년까지 운전이 가능해요.
- 1년 이상 체류하거나 영주권·시민권 취득 시에는 싱가포르 면허로 전환해야 해요.
- 한국 면허 소지자는 필기시험(BTT)만 통과하면 교환 발급 가능하지만,
- 한국 면허 공증서 또는 국제운전면허증, 여권, EP/SP, 사진, 시험 등록증 등이 필요합니다.
- 시험비용은 약 50 SGD입니다.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 [바로가기]


5) 대사관 및 기관 연락처

- 주싱가포르 한국 대사관: +65-6256-1188 / +65-9654-3528(긴급)
- 싱가포르 한인회: +65-6299-8966
- 싱가포르 외교부: +65-6379-8000
- 싱가포르 노동부: +65-6438-5122
- 한국촌(한인 커뮤니티 포털): 바로가기



4. 커리어 성장 전략

1) 싱가포르 정부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

① NRF Fellowship
- 주관기관: 싱가포르 국가연구재단(NRF)
- 대상: 박사 학위 취득 후 7년 이내의 전도유망한 신진 연구자 (국적 불문)
- 지원 내용: 최대 5년간 약 325만 싱가포르달러 규모의 연구비 지원 (간접비 포함)
-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② NRF Investigatorship
- 주관기관: 싱가포르 국가연구재단(NRF)
- 대상: 각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보유한 중견 연구자(우수 수석연구원급)
- 지원 내용: 최대 5년간 300만 싱가포르달러 규모의 연구비 지원 (간접비 포함)
-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③ A*STAR International Fellowship(AIF)
- 주관기관: 싱가포르 과학기술연구청(A*STAR)
- 대상: 우수한 신진 박사 연구자로 해외 유수 연구기관에서 박사후연구원 연수를 희망하며, 연수 후 A*STAR 산하 연구소 연구원으로 합류할 인재
- 지원 내용: 해외 박사후연구원 연수 기간 전체에 대한 장학금 및 제반 경비 지원 (연수 완료 후 A*STAR 연구소에 연구원으로 임용되어 경력 시작)
-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④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Research Fellowship(SSHRF)
- 주관기관: 싱가포르 사회과학연구위원회(SSRC)
- 대상: 싱가포르 국적의 인문사회 분야 초기 경력 연구자(자국 대학의 비정년트랙 조교수 등 젊은 교수 또는 박사후연구원)
- 지원 내용: 최대 5년간 100만 싱가포르달러 규모의 연구비 지원 (모든 인문사회과학 분야 연구주제 대상)
-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2) 연구 네트워크 만들기

① Global Young Scientists Summit (GYSS)
- 내용: 노벨상 수상자와 전 세계 젊은 과학자들이 교류하는 국제 서밋으로, 매년 싱가포르에서 개최됩니다.
- 대상: 박사과정생·박사후연구원 등 초기 연구자
-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② Singapore Week of Innovation and Technology (SWITCH)
- 내용: 싱가포르 정부가 주관하는 아시아 대표 기술혁신 축제로, 과학 연구 성과를 혁신적 기술 솔루션으로 전환하고 스타트업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장려해요.
- 대상: 과학자, 연구원, 기업 R&D 담당자, 벤처캐피털, 스타트업 창업자 등
-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③ Singapore Open Research Conference
- 내용: 싱가포르 내 대학 도서관들과 연구지원 기관들이 공동 개최한 오픈 사이언스 컨퍼런스예요.
- 대상: 학계 연구자, 대학·연구소·출판 관계자, 정부 정책입안자 등
-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④ 박사 및 석사 학위 취업 정보 사이트
- JINHAKPRO: 국내외 석·박사 및 교수 채용 정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플랫폼으로, 싱가포르를 포함한 해외 연구직 및 교수직 채용 공고를 확인할 수 있어요.
- 지금 바로 싱가포르 연구직 공고 확인하기: 바로가기



싱가포르에서 연구자로 자리 잡는 과정은 쉽지 않지만, 제대로 된 정보를 갖추고 준비하면 충분히 해낼 수 있습니다.
비자부터 취업, 연구 펀딩까지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한 걸음씩 나아가 보세요.
진학프로가 프로님들의 새로운 도전을 응원하겠습니다.

이 콘텐츠가 유용했다면 아래 공유하기 버튼으로 싱가포르 취업을 준비하는 연구자 동료에게도 알려주세요!



2025.11.06 (Thu)

같이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