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백과사전

신규 박사 "희망 연봉 최소 6천만 원”... 현실은? | 2024 신규 박사학위취득자 통계

신규 박사 "희망 연봉 최소 6천만 원”... 현실은? | 2024 신규 박사학위취득자 통계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과반수(51.5%)가 연봉 6,000만 원 이상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과연 실제 취업 시장은 어떨까요? 오늘은 2024 박사조사를 살펴보며, 박사 취업률과 전공별 연봉 수준 등 박사취업 현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가장 많은 박사 구직자(30.8%)가 4천만 원 이상 ~ 6천만 원 미만의 연봉을 희망했으며, 이어 6천만 원 이상 ~ 8천만 원 미만, 2천만 원 이상 ~ 4천만 원 미만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는데요. 즉, 박사 졸업자 80% 이상은 4,000만 원이 넘는 연봉을 기대하며, 반 이상은 최소 6,000만 원의 연봉을 희망하고 있었습니다.


신규박사 희망 연봉

희망연봉 구간
비율
2천만 원 미만1.2%
2천만 원 이상 ~ 4천만 원 미만16.5%
4천만 원 이상 ~ 6천만 원 미만30.8%
6천만 원 이상 ~ 8천만 원 미만24.9%
8천만 원 이상 ~ 1억 원 미만11.1%
1억 원 이상15.5%

*출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조사 / 해당 문항 응답자 수 4,983명



한편, 이번 2024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조사는 국내 대학에서

2023년 8월 ~ 2024년 2월 박사 학위를 취득한 10,44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 전공' 과반수는 연봉 6,000만 원 넘는다.

다음으로 취업자 7,346명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10명 중 4명(38.2%)은 연봉 4천만 원 미만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구직활동 중인 신규 박사 10명 중 8명이 최소 4천만 원의 연봉을 기대하는 것과는 대조되는 현실입니다.


전공별로 살펴보면 연봉 6천만 원 이상을 받는 박사 비율은 정보통신 기술 분야(60.9%)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공학·제조 및 건설 전공, 경영·행정 및 법 전공이 뒤를 이었는데요. 


연봉 1억 원 이상의 고소득 박사 비율이 가장 높은 전공은 경영·행정 및 법(23.5%) 분야이며,

이어 보건 및 복지, 정보통신 기술 전공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근로소득은 기본급, 각종 수당, 상여금 및 성과급을 포함한 세전 금액을 의미합니다.



전공별 연봉

전공
2,000만 원 미만
2,000만 원 이상
~4,000만 원 미만
4,000만 원 이상
~6,000만 원 미만
6,000만 원 이상
~8,000만 원 미만
8,000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
1억 원 이상
6,000만 원 이상 ~
정보통신 기술
5
18
16.2
23
17.6
20.3
60.9
공학, 제조 및 건설
4.6
21.7
19.5
22.6
16.3
15.3
54.2
경영, 행정 및 법
10
22.5
15.4
14.9
13.8
23.5
52.2
보건 및 복지
9.7
26.6
20.2
13.6
8
21.9
43.5
서비스
15
26.9
19.6
14.6
11.5
12.5
38.6
자연과학, 수학 및 통계학
6.8
29.1
26.1
19.3
12.4
6.3
38
사회과학, 언론 및 정보학
12.7
29.9
23.1
15.5
7.6
11.3
34.4
농림어업 및 수의학
10.5
26.7
32.4
8.6
9.5
12.4
30.5
교육
17.3
35.8
25.8
12.6
5.9
2.6
21.1
예술 및 인문학
25.5
46.2
15.3
5.6
4.2
3.2
13

출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조사 / 해당 문항 응답자 수 7,346명


전공별 취업 성공률은?

전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10,442명 중 약 70%는 현재 취업 중이거나, 취업이 확정된 상태였습니다.

가장 취업률이 높은 전공은 보건 및 복지 분야(79.1%)로, 가장 취업률이 낮은 전공 취업률(59.9%)과 약 19%포인트 차이를 보였습니다.

취업률 상위권을 차지한 전공은 보건 및 복지, 교육, 경영·행정 및 법 순이었습니다.


전공별 취업 상태

전공
응답자(명)
취업률(%)
보건 및 복지
1561
79.1
교육
496
78.3
경영, 행정 및 법
1318
76.1
정보통신 기술
303
73.2
서비스
724
71.9
농림어업 및 수의학
149
70.5
공학, 제조 및 건설
2872
69.6
사회과학, 언론 및 정보학
531
66.8
자연과학, 수학 및 통계학
1114
62.3
예술 및 인문학
1374
59.9

*출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내신규박사학위취득자조사 / 해당 문항 응답자 수 10,442명


박사에서 백수로 미취업 박사 역대 최고

한편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29.6%가 미취업 상태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미취업 상태란, 구직 활동 중이지만 아직 취업하지 못한 사람과 당분간 구직 계획이 없는 응답자를 모두 포함합니다. 미취업 박사 비율은 2014년~2018년 평균 25%에서, 2019년 이후 29%로 증가했는데요.


박사 취업 시장이 녹록지 않다는 이야기가 많지만, 연구자로서 쌓아온 지식과 경험은 분명 의미 있는 자리에서 쓰이게 될 겁니다. 조급함보다는 차근히 방향을 정하는 것이 중요한 시기일 텐데요. 박사 구직자분들께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아래 정리했습니다. 꼭 확인해 보시고, 원하는 기회를 잡으시길 바랍니다!



교수·강사 임용 준비 중이라면? [진학프로 임용준비방 입장하기]

연구원 합격 스펙이 궁금할 땐 [정출연 채용설명회 총정리 확인!]

매주 석박사에게 딱 맞는 공고 메일로 받고 싶다면 [이메일 수신 동의하기]


2025.03.19 (Wed)

같이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