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취업정보
덴마크 취업 A to Z: 석사·박사 연구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덴마크 비자, 정착 정보
덴마크에서 연구자로 커리어를 쌓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덴마크 취업, 비자, 국가정착, 연구비지원정보 등 제대로 정리된 자료를 찾기 어려웠다면, 이번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 목차 · 덴마크 취업 정보 · 덴마크 비자 및 행정 절차 · 덴마크 현지 적응 및 생활 정보 · 덴마크 커리어 성장 전략 1. 덴마크 취업 정보 📌 취업 유망 분야 해운물류 · 상선 운항업체 거주지 기준 세계 8위 · Maersk, DSV 등 글로벌 대형 해운물류업체 밀집 · 메탄올 연료 도입, 탄소중립 항만 시설 등 친환경 물류로 전환하며 지속적인 인력 수요 예상됨 신재생에너지 · Vestas, Ørsted 등 세계 최고 수준의 풍력 기업들이 본사를 둔 덴마크는 해상풍력 R&D와 설계 분야 채용 수요 높음 · 1년 내내 풍족한 바람으로 풍력으로 전기에너지 생산 용이하며 관련 기업의 성장도 빠른 편 · 현재 에너지인공섬 프로젝트 추진 중이며, 국제 협력 기회도 다양함 생명과학 ·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의 생산 확장과 투자에 따라 생명과학 분야 일자리 급증 · 의약품,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성장률은 EU 평균을 크게 웃돌며, 연구자 채용도 활발 연구직 (POSTDOC, 교수직, 기업 연구소) · 덴마크 대학과 국책연구소는 영어 기반 채용이 보편화돼 있어 외국인 연구자에게 열려 있음 · 석박사 학위 기반의 EU 및 국가 연구 펀딩 활용 경험이 중요한 경쟁력 📌 취업 관련 정보 취업 준비팁 · 현지 석사학위 취득 시 취업비자 및 정착이 상대적으로 쉬움 → University of Copenhagen, Copenhagen Business School, Denmark’s Technical University 등 유명 대학에서 석사학위 받을 경우 취득 유리 · 덴마크 유학생의 경우 졸업 후 최소 6개월간 구직비자 발급 가능 덴마크 근로시간법령(FUNKTIONAERLOVEN) · 주 37시간, 4개월 기준 평균 48시간 이내 · 1달 근무 시 2.08일 유급휴가 발생 (연 25일 기준) · 초과근무는 조합별 계약에 따라 최대 200% 수당 지급 휴가 제도 · 유급휴가: 최대 5일까지만 다음 해로 이월 가능하며, 퇴사 시 미사용 휴가는 금전으로 보상 · 병가: 월급 근로자의 경우 병가가 30일을 초과하면, 해당 기간의 병가 수당 지급 의무가 지방정부로 이전 → 덴마크 거주자이자 세금 납부자여야 하며, 최대 22주간 병가 수당을 받을 수 있음 → 2024년 기준 최대 병가 수당액: 주당 4,695 DKK (매년 고용부에서 조정) · 출산휴가: 산모: 출산 전 4주, 출산 후 14주 / 부성휴가: 출산 후 2주 / 부부 공동 사용 가능 기간: 32주 → 일부 기업은 전체 급여를 지급하며, 지방정부는 주당 최대 4,695 DKK까지 보조 → 출산 4주 이전의 휴직은 병가로 간주되어 급여 지급 국민연금 · 3층 피라미드 구조의 노후 소득보장 체계 → 정부에서 받는 국민연금과 이를 보충하는 직장연금, 개인의 의사에 따라 별도로 마련하는 개인연금으로 구성 · 1층 국민연금 (Public Pension / Folkepension): 만 65~69세부터 지급 시작 · 2층 직장연금 (Occupational Pension): 대부분의 고용계약에 포함되어 있음(의무) · 3층 개인연금 (Private Pension): 본인이 추가로 납입 가능(선택) [참고] ATP(Arbejdsmarkedets Tillægspension) [https://www.atp.dk/en] 개인 소득세 · 덴마크는 고세율 국가이지만, 공제 항목이 많아 실효세율은 상대적으로 낮음 · 총 급여 소득은 소득세, 지방세, 실업기금, 교회세로 나뉘어 과세 * 소득 유형 - 개인소득: 급여, 현물급여, 자영업소득, 연금소득 등 - 자본소득: 이자소득, 이자비용, 순과세자본이익 등 - 과세소득: 개인소득이 자본소득에 추가되고 특정 항목별 공제에 따라 조정됨 - 주식수익: 배당금, 주식에 대한 자본 이득 - 재산가치: 덴마크 또는 해외에 위치한 재산의 가치 * 세금 종류별 세율 - 소득세: 12.1~15.0% - 지방세: 평균 25.018% - 실업기금: 8% - 주식수익세: 27~42% - 교회세: 평균 0.92%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상이, 덴마크국립교회(루터교) 신도에게만 부과) [참고] 덴마크 세무청 개인소득세 정책 [https://skat.dk/en-us/individuals] 특별 외국인 세제 (Expat Tax Scheme) · 외국인 연구자 및 고급 인재에게는 최대 84개월간 적용 가능한 특별세제 존재 · 조건 충족 시, 총 급여에 대해 27%의 균일 세율 적용 가능 (실업기금 포함 시 32.84%) · 월 급여가 연평균 75,100 DKK 이상이어야 하며, 사전 신청 필요 📌 비즈니스 에티켓 인사 및 복장 · 덴마크인의 76%가 모국어인 덴마크어와 함께 영어 구사 · 기본 인사 표현: Hej(안녕), Tak(감사), Mange Tak(매우 감사합니다) · 복장은 평소 자유로운 편이나, 공식 석상에서는 정장 권장 · 미팅 시 깔끔하고 단정한 복장 선호 커뮤니케이션 · 코로나 발생이후 화상 미팅 일반화, 간단한 자기소개 준비 필수 · 미팅 예약은 최소 2주 전 예약 권장, 2~3일 전 재확인 · 근무시간은 보통 오전 8:30~오후 4:00, 퇴근은 3:30~4:30 사이 · 금요일은 대부분 오후 3시 이전 퇴근하므로 업무 연락은 오전 권장 · 미팅 시간 지연 시 반드시 사전 양해 필요 2. 비자 및 행정 절차 덴마크는 외국인의 취업 및 체류를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구자에게 특히 유리한 AR1 취업 비자와 청년 대상의 워킹홀리데이 비자가 대표적입니다. 📌 AR1 취업비자 덴마크 내에서 고용 계약을 기반으로 근무하고자 하는 외국인을 위한 대표적인 취업·체류 허가 체류 기간 · 고용 계약 조건에 따라 최대 4년까지 체류 가능 · 계약 종료 시까지 동일 고용주에 한해 연장 신청 가능 유의사항 · 덴마크 내 신뢰기업(Fast Track 스킴 대상 기업) 소속일 경우 AR1이 아닌 별도 간소화 절차 이용 가능 · 입국 전 비자 승인 완료 후 체류 가능 · 수속 처리 시간은 평균 1~3개월 소요 [참고] 덴마크 비자접수센터 바로가기 [https://visa.vfsglobal.com/one-pager/norway/southkorea/korean/] 구비 서류 · 거주허가 신청서 출력본 (온라인 제출 후 출력) · 여권용 사진 2매 · 여권 원본 및 사본 · 고용계약서 사본 · (필요 시) 관련 자격증 또는 학위증명서 신청 절차 ① 온라인 신청 · 덴마크 이민국 사이트 접속 [바로가기] [https://nyidanmark.dk/en-GB/] · AR1 신청서 작성 후 제출 · 고용주가 해당 내용을 확인하고 공동 서명 ② 서류 제출 (14일 이내) · 주한 노르웨이 대사관(서울 소재)에 본인이 직접 방문 · 지문 등록 및 사진 촬영 ③ 입국 후 행정절차 · 덴마크 도착 후 지역 CPR 등록소에서 CPR 번호 발급 및 체류 등록 · 거주지 주소 등록 및 건강보험 카드 수령 ✔ 세부 스킴(AR1 세부 분류) 1) FAST TRACK SCHEME · 대상: SIRI(Danish Agency for International Recruitment and Integration)가 인증한 '신뢰 기업'에 고용된 경우 · 특징: 고용계약서 제출만으로 신속하게 비자 처리 가능 2) PAY LIMIT SCHEME · 대상: 연간 급여 487,000 DKK 이상일 경우(2024년 기준) · 특징: 직무·분야 제한 없이 연봉 기준만 충족하면 신청 가능 3) POSITIVE LIST SCHEME · 대상: 덴마크 내 구인난을 겪는 전문직(의료, IT, 엔지니어 등) · 특징: 국가가 지정한 직업군에 한해 우선 허가. 연 2회(1월 1일, 7월 1일) 직업 내역 목록 갱신되며 www.nyidanmark.dk [//www.nyidanmark.dk]에서 확인 가능 4) RESEARCHER SCHEME · 대상: 덴마크 연구기관에서 연구원으로 유급직 제의를 받은 경우 · 특징: 객원 연구원과 박사과정 학생에게는 별도 규정 적용 5) EMPLOYED PHD SCHEME · 대상: 덴마크 대학의 박사과정 등록생(급여 유무 무관) 또는 박사과정 연계 기업에서 급여를 받는 경우 · 특징: 박사과정 졸업 후 6개월간 구직 체류허가 신청 가능 · 체류 중 취업 제안 수락 시, 새로운 거주 또는 노동허가권 신청 필요 6) Start-up Denmark(Self-employment) Scheme · 대상: 덴마크 기업청(Danish Business Authority)이 지정한 전문가 패널이 사업 아이디어를 승인하고, 덴마크 경제 성장과 신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다고 판단 · 특징: 동일한 사업계획으로 최대 3인까지 공동 신청 가능, 노동허가권은 연간 최대 75명까지로 발급 제한 · 최초 체류기간 2년 만료 이후, 3년 단위 갱신 가능 📌 워킹홀리데이 비자 문화 체험과 단기 근로가 병행 가능한 만 18~34세 청년 (* 2024년 6월부터 상한 연령 조정) 자격 요건 · 한국 국적자, 가족 동반 불가 · 일정 수준의 자금 보유(15,000DKK 이상) 및 보험 가입 필수 체류 기간 · 1년 (최대 9개월까지 근로 가능) 유의사항 · 신청 시 약 DKK 2,115 상당의 수수료 납부 (2024년 기준, 약 42만 원) · 신청서는 중국 주재 노르웨이 대사관(베이징)에서 심사 · 평균 심사 기간 2~4주 [참고] 덴마크 워킹홀리데이 정책 확인하기 [https://www.nyidanmark.dk/en-GB/You-want-to-apply/Working-Holiday/Working-Holiday] 구비 서류 · 여권용 사진 2매 · 여권 원본 및 사본 · 비자신청서 [다운로드] [https://www.nyidanmark.dk/-/media/Files/SIRI/Application-forms/Working-Holiday/WH1_en.pdf?la=en-GB&hash=D15E2EEEA2E0433AD0A837F778C28FF3FDAECB40] · 영문 항공권 예약증 · 영문 은행잔고증명서 · 영문 보험증권 원본 및 사본 각 1부 신청 절차 1) 오프라인 신청: 최소 하루 전에 노르웨이 비자 신청 센터에 전화로 예약 예약일에 직접 방문하여 아래 서류 제출 및 생체정보 등록 진행 2) 온라인 신청: 최소 하루 전에 노르웨이 비자 신청 센터에 전화로 예약 ① 덴마크 비자접수 센터 홈페이지 방문 후 'Working Holiday - Australia, Canada, New Zealand or South Korea' 선택 [바로가기] [https://www.nyidanmark.dk/en-GB/You-want-to-apply/Working-Holiday] ② 이름과 여권번호, 이메일주소 입력 후 Case Order ID 생성하기 ③ 수수료 납부(2,255 DKK) ④ 필요서류 준비 후 신청서 작성 [바로가기] [https://forms.nyidanmark.dk/siri/Task/Edit/26810] 3. 현지 적응 및 생활 정보 * 은행 계좌 개설 · CPR 번호(덴마크 주민등록번호), 여권, 직업 증빙 서류 (고용계약서 등), 거주지 증명서류 (임대계약서 등) 필요 · CPR 카드 수령 전에는 임시 CPR 번호와 거주지 증명서로 대체 가능 · 일반적으로 6개월 이상 체류 예정자만 계좌 개설 가능. 단, 일부 은행은 3개월 체류 시도 조건부 가능 · 덴마크 크로네 및 외화(USD) 계좌 동시 개설 가능 · Dan Card(VISA 겸용 직불카드)는 별도 신청 및 발급하여 비밀번호 우편 수령 후 전화로 카드 활성화 · 은행 직접 방문 시 수수료 부과되는 경우 있음 (예: Danske Bank는 창구 이용 시 40 DKK) · 주요은행: Danske Bank, Nordea Bank, Jyske Bank 주택 임차 · CPR 번호 발급을 위해 거주지 등록 필수 · 보증금은 통상 월세 3개월분 이상 요구 · 계약 시 입주일자는 매월 1일 또는 16일이 일반적 · 해지 시 퇴실은 임대 종료 15일 전 권장 · 온라인 플랫폼(BoligPortal [https://www.boligportal.dk/], Findroommate [https://www.findroommate.dk/] 등) 활용 가능 건강보험 가입 · CPR 번호 발급 후 자동으로 의료보험에 등록 · 지정된 홈닥터(Family Doctor)를 통해 1차 진료 후 필요 시 전문의 연계 · 주말이나 공휴일에 약처방을 받아야 하거나 응급 시, 전화 1813 또는 응급실 이용 가능 · 대부분 진료비는 무료이나 일부 물리치료, 안경, 치과 치료는 본인 부담 또는 일부 보조 · 치과: 18세 미만 무료, 성인은 최대 25% 정부에서 지원 · 외국인 파견근로자 중 세금 미납자는 별도 민간 보험 가입 필요 · 유학생과 그 가족의 경우 덴마크 국민과 동일한 의료서비스 제공됨 운전면허 및 교통 · 2020년 이후, 대사관 공증 후 면허증 사용 또는 영문면허로 대체 가능 · 준비물: 건강증명서, 여권사진, 거주 증명서, 국제면허증 또는 한국 면허증(영문) · 신청처: 거주지 관할 Kommune의 Borgerservice(수수료 약 280 DKK) · 운전면허는 국제운전면허증으로 1년간 사용 가능하며, 한국과 상호인정 협약으로 면허 교환 가능 [참고]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 [https://www.0404.go.kr/consulate/consul_license.jsp] 대사관 및 한인 커뮤니티 연락처 · 덴마크 한국대사관(The Embassy of Republic of Korea): +45-3946-0400 · 덴마크 대한민국 대사관 영사과: +45-3946-0409 4. 커리어 성장 전략 - 연구 지원 프로그램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자 📌 덴마크 정부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 활용 Independent Research Fund Denmark (Danmarks Frie Forskningsfond, DFF) · 덴마크의 대표적인 기초연구 지원 기관 ·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보건, 농수산 등 분야별 기초연구 지원 · 대상: 박사후연구원(Postdoc), 신진연구자, 공동연구 컨소시엄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dff.dk/en] Innovation Fund Denmark (Innovationsfonden, IFD) · 산학협력 기반의 응용연구 및 기술 상용화 중점 지원 · 스타트업 또는 산업계 협력 프로젝트에 유리 · 대상: 박사후연구원(Postdoc), 기업부설연구소, 대학연구팀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innovationsfonden.dk/en] Horizon Europe · EU의 최대 R&D 프로그램으로 헬스케어, 에너지, 디지털 기술 등 전 분야에 걸쳐 연구 자금 지원 · 덴마크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할 수 있으며, 유럽 전역과의 협력 기반을 다지는 데 효과적 [대표 프로그램 구성] 1) Pillar I – Excellent Science - ERC (European Research Council): 우수 기초연구 개인 및 그룹 지원 - MSCA (Marie Skłodowska-Curie Actions): 박사후연구원, 이동성 중심 국제교류 펀딩 2) Pillar II – Global Challenges & European Industrial Competitiveness - 사회문제 해결(건강, 기후, 디지털 전환 등) 목표의 분야별 미션 중심 연구과제 지원 3) Pillar III – Innovative Europe - 유망 스타트업 및 혁신 기업 대상 (EIC Accelerator 등) - Deep-tech 및 기술 상용화 단계에 적합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research-and-innovation.ec.europa.eu/funding/funding-opportunities/funding-programmes-and-open-calls/horizon-europe_en] 📌 덴마크 민간 및 산업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 활용 * Novo Nordisk Foundation · 덴마크 최대 민간 재단 · 바이오·의학 분야 중심 박사후연구원(Postdoc), 임상 연구자, 기관 연구 프로젝트 등 다양한 경로로 신청 가능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novonordiskfonden.dk/en ] Lundbeck Foundation · 신경과학 및 정신건강 연구 중심의 민간 펀딩 재단 · 덴마크 내 대학·병원·연구소 소속 연구자 및 팀 단위 신청 가능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www.lundbeckfonden.com/en/grants ] Nordic Innovation · 북유럽 5개국(덴마크 포함)의 산업 간 협업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정부 간 프로그램 · 혁신 기술, 지속가능성, 헬스케어 등 분야에서 기업과 연구기관의 공동 파일럿 사업 중심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www.nordicinnovation.org] 📌 연구 네트워크 만들기 KOSEA Denmark (덴마크 한인과학기술자협회) · 덴마크 내 한인 연구자들이 운영하는 학술 커뮤니티 · 정기 세미나 및 유럽 학회 정보 공유 · 한국-덴마크 간 공동연구 기획, 산업계 연계 등 실질적 기회를 탐색하기에 유용한 커뮤니티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kosea.kr/] 덴마크 학회 및 유럽 학술대회 참여 [참고] International Conference Alerts [https://internationalconferencealerts.com/searchfresult?country=Denmark ] 덴마크에서 연구자로 자리 잡는 과정은 쉽지 않지만, 제대로 된 정보를 갖추고 준비하면 충분히 해낼 수 있습니다. 비자부터 취업, 연구 펀딩까지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한 걸음씩 나아가 보세요. 진학프로가 프로님들의 새로운 도전을 응원하겠습니다. 이 콘텐츠가 유용했다면 아래 공유하기 버튼으로 덴마크 취업을 준비하는 연구자 동료에게도 알려주세요!
지식백과사전
연구자를 위한 딥 리서치(Deep Research), 더 나은 논문을 쓰고 싶은 석박사라면
논문도 이제 AI와 함께 쓰는 시대입니다. 자료조사부터 최종 검토까지, 반복적인 작업은 AI에게 맡기고 본질적인 사고에 집중하는 흐름이 당연해지고 있죠. 진학프로가 소개했던 논문 작성에 도움되는 AI툴 6가지 [https://www.jinhakpro.com/insight/4] 콘텐츠도 많은 호응을 얻었는데요. 이번 글 또한 연구와 논문에 AI를 잘 활용하고 싶은 석박사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오늘 소개할 도구는 논문을 더 잘 쓰기 위한 AI, 딥리서치(Deep Research)입니다. 딥리서치는 ChatGPT · Perplexity · Gemini 등 AI 플랫폼에 탑재된 기능으로, 이전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번 글을 읽고 나면 딥리서치가 무엇인지, 학계의 반응과 활용 방안, 사용 시 주의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게되실 거예요. 이번 아티클 3줄 요약 · 딥리서치란? · Chat GPT vs Perplexity vs Gemini · 딥 리서치 활용 시 주의사항 *체크리스트 제공 1. 딥리서치란 무엇인가 딥리서치는 사용자의 복잡한 질문에 대해 AI가 실시간으로 인터넷 상의 다양한 정보를 탐색하고, 출처를 종합해 보고서 수준으로 정리된 응답을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기존 GPT의 웹 브라우징 기능과 달리 여러 자료를 종합해 보고서를 작성하고, 출처까지 명확하게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요즘 주목받는 대표적인 딥리서치 도구에는 퍼플렉시티·제미나이·챗지피티가 있는데 각각 방식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 · 사용자가 수많은 웹페이지를 사용자가 일일이 읽고 정리할 필요 없이 * · AI가 대신 탐색하고 요약하며 * · 출처까지 함께 제공해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 * * 기존 GPT vs 딥리서치 비교 항목 기존 GPT 브라우징 기능 딥리서치 기능 탐색 깊이 기사 또는 페이지 단위 요약 수십 개 출처를 비교, 종합, 정리 응답 형식 Q&A 스타일 출처 포함 구조화된 보고서 형태 작동방식 실시간 검색 + 즉시 응답 비동기형 분석(5~30분 소요) 활용 목적 뉴스 확인, 요약 등 간단한 검색 학술·산업 리서치, 정책 분석 등 고난도 탐색 논문 작성 과정에서 딥리서치는 사용자의 질문에 따라 웹상의 수많은 정보를 분석하고, 핵심 내용만 구조화해 보여줍니다. 생성된 보고서에는 각 정보의 출처와 인용이 함께 제공되어, 사용자가 팩트를 검증하고 신뢰도를 확인하는 것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딥 리서치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 사진에 표시된 심층 리서치(deep research 또는 연구) 버튼을 누르고 대화를 시작해보세요. *GPT, Perplexity, Gemini 사용법 모두 동일딥리서치 사용법을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챗지피티 대화창 왼쪽 하단의 심층리서치 버튼에 파란색 하이라이트 표시가 되어있다.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30082252_ja0gt.jpg] 2.석·박사 연구자들은 어떻게 평가할까? “GPT 가 박사급 연구원이 2주 동안 할 일을 8분 만에 해냈다” 라는 헤드라인 많이 보셨을 텐데요. 딥리서치에 대한 학계의 반응은 기대와 신중함이 함께 엿보입니다. AI가 연구자의 시간을 줄여주는 건 분명하지만, 그 결과물을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할지는 여전히 사람의 몫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요. 토론토대학교 Kevin Bryan 교수는 linked in에 딥 리서치 사용후기 [https://www.linkedin.com/posts/kevin-bryan-1458a6150_o3mckinleypdf-activity-7292013037954224128-dbOk]를 아래와 같이 남겼습니다 · 딥리서치 모델을 활용해 GPT에게 논문 초안을 작성해보라고 했다. · 한 번에 생성된 결과물은 나쁘지 않았고 솔직히 이보다 못한 논문을 심사한 적도 있다. · 물론 내가 원했던 것과는 정확히 일치하진 않았고 참신한 연구 결과라고 하기엔 부족했다. · 그래도 AI가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연구에 쓰이게 될지, 그 방향은 분명히 보였다. AI 플랫폼의 딥리서치 기능을 활용해 논문을 작성하고 있는 석박사의 이미지이다. [https://www-alpha.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25165404_7oeba.png] 국내 연구 현장에서도 딥리서치는 자료조사 시간을 단축해주는 효율적인 보조 도구로 받아들여 지고 있습니다. 특히 반복적이고 소모적인 연구 업무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평가가 많지만, 동시에 AI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연구자의 비판적 해석과 분별력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논문 작성 시 딥 리서치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하단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3.대표적인 딥리서치 툴 비교 항목 Chat GPT [https://chatgpt.com/] https://chatgpt.com/Perplexity [https://www.perplexity.ai/] https://chatgpt.com/https://www.perplexity.ai/Google Gemini [https://gemini.google.com/app?hl=ko] https://chatgpt.com/https://www.perplexity.ai/이용요금 [https://gemini.google.com/app?hl=ko] https://chatgpt.com/https://www.perplexity.ai/유료 플랜에서 이용 가능 [https://gemini.google.com/app?hl=ko] 1. https://chatgpt.com/https://www.perplexity.ai/https://gemini.google.com/app?hl=ko 2. https://chatgpt.com/https://www.perplexity.ai/일부 무료이용 가능 1. 일부 무료이용 가능 1. 강점 1. 다양한 질문을 처리할 수 있고 2. 결과물의 논리 구성이 비교적 우수함 1. 빠른 응답 1. 구글 기반의 검색으로 비교적 자료가 다양 약점 1. 결과물 처리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림 1. 입력할 수 있는 인풋이 비교적 한정적임 2. (텍스트 + 한정적 파일 업로드) 1. SEO(검색 시 상위노출 자료)에 편향될 가능성 있음 *인류의 마지막 시험 정답률 26.6% 1. 20.5% 1. 18.8% *인류의 마지막 시험: 인류의 마지막 시험은 OpenAI가 GPT 성능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지표로, SAT, AMC, USABO 등 고난도 시험에서 인간 대비 AI의 상대 성과를 측정한 것입니다. 인간이 AI에게 낼 수 있는 가장 어려운 문제를 모아 만든 평가로, Humanity's Last Exam을 줄여 HLE라고도 합니다. 공식 홈페이지의 deep research 소개 GPT Deep Research는 금융, 과학, 정책, 공학 등에서 정밀하고 신뢰할 수 있는 리서치를 수행해야 하는 지식 노동자를 위해 설계됐습니다. 또한 자동차, 가전제품, 가구 등 세심한 구매 판단이 필요한 소비자에게도 매우 유용합니다. 모든 결과물은 출처가 명확하게 제시되며, 사고의 흐름 요약이 포함되어 있어 검토와 검증이 용이합니다. 특히 여러 웹사이트를 찾아야만 알 수 있는 틈새 정보나 직관적이지 않은 정보를 찾는 데 강점을 발휘합니다. Deep Research는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웹 리서치를 하나의 쿼리로 단축시켜 귀중한 시간을 절약하게 해줍니다. Gemini 제미나이는 마치 우리가 연구를 할 때 그러하듯 웹상을 탐색하고 결과를 분석하며 연구를 진행합니다. 검색하고, 흥미로운 정보를 찾으며, 그 내용을 바탕으로 또 다른 검색을 시작합니다. 이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한 후, 주요 결과를 담은 종합적인 보고서를 만들어 냅니다. 이 보고서는 구글 문서로 내보낼 수도 있습니다. Perplexity Perplexity는 이미 질문에 대한 답변에 탁월합니다. 딥리서치는 질문 응답을 다음 수준으로 끌어올려, 인간 전문가가 수시간 걸릴 작업을 2~4분 만에 수행합니다.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추론을 통한 조사: 검색 및 코딩 기능을 갖춘 퍼플렉시티의 딥리서치 모드는 반복적으로 검색하고 문서를 읽으며,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 추론하여 주제 영역에 대해 더 많이 배울수록 조사 계획을 정제합니다. 이는 인간이 새로운 주제를 조사하면서 이해를 심화하는 방식과 유사합니다. · 보고서 작성: 소스 자료가 완전히 평가되면, 에이전트는 모든 조사를 명확하고 포괄적인 보고서로 통합합니다. · 내보내기 및 공유: 최종 보고서를 PDF나 문서로 내보내거나, Perplexity 페이지로 변환하여 동료나 친구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4. 논문 쓸 때 딥리서치, 이렇게 쓰세요 딥리서치가 논문 전체를 대신 써줄 수는 없지만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활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연구가 가능합니다. 연구에서 낭비되는 시간은 AI로 효율화하고 더 좋은 연구를 위해 시간을 투자하세요. 참고문헌 조사 · 관심 분야의 주요 인용 논문, 핵심 이론, 연구 동향 등을 빠르게 파악해 보세요. 💬 프롬프트 예시 “2020년 이후 AI 윤리와 관련해 학술적으로 가장 많이 인용된 주요 논문 5편을 핵심 키워드와 함께 요약해줘.” 연구 설계 힌트 얻기 · 가설 수립이나 실험 설계 전에 유사 연구의 설계 방식, 변수, 접근 방식 등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 프롬프트 예시 “이중집단 설계를 활용한 실험 논문 중, 변수 조작 방식과 측정 도구 구성을 예시와 함께 정리해줘. 논리 흐름 점검 · 초안 작성 후, 초안을 피드백 받거나 같은 주제로 딥리서치 보고서를 생성해 비교하면 내 글의 약한 연결고리, 누락된 요소를 점검 하세요. 💬 프롬프트 예시 “아래에 첨부한 내 논문 초안을 기준으로, 주장 전개 흐름에서 비약되거나 근거가 약한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줘. 부족한 논거를 보완할 수 있는 자료도 함께 추천해줘.” 아이디어 확장 · 기존 주제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거나, 인접 분야의 연구 사례를 탐색하면서 아이디어를 얻어보세요. 💬 프롬프트 예시 “디지털 헬스케어와 관련된 최근 3년 내 주목받는 신흥 연구 주제를 제시하고, 각 주제별 대표 논문과 키워드를 정리해줘.” 윤리적 검토와 중복 확인 · 유사 논문 존재 여부, 표절 가능성 등을 1차적으로 확인하는 데 도움받을 수 있어요. 💬 프롬프트 예시 “내가 작성한 초안 내용을 바탕으로 유사 주제를 다룬 기존 연구 논문이 있다면 리스트로 보여줘. 학술적 중복 가능성이 있는지도 판단해줘.” 5. 석박사가 딥리서치 사용할 때 주의사항 AI 기반 딥리서치는 조사와 정리에 강력한 보조 역할을 하지만, 논문 작성의 전 과정을 자동화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한계는 사용 전에 인지할 필요가 있어요. AI 플랫폼 딥리서치 이용 시 주의사항을 설명하고 있는 석박사의 모습이 담긴 이미지다. [https://www-alpha.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25165532_981lx.png] 열린 데이터에만 접근한다는 한계 딥리서치 도구는 무료로 접근 가능한 웹 기반 자료에 의존하기 때문에, 학술 DB(예: JSTOR, ScienceDirect 등)처럼 유료 논문이나 비공개 데이터에는 접근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핵심 선행연구가 누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질문을 세우는 건 여전히 연구자의 일 연구는 문제를 발견하고, 다양한 질문을 통해 구체화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AI도 이 과정에 기여할 수 있지만 연구의 핵심 주제를 정의하고 타당한 문제의식을 설정하는 일은 여전히 연구자의 해석과 통찰에 달려 있어요. 현장성이나 맥락적 해석에는 개입하기 어려움 인터뷰, 실험, 실증 사례를 다루는 연구에서는 데이터만큼이나 맥락의 이해와 해석이 중요합니다. 딥리서치는 구조화된 텍스트에는 강하지만, 현장성이 강한 연구에는 직접 기여하기 어렵습니다. 논리 전개가 비약적이거나 반복되는 경우도 있음 AI가 작성한 리서치 보고서에는 간혹 중복되거나 진술이 과장된 문장, 혹은 논리적으로 비약된 연결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연구자가 꼼꼼히 검토하지 않으면 왜곡된 흐름이 반영될 수 있어요. 7. 딥리서치 활용 전·후 체크리스트 딥 리서치를 활용하는 연구자라면, 논문 작성 시 아래 체크리스트를 꼭 확인하세요! * □ 자료 신뢰성 | AI가 제시한 출처는 학술적으로 검증된 자료인가? 1차 출처를 확인할 수 있는가? □ 맥락 적합성 | AI가 제시한 리서치 결과가 내 논문의 가장 중요한 질문 및 대상에 실제로 적용 가능한가? □ 선행연구 누락 여부 | 유료 DB 기반의 핵심 논문이 빠져 있지는 않은가? □ 논리적 비약 | 생성된 보고서에 논리적 비약이나 과장된 표현은 없는가? □ 질문 적절성 | 내가 던진 질문 자체가 충분히 구체적이고 연구 목적에 맞았는가? 연구자에게 유용한 정보 더 알아보기 이번 글에서는 딥리서치 뜻, 딥리서치 후기, 딥리서치 사용방법 등을 다뤄보았습니다. 오늘 아티클이 연구자 여러분의 더 나은 연구 활동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추가로 보면 좋은 자료를 아래 덧붙입니다. · 학회 발표 실수를 줄이는 노하우 [여기를 클릭] [https://www.jinhakpro.com/insight/138] · 박사들은 이력서에 희망연봉 얼마 쓸까? [여기를 클릭] [https://www.jinhakpro.com/insight/130] · 정출연(생명연) 석사 후 연구원에 관심있다면 [여기를 클릭] [https://www.jinhakpro.com/insight/122] · 다른 지원자들이 많이 조회한 인기 연구원 채용공고가 궁금하다면 [여기를 클릭] [https://www.jinhakpro.com/recruit/list?recruitTypeCode=RS&infoSortType=3]
학술연구정보
4월 24일 오늘의 연구과제정보 알림🔬
4월 24일, 마감 한 달 전 연구과제 🔔 · 2025년도 글로컬랩 사업 신규 과제 공모 · 2025년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양자-스위스) · 2025년 글로벌 클러스터 R&BD · 2025년도 능동형 안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형 플랫폼 기반 솔루션 개발 · 2025년 4월 기획·현안연구 연구개발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 공고 이미지 클릭 시 해당 공고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24153014_u1evg.png]https://www.nrf.re.kr/biz/info/notice/view?menu_no=378&biz_no=656&nts_no=240477&biz_not_gubn=guide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24154428_z4r5d.png]https://www.k-pass.kr/notice/ancView.do?ancId=P2664&gubun=NEW#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24153037_qb30k.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08855&bsnsYyDetail=2025&sorgnBsnsCd=S049683&bsnsAncmSn=1&chngRcveDeFro=2025/05/12&chngRcveDeTo=2025/05/26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24153045_ful9j.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3055&bsnsYyDetail=2025&sorgnBsnsCd=S050265&bsnsAncmSn=1&chngRcveDeFro=2025/05/02&chngRcveDeTo=2025/05/23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24153054_byf3p.png]https://rnd.mfds.go.kr/RDBAA02F01View
학술연구정보
4월 17일 오늘의 연구과제정보 알림🔬
4월 17일, 마감 한 달 전 연구과제 🔔 · 2025년도 글로벌기업산업기술연계R&D 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 2025년 리튬기반 배터리 제조(소) 및 저장·취급 시설 안전을 위한 기술개발 신규과제 공모 · 2025년도 한미 국제공동연구 추가지원 사업 신규과제 공모 ·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천리안위성 5호) 개발」사업 2차 공고 · 2025년도 과학기술혁신인재양성사업(합성생물학 전문인력양성사업) 신규과제 공모 이미지 클릭 시 해당 공고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17141901_7ynek.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1634&bsnsYyDetail=2025&sorgnBsnsCd=S050190&bsnsAncmSn=1&chngRcveDeFro=2025/03/14&chngRcveDeTo=2025/05/19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17141915_tf67l.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2994&bsnsYyDetail=2025&sorgnBsnsCd=S050237&bsnsAncmSn=1&chngRcveDeFro=2025/04/30&chngRcveDeTo=2025/05/15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17141922_9ua84.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3014&bsnsYyDetail=2025&sorgnBsnsCd=S050262&bsnsAncmSn=1&chngRcveDeFro=2025/04/16&chngRcveDeTo=2025/05/15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17143013_4ccos.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2894&bsnsYyDetail=2025&sorgnBsnsCd=S049499&bsnsAncmSn=3&chngRcveDeFro=2025/04/21&chngRcveDeTo=2025/05/13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17141933_4a997.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2803&bsnsYyDetail=2025&sorgnBsnsCd=S050263&bsnsAncmSn=1&chngRcveDeFro=2025/04/11&chngRcveDeTo=2025/05/13
지식백과사전
2025 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 과제, 핵심만 빠르게 요약해드립니다.
지난 31일, 2025년도 개인기초연구사업 2차 공모가 열렸습니다. 과기부와 연구재단은 이번 사업을 통해 연구자 개개인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몰입하고, 기초연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입니다. 개인연구를 수행하는 이공계 연구자라면 꼭 확인해야 하는 과제 소식이니 아래 내용을 꼼꼼히 읽어 보세요. 이번 2차 과제 공고에는 창의연구형 중견연구, 우수신진연구, 개척연구, 국가아젠다 기초연구까지 연구재단 과제 총 4가지가 연구자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번 아티클 3줄 요약 · 개인과제 4개 3분 정리 (지원자격, 연구비 지원 규모 등) · 사업 별 연구계획서에 써야 하는 항목은? · 지원이 제한되는 경우는? 연구재단 2차 개인기초과제 3분 정리 아래 4개의 사업에서, 총 1천 365개 내외의 신규 과제를 선정합니다. 사업 사업목적 및 특성 지원대상 연구기간 연간 연구비 중견연구 -창의연구형 다양한 분야 우수한 연구자의 필요 최소 규모를 충족하는 소규모 연구 지원 대학 이공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국(공)립·정부출연·민간연구소의 연구원 1~3년 0.7억 원 내외 *직접비 0.56억 원 내외 신진연구 - 우수신진연구 (씨앗연구) 신진연구자의 연구 기반 확충 및 수월성 배양을 위한 창의적 연구지원 박사 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인, 국내대학 이공분야 전임교원 및 국(공)립·정부출연·민간연구소의 정규직 연구원 *최초 조교수 이상의 직위로 임용된 지 5년 이내인 국내대학 소속 전임교원은 박사 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가 아니더라도 신청 가능 1년 1억원 내외 *직접비 0.8억 원 이내 개척연구 기존의 연구 수행이 많이 이루어진 영역보다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새로운 개념 발견 및 정립 등 개척형 연구 수행을 지원 대학 이공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국(공)립·정부출연 연구소의 연구원 1~3년 1억원 내외 *직접비 0.8억 원 이내 국가아젠다 기초연구* 12대 국가전략기술 및 미래 유망 분야 등 국가·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기초연구 지원 대학 이공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국(공)립·정부출연 연구소의 연구원 1~3년 2억원 내외 *직접비 1.6억 원 이내 *2025 국가아젠다 목록 국가아젠다 기초연구는 <2025년도 국가아젠다 목록>에 한하여 신청 가능합니다. 올해 아젠다 40개를 아래 간단하게 정리했으니, 내가 지원할 수 있는 연구분야가 있는지 살펴 보세요. 1. 혁신전략형(프론티어형) 아젠다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의 50개 세부중점 기술 중 30개 세부중점기술 선정 반도체·디스플레이 반도체 첨단패키징 전력반도체 프리폼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리튬이온전지 및 핵심소재 이차전지 모듈·시스템 첨단 모빌리티 자율주행시스템 도심항공교통(UAM) 차세대 원자력 소형모듈형원자로(SMR) 선진원자력시스템·폐기물 관리 첨단바이오 합성생물학 유전자·세포 치료 감염병 백신·치료 우주항공·해양 우주관측·센싱 달찰륙·표면탐사 해양자원탐사 수소 수전해 수소생산 수소연료전지 및 발전 사이버보안 데이터·AI 보안 네트워크·클라우드 보안 신산업·가상융합 보안 인공지능 효율적 학습 및 AI인프라(SW/HW)고도화 첨단 AI 모델링·의사결정(인지·판단·추론) 산업활용·혁신AI 차세대 통신 오픈랜(Open-RAN) 고효율 5G·6G 통신부품 첨단로봇·제조 로봇 정밀제어·구동 부품·SW 고난도 자율조작 인간·로봇·상호작용 양자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2. 미래유망형 아젠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과학기술 또는 중대한 기술적 변화에 대한 신흥・기초원천기술 분야 발굴 및 지원 고차원 정밀 단백질 모듈 및 네트워크 실증 및 응용기초 연구 진단/치료용 나노소재 개발 지구 시스템 및 위험 기상 감시·예측 기술 뉴로모픽 소자와 인공지능 반도체 재난·재해예방과 탄소중립 스마트 인프라 양자 반도체 기술 및 소재 초전도체 소재, 집적회로, 부품, 장비 신개념 스마트 센서 Physical AI 난치성 암 치료를 위한 면역 제어 기전 및 응용 연구 *아티클 하단 연구재단 공고 바로가기 링크에서 아젠다의 세부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니, 꼭 원본 공고문을 확인하세요. 연구계획서 문항 미리보기 다음은 과제마다 연구계획서에 입력해야 하는 항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마지막엔 간단한 표 형식으로 과제 별 문항을 비교해 놓았으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창의연구형 과제 연구계획서 문항 01 | 연구과제의 필요성 · 전체 연구방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안한 연구의 개념을 핵심어 중심으로 간략하게 기술 · 연구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가설’ 및 ‘연구가설의 도출근거’를 기술하고, 본 연구의 중요성에 대하여 자유롭게 기술 02 | 연구과제의 목표 및 내용 · 연구과제의 최종목표: 본 연구가 지향하는 최종연구목표를 기술 · 연구과제의 내용: 연구내용, 연구목표, 연구범위, 연구기간 및 연구비 적정성 등 평가착안점에 대하여 자유롭게 기술 (연차별 목표 기재 가능) 03 | 연구과제의 추진전략․방법 및 추진체계 · 위에 제시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 및 방법을 자유롭게 기술(기초연구단계 연구과제는 간략하게 작성 가능) 04 | 연구자의 연구 수행역량 · 제안하는 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자 본인의 역량을 자유롭게 기술 · 연구자가 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경력 등의 근거(다양한 업적, 선행연구 등)를 기술 05 | 연구과제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연구성과의 활용방안: 연구과제 수행에 따른 예상되는 연구성과와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 기술 · 연구성과의 기대효과: 연구성과의 과학기술적, 경제·산업적, 사회적 측면에서 기대효과·파급효과 기술 06 | 기타 · 그 외 제안된 연구계획과 관련하여 연구책임자가 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을 자유롭게 기술 우수신진연구 과제 연구계획서 문항 01 | 연구과제의 필요성 및 연구주제의 심화 발전 가능성 연구과제의 필요성 · 전체 연구방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안한 연구의 개념을 핵심어 중심으로 간략하게 기술하되, 창의성 및 도전성이 드러나도록 기술. · 연구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가설’ 및 ‘연구가설의 도출근거’를 기술하고, 본 연구의 중요성에 대하여 자유롭게 기술 · RB세부분야가 융합분야인 경우 융합성을 포함해 기술 연구주제의 심화 발전 가능성 · 향후 본 연구주제에서 개발할 수 있는 연구책임자의 잠재력과 심화 발전 가능성을 자유롭게 기술 02 | 연구과제의 목표 및 내용 · 연구과제의 최종목표: 본 연구가 지향하는 최종연구목표를 기술 · 연구과제의 내용: 연구내용, 연구목표, 연구범위, 연구기간 및 연구비 적정성 등 평가착안점에 대하여 자유롭게 기술 (단년도 과제에 맞춰서 작성) 03 | 연구과제의 추진전략․방법 및 추진체계 · 위에 제시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 및 방법을 자유롭게 기술 (기초연구단계 연구과제는 간략하게 작성 가능) 04 | 연구자의 연구 수행역량 · 제안하는 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자 본인의 역량을 자유롭게 기술 · 연구자가 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경력 등의 근거(다양한 업적, 선행연구 등)를 기술 05 | 연구과제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연구성과의 활용방안: 연구과제 수행에 따른 예상되는 연구성과와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 기술 · 연구성과의 기대효과: 연구성과의 과학기술적, 경제·산업적, 사회적 측면에서 기대효과·파급효과 기술 06 | 기타 · 그 외 제안된 연구계획과 관련하여 연구책임자가 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을 자유롭게 기술 [https://www-alpha.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16161936_sut2h.png] 개척연구 과제 연구계획서 문항 01 | 연구 아이디어의 대담성 · 전체 연구방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안한 연구의 개념을 핵심어 중심으로 간략하게 기술 · 연구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가설’ 및 ‘연구가설의 도출근거’를 기술하고, 본 연구의 대담성에 대하여 자유롭게 기술 02 | 변혁적 연구의 잠재성 · 본 연구가 제안하고 있는 실패의 위험이 크지만, 도전하지 않았던 새로운 시도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 03| 사업 목적(개척연구)과의 부합성 · 개척연구의 목적 : 기존의 연구 수행이 많이 이루어진 영역보다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새로운 개념 발견 및 정립 등 개척형 연구 수행을 지원 04 | 추진 전략의 체계성 및 우수성 · 위에 제시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 및 방법을 자유롭게 기술(기초연구단계 연구과제는 간략하게 작성 가능) 05 | 연구 내용 및 방법의 적합성 · 연구과제의 최종목표: 본 연구가 지향하는 최종연구목표를 기술 · 연구과제의 내용: 연구내용, 연구목표, 연구범위, 평가착안점에 대하여 자유롭게 기술 (다년차인 경우, 연구기간 및 연구비의 적정성, 필요성을 포함한 연차별 목표 기재) 06 | 연구 성과(결과)의 영향력(파급력) · 연구성과의 활용방안: 연구과제 수행에 따른 예상되는 연구성과와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 기술 · 연구성과의 기대효과: 연구성과의 과학기술적, 경제·산업적, 사회적 측면에서 기대효과·파급효과 기술 07 | 기타 · 그 외 제안된 연구계획과 관련하여 연구책임자가 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을 자유롭게 기술 국가아젠다 기초연구 과제 연구계획서 문항 01 | 사업목적과 아젠다와의 부합성 · 연구자가 제시한 연구과제와 신청한 사업(국가아젠다 기초연구) 및 아젠다 분야(세부 기술분야)와의 부합성에 대한 설명을 자유롭게 기술 · 사업목적과의 부합성 : 연구자가 제시한 연구과제가 타 사업이 아닌 국가아젠다 기초연구에서 지원되어야 하는 이유를 간략하게 기술 · 아젠다와의 부합성 : 아젠다 분야(세부 기술분야)와의 부합성 02 | 연구주제의 적합성 · 전체 연구방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안한 연구의 개념을 핵심어 중심으로 간략하게 기술 · 연구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가설’ 및 ‘연구가설의 도출근거’를 기술하고, 연구주제의 적합성과 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자유롭게 기술 03 | 연구과제의 연구적· 산업적 파급력 · 연구성과의 활용방안: 연구과제 수행에 따른 예상되는 연구성과와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 기술 · 연구성과의 기대효과: 연구성과의 과학기술적, 경제·산업적, 사회적 측면에서 기대효과·파급효과 기술 04 | 연구과제의 목표의 도전성 및 실현 가능성 · 연구과제 목표 및 실현가능성 : 본 연구가 지향하는 최종연구목표 및 실현가능성을 기술 · 연구과제의 내용: 연구내용, 연구목표, 연구범위, 평가착안점에 대하여 자유롭게 기술 (다년차인 경우, 연차별 목표 기재 가능) 05 | 연구과제의 추진전략・방법 및 추진체계 · 위에 제시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 및 방법을 자유롭게 기술 06 | 연구자의 연구 수행역량 · 제안하는 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자 본인의 역량을 자유롭게 기술 · 연구자가 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경력 등의 근거(다양한 업적, 선행연구 등)를 기술 07 | 기타 · 그 외 제안된 연구계획과 관련하여 연구책임자가 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을 자유롭게 기술 과제 별 문항 비교 문항 No. 창의연구 우수신진연구 개척연구 국가아젠다 기초연구 1 연구과제의 필요성 연구과제의 필요성 및 연구주제의 심화 발전 가능성 1. 연구 아이디어의 대담성 1. 사업목적과 2. 아젠다와의 부합성 2 1. 연구과제의 목표 및 내용 1. 연구과제의 목표 및 내용 1. 변혁적 연구의 잠재성 1. 연구주제의 적합성 3 1. 연구과제의 추진전략 2. ・방법 및 추진체계 1. 연구과제의 추진전략 2. ・방법 및 추진체계 1. 사업 목적(개척연구)과의 부합성 1. 연구과제의 2. 연구적·산업적 파급력 4 연구자의 연구 수행역량 1. 연구자의 연구 수행역량 1. 추진 전략의 2. 체계성 및 우수성 1. 연구과제의 목표의 도전성 2. 및 실현 가능성 5 1. 연구과제의 2.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1. 연구과제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1. 연구 내용 및 방법의 적합성 1. 연구과제의 추진전략 2. ・방법 및 추진체계 6 1. 기타 1. 기타 1. 연구 성과(결과)의 2. 영향력(파급력) 1. 연구자의 연구 수행역량 7 1. - 1. - 1. 기타 1. 기타 이런 경우 참여가 제한돼요. [https://www-alpha.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16165633_rmgme.png] 아래 내용에 해당하는 경우 과제 신청과 수행이 제한됩니다. 01 | 개인연구사업 1차 공모 신청자 · 개인연구사업 1차 공모 과제 신규 선정 연구자는 당해연도 개인연구 신규과제 추가 신청 불가(개척연구 제외) 02 | 기존 연구 수행자의 신청 및 수행 제한 · 개인연구사업 내에서 연구책임자로 한 개 과제만 수행 가능 · 집단연구사업 내에서 연구책임자 또는 공동연구원으로 한 개 과제만 수행 가능 03 | 연구개발과제 수의 제한 · 기초연구사업은 연구자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를 최대 5개로 제한하며, 그 중 연구책임자로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는 최대 3개로 제한 그 외 석박사 연구자에게 도움되는 알짜 정보 지금까지 과기부 기초연구사업 2차 신규과제 핵심 정보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공분야에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싶은 연구자라면, 이번 아티클을 바탕으로 기초연구사업에 도전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석박사에게 도움이 되는 더 많은 콘텐츠를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 지금 석박사 구직자에게 인기있는 채용 공고 [바로가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list?infoSortType=3] · 2024 국내 대학강사 강의료 순위 TOP 30 [바로가기] [https://www.jinhakpro.com/insight/90] · 박사 신규 졸업자 희망연봉은 O천 만원? [바로가기] [https://www.jinhakpro.com/insight/130] · 한국연구재단 2025 기초연구사업 2차 신규과제 공모 [바로가기] [https://www.nrf.re.kr/biz/info/notice/view?menu_no=378&page=2&nts_no=239023&biz_no=42&target=&biz_not_gubn=guide&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 한국연구재단 2025 기초연구사업 2차 신규과제 신청요강 및 매뉴얼 [바로가기] [https://www.nrf.re.kr/biz/notice/view?menu_no=362&page=2&nts_no=239890&biz_no=388&target=&biz_not_gubn=result&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학술연구정보
4월 10일 오늘의 연구과제정보 알림🔬
4월 10일, 마감 한 달 전 연구과제 🔔 · 초고집적 반도체용 vdW 소재 및 공정기술개발사업 · 2025년도 차세대광패키징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공모 · 2025년도 초거대AI 확산 생태계 조성사업(1차) 공고 · 2025년 1차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2단계) 기술개발 및 실증 신규과제 공모 · 2025년 과학기술혁신정책지원사업 연구과제 공모 이미지 클릭 시 해당 공고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10145647_vmsce.png]https://www.nrf.re.kr/biz/info/notice/view?menu_no=378&biz_no=648&nts_no=239793&biz_not_gubn=guide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10145656_5wb6a.png]https://www.nrf.re.kr/biz/info/notice/view?menu_no=378&biz_no=649&nts_no=239791&biz_not_gubn=guide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10145710_bkqrh.png]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311&mPid=121&pageIndex=&bbsSeqNo=100&nttSeqNo=3179387&searchOpt=ALL&searchTxt=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10145721_sdcf1.png]https://www.nrf.re.kr/biz/info/notice/view?menu_no=378&biz_no=650&nts_no=239691&biz_not_gubn=guide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10145728_tsoov.png]https://www.kistep.re.kr/board.es?mid=a10404000000&bid=0028&list_no=94136&act=view
지식백과사전
석사 PT면접 PPT 준비법부터 GPT로 실전연습 꿀팁까지
오늘은 석사 졸업자가 사기업 연구직 면접을 준비할 때 도움이 되는 핵심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특히 마지막 챕터에서는 면접 스터디 없이도 GPT를 활용해 돌발적인 질의응답에 대비하는 꿀팁을 담고 있으니, 석사 취준생이라면 이번 아티클을 끝까지 읽어주세요. 면접에서 석사가 학사보다 유리할까? 대부분의 연구직 면접에서는 석사의 연구 경험이 경쟁력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면접관들은 석사 지원자에게 더 전문적인 답변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이 기대치는 기본값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오히려 감점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석사 지원자라면 다음 두 가지는 기본적으로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본인 연구분야에 대한 지식 및 트렌드 이해 · 본인의 연구내용이 회사(특히 지원한 부서와 직무)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에 대한 아이디어 [TIP] 많은 석사 취준생들이 “이 연구가 정말 이 회사에 맞는 걸까?”를 고민하다가 결국 확신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사한 내용이 충분하지 않거나 논리에 빈틈이 있다고 느끼면, 아예 자신 있게 말하지 못하는 거죠. 하지만 면접관이 기대하는 건 '완벽한 정답'이 아니라, 스스로 내린 결론에 대한 믿음과 설득력입니다. 정답에 가까워지기 위해 고민한 흔적이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어요. 사기업 연구직 신입사원 채용 면접에서 석사 지원자가 본인의 연구분야에 대해 자신감있게 설명하고 있는 일러스트 이미지이다. [https://www-alpha.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9142618_zouks.png] 석사 PT면접, 어떻게 준비할까? 석사 면접은 일반 면접과 다르게 ‘자유 주제 PT 면접' 방식이 많습니다. 보통 10~20분 분량이며, 석사 시절 진행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발표하게 됩니다. 자유주제 발표인 경우 보통 자기소개 · 지원동기 · 연구경험 및 실적 · 향후 연구계획 등을 포함합니다. 아래에서 PPT 슬라이드 구성 방법을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겠습니다. [TIP] 발표에서 중요한 점은 연구를 자세히 설명하는 시간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석사 PT발표는 학교 강의가 아니라 기업을 설득하는 제안서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석사 PT면접 PPT 구성 예시 (10분 발표 기준) 항목 슬라이드 수 상세 내용 표지 1장 시작부터 눈길을 끌어봅시다. "직무 면접 발표”와 같은 단순한 제목보다는 "OO한 지원자 OOO" 과 같은 컨셉을 활용해 보세요. · 제목 | 본인의 강점을 어필할 수 있는 캐치프레이즈 · 목차 | 따로 슬라이드를 구성하기보다는 표지에서 컴팩트하게 소개하는 것을 추천 · 지원분야 및 지원자 이름 | 의외로 많은 지원자가 기재하지 않는 중요한 정보 자기소개 2장 자기소개에서는 아래 두 가지 물음에 대답해 주시면 됩니다.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인가?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 따라서 아래와 같은 구성을 추천합니다. · 1장 | 동료로서의 지원자는? 취미나 특기 같은 일반적인 자기소개가 아닌, 같이 일하면 어떤 사람일지 면접관이 머리에 그릴 수 있게 설명 · 2장 | 연구자로서의 지원자는? 연구 참여 이력을 표·그래프 형태로 보여주고, 대표 이력 3가지에서 수행한 역할 간단 소개 강조하고 싶은 연구역량 1장 먼저 직무에 필요한 역량 3가지를 정의하고, 해당 역량을 갖춘 지원자임을 연구경험(근거)와 함께 어필하세요. 대표 연구 소개 4장 대표 연구 1가지를 자세하게 소개하세요. · 연구 배경 및 수행과정 · 연구에서 본인의 역할(새로운 제안을 했거나, 어려움 극복한 사례를 중심으로 작성) · 연구의 의의 · 직무와의 연관성 마무리 1장 발표내용을 요약하며 마무리하세요. 면접관은 석사를 이렇게 본다 면접에 무조건 합격하는 만능 답변은 없습니다. 다만, 석사 지원자가 면접관들에게 주는 보편적인 인식을 알고 있으면 합격에 조금 더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면접관이라면 석사 지원자에게 어떤 기대나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을까요? 면접관의 시선이 되어봅시다. 면접관의 시선 답변 전략 석사 연구내용을 기반으로 보다 빠른 사업화 해주길 바람 직무와 사업부에 내 연구이력이 어떻게 도움될 수 있을지 가장 많이 고민해야 합니다. 왜 박사 진학을 하지 않았지? (단순한 궁금증 + 금방 나갈 사람인지 확인) 박사 진학이 아닌 기업을 선택한 이유가 명확히 정리되어 있어야 합니다. 박사에 대한 여지를 남기지 않는 것을 추천해요. 석사는 사실 박사만큼 주도적이지 않을 수 있다. 주도성을 드러내는 사례를 준비하세요. 본인 연구를 잘 이해하고 있는 것은 기본, 연구 과정에서 문제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제안을 한 사례를 고민해보세요. GPT와 함께하는 실전 연습법 사기업 연구직 신입사원 채용 PT면접에서 석사 지원자가 본인의 연구를 성공적으로 발표하고 면접관의 박수를 받고 있는 일러스트 이미지이다. [https://www-alpha.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9143828_7j4qm.png] 면접을 앞두고 면접 스터디를 해야할까 고민하실 텐데요. 혼자서도 실제 상황처럼 다양한 돌발질문을 연습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지피티를 활용하면 효율적으로 면접을 대비할 수 있어요. 📌 준비물 · ChatGPT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자기소개서 또는 발표 스크립트 · 프롬프트 (명령어) 📌 활용방법 1. Chat GPT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로그인합니다. 2. 입력 창에 프롬프트(명령어)를 입력합니다. GPT에게 면접관 역할을 주고, 음성채팅 기능을 활용해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습니다. 이때, 정확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분의 쉬운 면접 준비를 위해 아래 프롬프트 예시를 준비했으니 걱정 마세요! 밑줄 친 내용만 상황에 맞게 변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프롬프트 예시 너는 OO기업 OO직무 석사 지원자를 평가하는 면접관이야. 아래 발표 스크립트를 보고 궁금한 점을 하나씩 질문해줘. 중점적으로 파악하고 싶은 건 지원자가 직무에 대해 얼마나 이해했는지, 회사에 대해 얼마나 조사했는지, 지원자의 연구경험과 연구역량, 주도성과 협업 능력이 있는지야. [발표 스크립트 입력] 위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예상 질문을 도출하고, 도출한 질문을 한 번에 한 개씩 나에게 질문해줘. 절대 질문 리스트를 나에게 먼저 공개하지 말고, 한국어로 질문해줘. 준비가 되면 고급음성모드를 시작할게. 고급음성모드를 시작해도 될까? 3. GPT가 준비가 되었다고 응답하면, 고급음성모드를 시작하세요. 고급음성모드로 전환되면 “모의 면접 시작해줘” 라고 말해보세요. 질문이 시작됩니다. ▼ 고급음성모드 시작하는 방법 석사 채용 면접 준비를 위한 챗지피티 활용법 안내. 챗 지피티의 고급음성모드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오른쪽 하단의 버튼을 클릭하여 대학원 면접 실전 연습을 진행하라고 안내된 이미지이다. [https://www-alpha.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9121130_fwk26.png] 4. 질문과 답변을 반복 연습하세요! 고급음성모드가 종료되면 나의 답변이 텍스트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답변을 다시 복기하며 부족한 내용은 보완해보세요. 석사 취업 꿀팁 더 알아보기 이번 글에서는 석사 PT면접, 석사 PT면접 ppt 구성, 석사 PT면접 질문 유형, 그리고 GPT 실전 연습법까지 다뤄보았습니다. 오늘 아티클이 취준생 여러분의 쉬운 구직 활동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면접을 준비하고 계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링크를 아래 덧붙입니다. 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 발표 실수를 줄이는 노하우 [여기를 클릭] [https://www.jinhakpro.com/insight/138] · 박사들은 이력서에 희망연봉 얼마 쓸까? [여기를 클릭] [https://www.jinhakpro.com/insight/130] · 정출연(생명연) 석사 후 연구원에 관심있다면 [여기를 클릭] [https://www.jinhakpro.com/insight/122] · 다른 지원자들이 많이 조회한 인기 연구원 채용공고가 궁금하다면 [여기를 클릭] [https://www.jinhakpro.com/recruit/list?recruitTypeCode=RS&infoSortType=3]
커리어향상
학회 발표 실수 방지 가이드: PPT 템플릿, 스크립트 대본, Q&A 준비까지 체크리스트 제공
학회 발표, 처음 준비할 때 꽤나 막막하죠. 논문 하나 제대로 정리하기도 벅찬데, 그걸 누군가 앞에서 ‘말로 설명’해야 한다는 건 완전히 다른 이야기거든요. 이 글은 그런 고민을 가진 석·박사생을 위한 생존 가이드입니다. 슬라이드 구성 템플릿부터 발표 흐름 짜는 법, 자주 나오는 질문들까지, 실제 발표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만 담았습니다. 📌 오늘의 콘텐츠 목차 1. 학술대회 발표 슬라이드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2. 연구 주제를 내가 진짜 이해하고 있긴 할까? 3. 논문 발표 흐름과 스크립트, 이렇게 짜보세요 4. 학회 발표 시 자주 나오는 실수를 피하는 방법 5. 질의응답(Q&A) 대응 전략: 시험이 아니라 대화입니다 6. 발표 후가 진짜 시작입니다 7. 발표 준비 체크리스트 1. 학술대회 발표 슬라이드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학회 발표를 처음 준비할 때 대부분 “자료는 많은데, 뭐부터 보여줘야 하지?”라는 막막함을 느낍니다. 자료조사는 생각보다 방대하고, 필요한 그림과 표를 고르고 구성의 방향을 잡는 데도 시간이 꽤 걸리죠. 보통은 슬라이드를 2주 전에 본격적으로 만들기 시작합니다. 하루하루 마감이 다가올수록 집중력이 붙고, 그동안 미뤄놨던 논문 정독도 이때 몰아서 하게 됩니다. 핵심은 “이 슬라이드 하나로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은가”를 매번 되묻는 겁니다. 📌 학술대회 발표 구성 기본 템플릿(10분 기준) 학술대회 발표 구성 기본 템플릿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7150315_mk9eu.png] 📌 디자인 팁 · 슬라이드 하나에 핵심 메시지 하나만 · 텍스트 5줄 넘으면 안 읽습니다 · 표나 그래프 등 시각 자료로 청중 이해를 돕기 · 폰트는 최소 18pt로 가독성 좋게 · 디자인은 간단하고 일관성 있게 (흐릿한 배경, 복잡한 효과 지양) 2. 연구 주제를 내가 진짜 이해하고 있긴 할까? 학술대회발표준비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7150441_ko5a9.png] 연구 설계부터 통계 정리, 결과 해석까지는 했지만, 왜 이 데이터가 중요하고 어떤 인사이트를 줄 수 있는지 정리가 안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르는 걸 줄이기보다는 이해가 부족한 채로 넘긴 부분을 줄이는 게 중요합니다. 📌 발표 PPT 슬라이드 작성 팁 · 발표 전에 반드시 지도교수님이나 연구실 팀원들 앞에서 리허설을 해보세요. 어떤 부분의 이해도가 부족하고 보완해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이때 나온 질문이 학회에서 거의 그대로 나옵니다. · “왜 이 방식으로 분석했나요?” 같은 질문에 답을 못하면 슬라이드가 아무리 좋아도 무너집니다. 3. 논문 발표 흐름과 스크립트, 이렇게 짜보세요 학술대회발표스크립트대본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7150501_nho81.png] 말을 잘하는 사람보다, 구조와 논리가 명확한 발표자가 더 기억에 남습니다 📌 추천 흐름 (10분 발표 기준) · 인트로 (1~2분): 왜 이 연구를 했는지, 무슨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지 · 방법 (2~3분): 어떤 방식으로 접근했는지 (자료, 대상, 분석 방식 등) · 결과 (3~4분): 핵심 결과는 무엇인지, 그림과 도식으로 쉽게 표현하기 · 결론 (1~2분): 이 연구가 무슨 의미가 있었는지, 향후 계획은 무엇인지 📌 발표 준비 팁 · 결론부터 먼저 말하고 세부 내용을 따라가는 역피라미드 구조도 효과적입니다. · 각 파트에 들어가기 전, 한 문장으로 핵심을 요약해보고 시작하면 발표 전체 흐름이 정리됩니다. · 발표 스크립트는 외우지 말고, ‘내 언어로 말하는’ 연습을 반복하세요. 그래야 예상치 못한 질문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요. 4. 학회 발표 시 자주 나오는 실수를 피하는 방법 * 슬라이드 넘기는 타이밍부터 질문 대응까지, 실수는 정해진 패턴이 있기 마련이죠. * 미리 알고만 있어도 절반은 피할 수 있습니다. * 📌 학술대회 발표 실수 유형별 해결책 * 학술대회 발표 실수 유형별 해결책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7150550_nxzde.png] * 5. 질의응답(Q&A) 대응 전략: 시험이 아니라 대화입니다 * 질문이 들어왔을 때 당황하지 않는 팁은 단 하나입니다. 미리 예상 질문을 적고 답을 준비해보는 것이죠. * 📌 발표 후 자주 나오는 질문 예시 · 이 연구 방법을 선택한 이유는? · 샘플 크기가 결과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나? · 데이터 수가 적은데 신뢰성은 어떻게 확보했나? · 기존 연구와 어떤 차별점이 있나? · 이 결과, 실제로 어디에 쓰일 수 있을까? · 향후 연구 계획은 어떻게 되나? 📌 발표 Q&A 연습 팁 · 예상 질문은 꼭 미리 준비 후 키워드를 기억해두세요. 지도교수 또는 동료에게 예상 질문을 요청하는 것도 좋습니다. · ChatGPT 등 AI가 만들어주는 질문도 의외로 유용합니다. 📌 당황스러울 때 이렇게 대답해보세요 이렇게 말할 수 있다면, 오히려 청중에게 성실한 연구자라는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발표실수답변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7150617_3eq17.png] 6. 발표 후가 진짜 시작입니다 “잘 들었습니다. 발표 흥미로웠어요.” 이 한마디에서 좋은 연구 네트워크가 시작되기도 합니다. * 📌 네트워킹이 어려운 이유부터 짚자 · 낯선 사람에게 먼저 말을 거는 게 어색함 · 대화 시작할 명확한 구실이 없음 · 말을 걸었다가 뻘쭘해질까 걱정됨 → 하지만 “발표를 들었다는 사실” 자체가 이미 대화의 초대장이에요. 📌 네트워킹 유지하는 방법 · 메일/메신저 follow-up: 학회 끝난 후 2~3일 내에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예시] “○○ 학회에서 인사드렸던 ○○입니다. 발표 관련해 ○○ 이야기 나눠보고 싶어요.” · 공동 연구 제안 or 논문 공유 [예시] "최근 비슷한 주제의 논문을 보게 되어 공유드립니다." [예시] “혹시 이 주제로 협업이 가능할지 검토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 연락드립니다." 📌 그렇다면 어떻게 말을 거는 것이 좋을까? 질문 + 감상 + 내 소개의 구조로 이어가는 게 좋습니다. · 너무 길게 말하기보다, 자연스럽게 공감 1~2문장 + 가벼운 질문으로 시작해보세요. [TIP] ‘한 줄 자기소개’ 외워두기: “○○대학에서 ○○를 주제로 연구 중인 석사과정 ○○입니다.” 학회발표네트워킹방법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7150645_kksh5.png] 7. 발표 준비 완벽 체크리스트 발표를 준비할때 필수적인 내용들만 체크리스트로 담았습니다. 저장이나 공유해두고 발표 준비할때 두고두고 확인해보세요. * 📌 슬라이드 & 내용 구성 □ 발표 시간을 확인하고 슬라이드 수를 조절했다 (10분 발표 = 10~12장) □ 각 슬라이드마다 전달할 핵심 메시지를 1개로 정리했다 □ 슬라이드 내 글자 크기를 18pt 이상으로 맞췄다 □ 그림, 표, 그래프는 최소한의 정보만 담아 시각적으로 정리했다 □ 발표 흐름이 도입–방법–결과–결론 구조로 논리적으로 연결된다 □ 피드백을 받을 동료나 지도교수에게 슬라이드를 공유할 예정이다 📌 발표 연습 & 리허설 □ 스톱워치로 발표 시간을 재며 최소 2번 이상 연습했다 □ 전체 스크립트를 외우지 않고, 흐름 위주로 말할 수 있다. □ 발표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은 입에 붙을 정도로 연습했다 □ 예상 질문 3~5개와 그에 대한 답변을 준비했다 □ 슬라이드 넘기는 타이밍과 멘트를 함께 연습했다 📌 장비 & 자료 점검 □ 발표 파일을 USB와 클라우드 양쪽에 백업해뒀다 □ 발표장 장비(HDMI, 리모컨, 화면 출력 등) 호환 여부를 확인했다 □ 노트북, 충전기, 포인터 등 개인 장비를 미리 점검했다 □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PDF 버전 슬라이드도 준비했다 📌 발표 직전 마인드셋 □ 심호흡 3회 + 천천히 말하기로 스스로와 약속했다 □ 시선은 슬라이드가 아닌 청중 3군데 이상에 고르게 분산할 계획이다 □ 모르는 질문이 나와도 솔직하게 “확인 후 답변드리겠다”고 말할 준비가 돼 있다 □ 발표 중 실수해도 흐름만 유지하면 괜찮다는 걸 상기했다 📌 발표 후 네트워킹 □ 질문자에게 발표 후 “감사합니다” 인사와 대화를 시도할 계획이다 □ QR 명함 또는 링크트리 등 내 프로필 공유 수단을 준비했다 □ 네트워킹 팔로업을 위한 메일/DM 문구를 미리 생각해뒀다 발표 실력은 연습으로 쌓이고, 경험으로 완성된다 학회 발표, 누구에게나 어렵고 떨리는 일입니다. 하지만 준비하는 과정 자체가 내가 내 연구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돌아보는 과정입니다. 학회 발표를 '진짜 준비했다'는 건 내 연구를 내 언어로 설득력 있게 풀어낼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있다는 뜻이니까요. 슬라이드, 흐름, 질문, 네트워킹까지 하나씩 차근히 준비해두면 그만큼 안정감 있게 무대를 마무리할 수 있을거예요.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면, 그 과정을 스스로의 성장으로 만들어가길 진학프로가 응원합니다.
학술연구정보
4월 3일 오늘의 연구과제정보 알림🔬
4월 3일, 마감 한 달 전 연구과제 🔔 · 2025년도 제2차 글로벌연구협력지원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 2025년 한미 전략기술 선행표준화 공동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 · 2025년도 한-프랑스(ANR) 공동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 · 2025년 한반도 과학기술협력사업 신규과제 공모 · 2025년도 한-미군과학연구소 양자센싱 공동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 이미지 클릭 시 해당 공고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3150224_z24ht.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1857&bsnsYyDetail=2025&sorgnBsnsCd=S002896&bsnsAncmSn=6&chngRcveDeFro=2025/04/28&chngRcveDeTo=2025/05/12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3150234_brqrr.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0056&bsnsYyDetail=2025&sorgnBsnsCd=S050173&bsnsAncmSn=1&chngRcveDeFro=2025/02/06&chngRcveDeTo=2025/05/09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3150243_q4e4m.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0277&bsnsYyDetail=2025&sorgnBsnsCd=S050169&bsnsAncmSn=1&chngRcveDeFro=2025/02/13&chngRcveDeTo=2025/05/07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3151350_qrxvq.png]https://www.nrf.re.kr/biz/info/notice/view?menu_no=378&biz_no=74&nts_no=239106&biz_not_gubn=guide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403150739_q302y.png]https://www.nrf.re.kr/biz/info/notice/view?menu_no=378&biz_no=527&nts_no=238943&biz_not_gubn=guide
지식백과사전
2025년 4월 : 대학 전임·비전임교원, 강사, 연구원 채용예상일정 궁금하다면?
아래 채용일정 참고하셔서 지원 준비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4년 4월의 진학프로 공고 중 채용분야별 인기가 많았던 공고를 알려드립니다. 작년 채용 일정을 기반으로, 누구보다 빠르게 지원을 준비해보세요. [전임교원] 기관명 공고명 접수시작일 접수마감일 서울대학교자유전공학부, 인문대학 2024학년도 제1차 교원 채용 공고2024-04-012024-04-22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2024학년도 전임교원 채용공고2024-04-012024-04-19동아대학교2024학년도 2학기 전임 및 전담 전임교원 초빙 공고2024-04-032024-04-09동국대학교2024학년도 2학기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교수초빙(정년트랙) 공고2024-04-092024-04-12경북대학교2024학년도 제2차 경북대학교 교수 초빙 공고2024-04-092024-04-16서울시립대학교2024년 하반기 전임교원 신규채용 공고2024-04-122024-04-30성균관대학교2025학년도 전임교원 정시채용(공개전형) 안내2024-04-152024-04-29단국대학교2024학년도 2학기 신규교원 공개채용 공고2024-04-192024-05-03서울사이버대학교학부 전임교원 초빙 공고2024-04-222024-05-07한국항공대학교2024-2학기 전임교원 채용 공고 (1차)2024-04-222024-05-10 [비전임교원] 기관명 공고명 접수시작일 접수마감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2024년 제1차 교수초빙(교육공무원 일반공개채용) 공고2024-04-022024-05-02숭실대학교2024-1학기 신규교원 및 대학교육혁신원 연구교수 초빙 공고2024-04-022024-04-22단국대학교2024학년도 1학기 특별교원 공개채용 공고2024-04-032024-04-08순천향대학교산학협력전담교수 초빙 공고2024-04-112024-04-23서울사이버대학교학부 및 대학원 2024학년도 2학기 비전임교원 1차 초빙 공고2024-04-152024-04-25목원대학교2024학년도 1학기 연구교수 신규임용 채용공고2024-04-162024-04-22장안대학교장안대학교 특임교원 2차 초빙공고2024-04-162024-04-22서울대학교2024. 9. 1.자 기초교육원 강의교원 채용공고2024-04-182024-05-10성균관대학교2024학년도 여름 계절수업 강의배정 공개전형(강사·비전임교원 신규/재임용) 공고2024-04-262024-04-30건양대학교2024.6.1부 초빙교원 모집 공고2024-04-302024-05-07 [강사] 기관명 공고명 접수시작일 접수마감일 유원대학교(U1대학교)유원대학교 2024학년도 1학기 강사 공개채용 5차2024-04-022024-04-04한경국립대학교국제인재교육센터 영어강사 채용 공고2024-04-082024-04-22춘천교육대학교2024학년도 1학기 교육대학원 강사 추가채용2024-04-102024-04-12나사렛대학교2024학년도 여름학기 한국어강사 채용 공고2024-04-162024-04-23이화여자대학교문화예술교육원 강사풀 모집 공고2024-04-192024-04-30전남대학교2024년 제2회 언어교육원 한국어 강사 채용 공고2024-04-192024-04-28총신대학교2024학년도 2학기 강사 재임용 공고2024-04-222024-05-07서울대학교경영대학 2024학년도 제1차 강사 채용 공고2024-04-292024-05-07계명대학교2024학년도 상반기 국제사업센터 한국어학당 강의전담강사 모집 2차2024-04-292024-05-08한림성심대학교한림성심대학교 HiVE사업단 비학위 교육과정(상반기) 강사 모집2024-04-302024-05-03 [연구원] 기관명 공고명 접수시작일 접수마감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정규직(과학기술정책 분야) 채용 공고2024-04-042024-04-22국립부경대학교전임연구원 채용공고2024-04-082024-04-12한국부동산원부동산연구 석사·박사 채용 공고2024-04-092024-04-24한신대학교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재맞고/고맞고) 연구원 채용 공고2024-04-112024-04-21티센바이오팜연구원/R&D(박사) 정규직 모집 공고2024-04-162024-06-15성균관대학교미래정책연구원 박사급 연구원 공개채용2024-04-182024-04-24건국대학교건국대학교 교육성과관리센터 연구행정직 채용공고2024-04-232024-05-07한국과학기술연구원2024년도 KIST 제1차 연구부문 공개채용2024-04-242024-05-13이화여자대학교영어영문학부 BK21 미래인재 양성사업 교육연구단 신진연구인력 초빙 공고2024-04-262024-05-03식품의약품안전처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비임상자원연구과 전문연구원 (다급) 및 정책연구원 (나급) 채용공고2024-04-302024-05-17
학술연구정보
3월 27일 오늘의 연구과제정보 알림🔬
3월 27일, 마감 한 달 전 연구과제 🔔 · 국민생활안전긴급대응연구사업2.0 · 보스턴 코리아 공동연구지원사업 · 2025년도 제1차 에너지국제공동연구 신규과제 공고(에너지기술선도국제공동연구) · 2025년도 혁신성장 피부건강 기반기술 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추가공고 안내 · 2025년도 스페이스챌린지사업(학제간 창의융합) 신규과제 공모 이미지 클릭 시 해당 공고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327145943_9fip6.png]https://www.nrf.re.kr/biz/info/notice/view?menu_no=378&biz_no=650&nts_no=238788&biz_not_gubn=guide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327145951_rnxvz.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1994&bsnsYyDetail=2025&sorgnBsnsCd=S049063&bsnsAncmSn=1&chngRcveDeFro=2025/03/26&chngRcveDeTo=2025/04/25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327145957_mf1fo.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1795&bsnsYyDetail=2025&sorgnBsnsCd=S002570&bsnsAncmSn=1&chngRcveDeFro=2025/03/18&chngRcveDeTo=2025/04/28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327150004_juwqy.png]https://www.htdream.kr/main/pubAmt/addPubAmtView2.do?pbanId=8688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327150012_4mxzc.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2055&bsnsYyDetail=2025&sorgnBsnsCd=S050188&bsnsAncmSn=1&chngRcveDeFro=2025/04/09&chngRcveDeTo=2025/04/23
지식백과사전
풀브라이트 장학금 총정리: 지원자격부터 합격자 후기·전공 통계까지
풀브라이트 대학원 장학 프로그램의 원서접수가 오는 4월 1일 시작됩니다. 최대 $55,000를 지원하는 이 장학금은 2026년 가을학기 미국 대학원 입학을 희망하는 대한민국 국민으로, 2026년 2월까지 4년제 대학 졸업(예정)자라면 누구든 지원 가능한데요. 오늘은 풀브라이트(Fulbright) 장학금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 풀브라이트 장학금 3분 요약과 후기, 장학생 통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풀브라이트 장학금 소개 한국 정부와 미국 정부가 공공 운영하는 미국 대학원 유학 장학금으로, 다음해 가을학기에 유학을 희망하는 사람이라면 지원 가능합니다. 이번 2026년도 장학 프로그램에서는 장학생 OO명을 선발할 예정입니다. 근 3개년 합격자 통계를 살펴보면 평균 29명을 선발했어요. 장학금은 1년간 지급되며, 수혜자의 학업 성취도와 예산에 따라 1년 단위로 1회 연장 이 가능합니다. 즉, 최대 2년까지 수혜 가능합니다. 지원 일정 내용 일정 원서접수2025. 4. 1 (화) ~ 5. 20 (화) 5pm (KST), 구비서류 우편접수 * (1) 풀브라이트 지원서 및 (2) 한미교육위원단 지원서는 온라인 작성 및 제출 서류평가2025년 6월영어 면접2025년 7월 중순 ~ 8월 초 (7월 중 면접 대상자 개별 연락)최종 합격자 발표2025. 9. 19 (금) 5pm (일정 변경 가능)합격자 OT2025. 9. 24 (수) 합격자 필참 대면 행사, Accuplacer 시험 진행 예정 (일정 변경 가능)Pre-Departure OT2026년 6월 중순 (합격자 필참)장학금 수혜 개시2026년 8~9월 (출국 및 대학원 진학) 첫 지원자가 자주 묻는 질문 Q. 대학원 합격 전인데, 장학금 지원 가능한가요? 네. 대학원 합격 여부와 관계없이 지원할 수 있습니다. 합격자뿐만 아니라 지원 예정자도 접수 가능하며, 장학금 수혜 여부는 대학원 입학이 확정된 후 결정됩니다 Q. 지원 금액(장학금)은 얼마인가요? 장학금은 학비와 생활비를 포함한 본액과, 그 외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장학금 본액 · 석사과정 | 연 최대 약 7,300만 원 · 박사 및 석박사 통합과정 | 연 최대 약 6,000만 원 · 생활비 | 월 약 415만 원 ~ 630만 원 · 석사 및 박사 과정 모두, 최소 20,000달러 보장 · 생활비는 소속 대학의 지역 물가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장학금 본액에 포함 추가 지원 · 가족수당 | 가족 1인 동반 시 월 200달러, 2인 동반 시 월 350 달러 · 의료보험 | 연간 100,000달러 상당의 보험 제공(장학생 본인에 한해 최대 5년) · 항공권 | 장학생 본인에 한해 왕복 항공권 지원 · 수화물비 | 귀국 시 500달러, 동반 가족 1인 이상 시 700달러 지급 * Q. 전공 제한이 있나요? 지원 가능한 전공은 인문, 사회과학, 예체능 등 비-STEM 계열입니다.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전공자는 별도의 이공계 첨단분야 장학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합격 이후 전공 변경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학업계획서에 명시한 전공으로만 진학 가능합니다. [TIP] 대중음악 전공자라면, CJ Fulbright 음악대학원 장학 프로그램을 확인해 보세요. Q. 정해진 학교에 지원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원하는 학교에 지원하시면 됩니다. Q. 풀브라이트 선발 기준은 무엇인가요? 소득 수준은 평가 대상이 아니며 학문적 우수성과 사회적 기여 가능성 등 ‘우수성’에 기반해 선발됩니다. 공인 어학점수, 대외활동, 학업계획서 등 다양한 서류가 종합적으로 평가됩니다. 희소 전공, 학교 소재 지역, 해외 경험 등도 가산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Q. 학위 과정 변경이 가능한가요? 불가능합니다. 석사를 선택한 경우 석사과정에만, 박사를 선택한 경우 박사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에만 진학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소지한 학위와 같은 수준의 과정에 지원할 수 없습니다. 지금 석사 학위가 있는 경우, 석사 유학 지원 불가합니다. 풀브라이트 장점 풀브라이트 장학생이 말하는 풀브라이트 대학원 장학 프로그램의 장점을 정리했습니다. 공식 홈페이지의 합격 수기에서, 합격생이 언급한 장점만 모았으니 확인해 보세요. · SOP 등 풀브라이트 장학금 지원에 필요한 주요 서류가 대학원 입시에 그대로 활용돼 효율적이라고 느꼈어요. · 정성 평가가 비중 있게 반영돼 다양한 배경이 존중받습니다. · 미국 내 인지도가 높아 장학생이라는 사실 자체가 좋은 인상으로 작용합니다. · 풀브라이트 장학생 커뮤니티와 동문 네트워크를 통해 교류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 학비와 생활비가 지원되어 경제적인 부담이 줄고, 공부에만 집중할 수 있었어요. 풀브라이트 단점 한편 풀브라이트 장학금은 자유도가 낮고 조건이 까다로운 장학금으로 평가되곤 합니다. 아래 구체적인 단점을 확인해 보세요. · 수혜 이후 2년간 한국에 거주해야 하는 J-1 비자 규정이 있어, 졸업 후 미국 취업을 희망하는 경우 제약이 생겨요. · 장학금 수혜 전후로 학위나 전공을 바꾸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 어학 점수와 미국 체류 이력 등에서 까다로운 지원 자격 요건이 적용됩니다. · 장학금과 대학원 입시를 동시에 준비해야 하므로, 지칠 수 있어요. 선발된 장학생, 어떤 전공에 어떤 학위였을까? 풀브라이트 장학금 합격자 통계를 보면 매년 어떤 배경의 지원자들이 선발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나 같은 전공도 가능할까?' 궁금하셨다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의 수혜자 데이터를 꼭 확인해보세요. 2021-2023 장학금 수혜자 학위 분포 학위과정 비율(%) Master’s56%Doctorate44% 2021-2023 장학금 수혜자 전공 전공 인원(명) Business Administration6Economics3Foreign Service3International Relations3Political Science3Chemical Engineering2Education2English2Environmental Engineering2Fine Arts2Literature2Mechanical Engineering2Politics2Second Language Studies2Accounting1Agribusiness1Anthropology1Applied Linguistics1Architecture1Art History1Asian Languages and Cultures1Bioengineering1Business1Business Analytics1Business and Management1Cinema and Media Studies1Civil Engineering1Communication1Communications1Communications & Media1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Education1Computer Science1Computer Science – Language Technologies1Creative Producing in Film1Development Studies1East Asian Studies1Education,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ology1Educational Studies1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1Environmental Science1Epidemiology1Fiber Science1Food Science1Global Affairs1Industrial Engineering and Operations Research1International Economics and Finance1International Policy1Linguistics and Applied Linguistics1Mass Communications1MCRP Study in City Regional Planning1Media Arts1Media Studies1Painting1Philosophy1Psychological and Brain Sciences1Psychology1Public Administration in International Development1Public Affairs1Public Policy1Public Service & Administration: Public Policy Analysis1Quantitative Economics1Sculpture1Sociology1Special Education1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1 장학금 이후의 길 풀브라이트 장학생은 유학 이후 박사후 연구원(포닥), 교수, 정부기관 연구직 등 다양한 진로로 이어갈 수 있습니다. 내 전공 분야의 채용공고를 확인하고, 그 커리어가 요구하는 직무 역량 및 경력을 확인해보세요! 풀브라이트 장학금 지원서에 진로 목표를 작성하실 때 좀 더 구체적으로 작성하실 수 있을 거예요. · 석박사 pick, 인기 전임교원 채용공고 보기 [여기를 클릭 [https://www.jinhakpro.com/recruit/list?recruitTypeCode=P&infoSortType=3]] · 석박사 pick, 인기 연구원 채용공고 보기 [여기를 클릭 [https://www.jinhakpro.com/recruit/list?recruitTypeCode=RS&infoSortType=3]] [https://www.jinhakpro.com/recruit/list?recruitTypeCode=RS&infoSortType=3]· 해외 포닥 채용공고 보기 [여기를 클릭 [https://www.jinhakpro.com/search?regions=%25ED%2595%25B4%25EC%2599%25B8]] [https://www.jinhakpro.com/recruit/list?recruitTypeCode=RS&infoSortType=3] * * 준비는 까다롭지만 그만큼 가치 있는 장학금입니다. 잘 준비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면 좋겠습니다.
해외취업정보
네덜란드 취업 A to Z: 석사·박사 연구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네덜란드 비자, 정착 정보
네덜란드에서 연구자로 커리어를 쌓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네덜란드 취업, 비자, 국가정착, 연구비지원정보 등 제대로 정리된 자료를 찾기 어려웠다면, 이번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1. 네덜란드 취업 정보 📌 취업 유망 분야 생명과학 및 의료 · 네덜란드는 유럽의약품청(EMA)이 위치한 암스테르담을 중심으로 3,000개 이상의 R&D 기반 생명과학 기업과 420개 이상의 바이오 제약 회사가 활발히 활동 · 제약, 바이오, 디지털 헬스 분야에서 국제 협력 프로젝트가 활발하며, 외국인 인력 채용에도 적극적 · 관련 거점: Leiden Bio Science Park, Utrecht Science Park 등 · 약 €69,000 (SalaryExpert 기준) [https://www.salaryexpert.com/salary/job/biomedical-research-scientist/netherlands/leiden] 화학 및 지속가능 소재 산업 · 네덜란드 화학 산업은 유럽 내에서도 큰 규모를 자랑하며, 세계 25대 화학 기업 중 19개가 진출해 있음 · 바이오 기반 소재, 탄소 중립 화학공정, 순환경제 대응 소재 개발이 국가적 전략으로 채택되고 있어 관련 연구 인력 수요가 지속 증가 중 · 스타트업-대기업-R&D센터 간 연계도 활발 · 관련 거점: DSM, SABIC, AkzoNobel, Shell, Avantium, Corbion, Arlanxeo 등 · 스타트업-대기업-R&D센터 간 연계도 활발 · 평균 연봉: €55,000~€65,000 (Glassdoor 기준) 하이테크 (반도체·로봇·항공우주) · 반도체 리소그래피 장비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ASML, 차량용 반도체 기업 NXP, AI 기반 시스템 기업 등이 주도 · 연구개발부터 시스템 설계까지 외국인 채용이 활발한 편 · 평균 연봉: €48,000~€60,000 (Glassdoor 기준) 연구직 (POSTDOC, 교수직, 기업 연구소) · 박사 후 연구원(Postdoc) 은 대부분 계약직이지만 국가 및 EU 펀딩 기반의 안정적 환경이 마련돼 있음. · 교수직은 공무원 체계 내 임금대로 운영되며, Assistant → Associate → Full Professor에 따라 연봉 차이가 큼 · 외국인 교수 채용은 영어 강의가 가능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나, 유럽인 우선 채용이 일반적이므로 전문성과 펀딩 수주 능력이 중요 · Postdoc 평균 연봉: 약 €50,000~€70,000 · Assistant Professor: 약 €55,000~€70,000 /Associate Professor: 약 €70,000~€85,000 /Full Professor: 약 €90,000~€130,000 📌 취업 관련 정보 취업 준비팁 · 공식 언어는 네덜란드어지만, 연구직 및 고급 전문직은 영어만으로도 업무 수행이 가능 · 단, 네덜란드에는 한국어와 네덜란드어를 모두 구사하는 인력풀이 적기 때문에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음 네덜란드 근로시간법령(WORKING HOURS ACT / ARBEIDSTIJDENWET) · 주 40시간 근무 기준 (법적으로는 최대 60시간까지 가능) · 법정 유급 휴가는 연 20일 이상이며, 평균적으로 25~30일 휴가 제공 휴가 제도 · 임신 및 출산휴가: 총 16주이며 사회보장청(UWV)에서 급여의 100% 지원. 출산 6주 전부터 가능하며, 출산 후 10주 이상 연속 사용 가능. 배우자는 출산 6개월 내 5주간 70% 유급 휴가 가능 · 육아휴가: 아이가 8세 이하일 경우 사용. 총 기간은 주당 근무시간*26시간이며, 9주간 최대 70% 유급 · 긴급휴가: 유산, 사산 등 긴급 상황 시 사용. 고용주는 정상 급여 100% 지급 · 단기 가족병간호휴가: 주당 근무시간의 2배까지 사용 가능. 고용주는 급여의 70% 지급 국민연금 · 노령연금(AOW): 순 급여의 17.9% 원천징수 · 유족연금(ANW): 0.6% 원천징수 · 특별의료비연금(WLZ): 9.65% 원천징수 · 실업보험(WW), 근로장애연금보험(WIA), 의료보험(ZVW): 고용주 및 근로자 분담 · 18세 미만 자녀에게 아동수당(AKW) 지급 (보험료 없음) [참고] SVB (Sociale Verzekeringsbank) [https://www.svb.nl/nl/] 개인 소득세 · 네덜란드의 소득세는 총 3가지 카테고리(Box)로 나뉘며, 소득 유형에 따라 다른 세율 적용 Box 1. 근로, 자영업, 주택 관련 소득 · 일반적인 급여소득, 자영업 소득, 주택 모기지 이자 공제 등을 포함하며, 실질적인 생활소득 대부분이 이 범주에 해당 · 2025년 기준 (세율 구조 개편) €0 ~ €38,441: 35.82% / €38,441 ~ €76,817: 43.5% / €76,817 초과: 49.5% Box 2. Significant interest (5% 이상 보유한 법인 지분에서 발생한 소득) · 주로 스타트업 창업자, 투자자 등이 대상이며, 배당 및 주식 매각 차익에 해당 · €67,000 이하: 24.5% / €67,000 초과: 31% Box 3. 저축 및 투자 소득 · 예금, 증권, 부동산 등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과세 대상으로 하며, 순자산(자산 – 부채)에서 기초 공제액(€57,684)을 차감한 후 과세 · 적용 세율: 36% (2025년 기준) [참고] 네덜란드 정부 공식 포털 [https://www.rijksoverheid.nl/onderwerpen/inkomstenbelasting/soorten-inkomstenbelasting] 📌 비즈니스 에티켓 인사 및 복장 · 네덜란드 비즈니스 미팅에서는 정장을 기본으로 하되, 넥타이는 공식 행사에서만 착용해도 무방 · 복장을 통해 상대의 전문성과 신분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깔끔하고 격식 있는 복장 중요 · 인사 시 악수는 필수이며, 손에 힘을 주고 눈을 마주치며 2~3회 흔드는 강한 악수가 선호됨 · 모든 상대와 악수하며 이름을 밝히는 것이 기본적인 비즈니스 인사 예절 커뮤니케이션 · 네덜란드인은 정시 문화가 철저하며, 미팅 지각 시 사전 연락 반드시 필요 · Small talk보다 본론 중심의 대화를 선호하며, 협상은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음 · 감정보다 논리와 근거를 중시하며, 의견 제시는 항상 데이터나 사실 기반이어야 함 · 조직 내에서 수평적 소통이 보편적이며, 상급자에게도 이름을 부르는 등 위계보다 실질을 중시 · ‘Yes’는 말 그대로 확정된 약속을 의미하므로, 책임감을 가지고 신중하게 응답해야 함 2. 네덜란드 비자 및 행정 절차 네덜란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체류와 근로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자, 고학력자, 유학생에게 유리한 제도가 잘 마련되어 있으며, 가족 동반이나 구직 유예 비자도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편입니다. 📌 싱글퍼밋(SINGLE PERMIT) 고용계약 하에서 네덜란드 내 고용주를 위해 노동을 제공하고 보수를 받는 외국인 근로자에게 발급되는 비자 자격 요건 · 네덜란드 고용주가 5주~3개월간의 결원 모집 기간 동안 네덜란드 및 유럽의 인력을 구하지 못하는 경우에 한해 신청 가능 · 실업급여청(UWV)에 노동허가(TWV) 신청 필수 · 고용주는 IND 등록된 스폰서여야 함 체류 기간 및 특이사항 · 1년 (연장 가능) 📌 HSM(HIGHLY SKILLED MIGRANT) 고학력 전문인력(연구자, 개발자 등)에게 발급되는 취업 비자 자격 요건 · 세전 급여 수준이 만30세 이상은 월급 €5,688 이상, 만 30세 미만은 €4,171 이상이어야 함(‘25년 기준) · 고용주는 IND 등록된 스폰서여야 하며, 노동허가(TWV) 없이 고용주가 근로자를 대신해 체류허가를 신청하면 발급 가능 체류 기간 및 특이사항 · 최대 5년(연장 가능) 📌 유럽 블루카드(EUROPEAN BLUE CARD) 고학력 비유럽 국적자의 유럽 취업 지원을 위한 비자 자격 요건 · 네덜란드 내 법인과 6개월 이상 유효한 고용계약 필요 · 세전 급여 수준 월 €5,688 이상(2024년 기준, 휴가 수당 제외), 졸업 3년 이내인 경우 월 €4,551 이상 · 통상적으로 3년 이상 고등교육과정(학사 이상) 졸업 필요 · ICT 전문가 또는 ICT 매니저는 최근 7년 내 3년 이상 관련 경력만으로도 신청 가능 (학위 불필요) · 고등교육학위 없이도 5년 이상의 관련 경력 증빙 시 신청 가능 (CV, 추천서 등 필요) · 고용주가 네덜란드에서 또는 신청자가 자국의 대사관을 통해 신청 체류 기간 및 특이사항 · 고용계약 기간 + 3개월 (최대 5년) 체류가능하며 이후 연장 가능 · 질병 또는 장애로 인해 일시적으로 소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최대 12개월까지는 유지 가능 · 외국 학위 소지자는 IDW(International Credential Evaluation)의 학위 평가 보고서 제출 필수, 네덜란드 내 대학 졸업자는 학위증 사본만 제출 · 고학력 비유럽 국적자의 유럽 취업 지원을 위한 비자 [참고] EU BLUE CARD [https://www.eubluecard.nl/eu-blue-card/] 📌 오리엔테이션 비자(WORK PERMITS FOR GRADUATES / ORIENTATION YEAR / ZOEKJAAR) 네덜란드 대학 졸업자 및 세계 Top 200 대학 석박사 졸업자에게 1년간 주어지는 구직 허가 비자 자격 요건(최근 3년 이내 해당 학위 중 1가지 취득한 경우) · 네덜란드 고등교육기관에서 학사나 석사 학위를 취득한 자 · 네덜란드 고등교육기관의 박사 · 세계 Top 200위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석사 과정을 졸업한 자 체류 기간 및 특이사항 · 최대 1년(연장 불가, 1회만 신청 가능) 📌 연구자 체류허가 (RESIDENCE PERMIT FOR RESEARCHERS, EU DIRECTIVE 2016/801) 비유럽 박사과정생, 연구자가 네덜란드 연구기관에서 연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체류 및 근로 허가 자격 요건 · 네덜란드 정부가 인정한 연구기관(Recognised Sponsor) 소속이어야 함 · 석사 이상 고등교육 학위 소지자 또는 연구기관이 인정한 동등한 수준의 학력 보유자 · 연구계획(목표, 기간, 자금조달)이 사전에 승인되어 있어야 함 · 소득 요건 충족 (급여, 장학금, 후원금 등 포함) · 초청 협약서(Hosting Agreement) 또는 고용계약 필수 체류 기간 및 특이사항 · 연구 활동 계약 또는 협약 기간 동안 유효 (최대 5년까지 가능) · 180일 이상 체류 시 장기 체류로 간주되며, 네덜란드 현지 체류허가 필요 · 180일 이하 단기 체류 시에는 기존 EU 국가의 허가로 단기 활동 가능 (별도 신고 필요) · 다른 EU 국가에서 연구 활동 시 ‘Intra EU Mobility’ 활용 가능 · 네덜란드 외 다른 EU국가 연구 활동 시 사전 IND 신고 필요 (최대 4주 전) 📌 워킹홀리데이(WORKING HOLIDAY SCHEME) 관광+취업 병행 비자 자격 요건 · 만 18세~30세 · 유효한 여권, 돌아오는 항공권, 여유자금 증빙 필요 신청 절차 1. 주한 네덜란드 대사관에 연락해 방문 일자와 시간을 예약 (방문시간: 월·수·금 9시~12시) 2. 여권 지참 후 방문하여 신청서 작성, 지문 등록, 사진 촬영 3. 단기비자(MVV) 신청서, 워킹홀리데이 신청서, 결핵검사 수검의향서, 여권 사본 및 항공권(또는 여유자금 증빙) 제출 4. 이민청(IND) 심사 및 수수료(€53) 송금. 수수료 수령 후 IND는 비자 발급 여부를 약 2~3주간 심사 5. 결과 통보 후 대사관에서 단기비자(MVV)를 신청자의 여권에 부착해 비자를 교부함 6. 입국 전후로 네덜란드 지역에서 커버가 가능한 의료보험 가입, 입국 후 지역 IND를 방문해 체류허가증을 수령하고 시청에 거주 등록 7. 이후 3개월 내 지역 보건당국에서 결핵 검사 체류 기간 및 특이사항 · 교수·연구원 최대 5년 체류 가능 · MVV(장기비자) 없이 처리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민청 및 대사관의 최신 안내 확인 필요 3. 네덜란드 현지 적응 및 생활 정보 * 은행 계좌 개설 · BSN(사회보장번호), 거주 증명 서류(임대·매매 계약서), 여권 필요 · 계좌 개설 후 PIN카드(직불카드) 및 인터넷 뱅킹용 암호 대조기가 우편 발송되며, 지점 또는 ATM에서 활성화 · 신용카드는 거래내역이 일정 기간 이상 쌓인 뒤 신청 가능 · 네덜란드는 PIN카드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MAESTRO 가맹 유럽지역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 · 주요은행: ABN Amro, ING, Rabobank 주택 임차 · 온라인 플랫폼(funda.nl 등) 활용 가능 · 일반적으로 부동산 중개업소를 통해 진행하며, 계약 시 1~2개월치 예치금과 1개월치 임차료를 선불 납부 · 임대주택 유형 - Fully Furnished: 생활 가구 및 가전 완비 - Semi-Furnished: 바닥재, 커튼, 조명, 부엌 가구 포함 - Unfurnished: 내부 설비 없음 (페인트칠, 전구 설치 등 임차인 부담) · 암스테르담 인근 Amstelveen €1,500~3,000/월이며, 로테르담은 이보다 20% 정도 저렴 · 계약서에 ‘외교관 조항(Diplomat Clause)’ 포함 여부 확인 · 구매계약서 서명 후 3일 이내 위약금 없이 철회 가능하며 초기 납입금(통상 구매가의 10%) 지불 후 공증 절차 진행 · 네덜란드는 모기지를 통해 주택 구매가 이루어지며, 금융시장 여건에 따라 가격 변동성 존재 건강보험 가입 · 네덜란드는 국가 건강보험이 아닌 개인 건강보험 체계를 운영하며, 의무 가입 대상임 · 대부분의 거주자는 기본 건강보험(Basisverzekering)을 민간 보험사 중 선택해 가입 · 의료비가 한국보다 높은 편이며, 파트타임·계약직 근무자의 경우 직접 가입 필요 · 기본 보험은 일반 진료, 응급 치료 등을 포함하며, 치과, 안과, 약값 등은 별도 사보험 필요 · 포닥(Postdoc) 및 대학 소속 연구자는 소속 기관에서 단체 건강보험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음 · 보험 가입 시 자기부담금(own risk) 제도가 있으며, 연간 €385까지는 본인이 부담 (2024년 기준) 운전면허 및 교통 · 네덜란드는 자전거 도로가 매우 잘 발달돼 있으며, 시내는 자가용 운전과 주차가 제한적인 편 · 대중교통(트램, 지하철, 버스, 기차 등)은 정시성이 높고, www.9292.nl [//www.9292.nl]에서 통합 조회 가능 · 운전면허는 국제운전면허증으로 1년간 사용 가능하며, 한국과 상호인정 협약으로 면허 교환 가능 [참고]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 [https://www.0404.go.kr/consulate/consul_license.jsp] 대사관 및 한인 커뮤니티 연락처 · 네덜란드 대한민국 대사관: +31-70-740-0200, (긴급: +31-64-264-8412) · 네덜란드 대한민국 대사관 영사과: +31-70-740-0214/5 · 네덜란드 한인교회: +31-20-416-6712 4. 커리어 성장 전략 - 연구 지원 프로그램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자 📌 네덜란드 정부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 활용 WBSO (Wet Bevordering Speur- en Ontwikkelingswerk) · 네덜란드 정부의 대표적인 R&D 세금 감면 제도 · 연구개발 관련 인건비, 기술개선, 프로토타입 제작 비용 등을 대상으로 세금 감면 혜택 제공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english.rvo.nl/subsidies-programmes/wbso] 이노베이션 박스(Innovation Box) · 기술 기반의 소득에 대해 법인세율을 대폭 인하하는 제도 · 연구성과의 상업화를 독려하기 위한 세제 지원 · 특허, 소프트웨어 등 지식재산권이 수반되는 연구에 유리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www.belastingdienst.nl/wps/wcm/connect/bldcontenten/belastingdienst/business/corporate_income_tax/innovation_box/] 이노베이션 크레딧(Innovation Credit) · 혁신 기술이나 제품을 상업화하려는 초기 단계 기업에게 정부가 융자 형식으로 재정지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 연구자 또는 스타트업 창업자는 기술 기반의 시제품 제작이나 시장 진입 전 자금 확보 수단으로 활용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english.rvo.nl/subsidies-programmes/innovation-credit] 📌 네덜란드 민간 및 산업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 활용 * ING 산학협력 프로그램 · 네덜란드의 대표 금융기관 ING는 데이터 과학, 지속가능 금융 등 주요 분야에서 박사과정 연구자와의 산학협력 프로젝트 운영 · 실무 중심의 연구 기회를 제공하며, 현장 적용성과 커리어 확장성이 높은 것이 특징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www.ingwb.com/en/about-us/careers/uk/ing-uk-graduate-programmes] 네덜란드 한인과학기술자협회(KOSEANL) · 네덜란드 거주 한인 연구자들의 학술 커뮤니티로,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를 적극 지원 · 선정 시 연구비는 현지 PI와 한국 측 PI 모두에게 배분되며, 협업 기반의 국제 연구 기회 마련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kosea.nl/] Horizon Europe · EU의 최대 R&D 프로그램으로, 헬스케어, 에너지, 디지털 기술 등 전 분야에 걸쳐 연구 자금 지원 · 네덜란드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할 수 있으며, 유럽 전역과의 협력 기반을 다지는 데 효과적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research-and-innovation.ec.europa.eu/funding/funding-opportunities/funding-programmes-and-open-calls/horizon-europe_en] 📌 연구 네트워크 만들기 KOSEANL 정기 세미나 및 네트워킹 행사 · 네덜란드 내 한인 연구자 네트워크인 KOSEANL · 다양한 연구 분야의 전문가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협력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세미나 및 네트워킹 자리 마련 · 한국-네덜란드 간 공동연구 기획, 산업계 연계 등 실질적 기회를 탐색하기에 유용한 커뮤니티 [참고] 공식 웹사이트 [https://www.koseanl.org] 국제학회 및 유럽 학술대회 참여 [2025년 주요 유럽 컨퍼런스 예상 일정] · Zorg & ICT (헬스테크): 2025.04.08 ~ 04.10 · PLMA 2025 (유통 및 소비재): 2025.05.20 ~ 05.21 · World Hydrogen 2025 (수소 에너지): 2025.05.20 ~ 05.22 · GreenTech Amsterdam (그린테크놀로지): 2025.06.11 ~ 06.13 · IBC 2025 (방송·콘텐츠 기술): 2025.09.12 ~ 09.15 현지 연구기관 및 기업과의 공동 프로젝트 · TNO, Wageningen University & Research(WUR) 등 네덜란드의 주요 연구기관은 외부 연구자와의 공동연구에 적극적 · 프로젝트 공고,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을 수시로 확인해 제안서를 준비하거나, 기업 연구 부서에 직접 연락하는 것도 한 방법 [참고] TNO 공식 웹사이트 [https://www.tno.nl] [참고] WUR 공식 웹사이트 [https://www.wur.nl] 네덜란드에서 연구자로 자리 잡는 과정은 쉽지 않지만, 제대로 된 정보를 갖추고 준비하면 충분히 해낼 수 있습니다. 비자부터 취업, 연구 펀딩까지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한 걸음씩 나아가 보세요. 진학프로가 프로님들의 새로운 도전을 응원하겠습니다. 이 콘텐츠가 유용했다면 아래 공유하기 버튼으로 네덜란드 취업을 준비하는 연구자 동료에게도 알려주세요!
학술연구정보
3월 20일 오늘의 연구과제정보 알림🔬
3월 20일, 마감 한 달 전 연구과제 🔔 · 위상제어 빔 결합을 위한 위상 및 구동 제어 연구 · 2025년도 투자연계형기후테크에너지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 2025년도 한-독 특별협력사업 신규 공모 · 2025년도 해외우수연구기관 협력허브 구축사업 신규과제 공모 ·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2.0 사업 이미지 클릭 시 해당 공고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320140551_tlvwf.png]https://www.add.re.kr/kps/publicNtis/ntisView?pageNum=1&rowCnt=10&titleId=1637&menuId=MENU02201&titleId=0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320140611_3rtz0.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1894&bsnsYyDetail=2025&sorgnBsnsCd=S050142&bsnsAncmSn=1&chngRcveDeFro=2025/03/17&chngRcveDeTo=2025/04/21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320140618_h2ckr.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1437&bsnsYyDetail=2026&sorgnBsnsCd=S049107&bsnsAncmSn=1&chngRcveDeFro=2025/03/14&chngRcveDeTo=2025/04/18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320140623_39hfa.png]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11154&bsnsYyDetail=2025&sorgnBsnsCd=S050114&bsnsAncmSn=1&chngRcveDeFro=2025/02/26&chngRcveDeTo=2025/04/17 [https://www.jinhakpro.com/api/common/assets/notification/notice/img_0320140631_o3xe2.png]https://www.nrf.re.kr/biz/info/notice/view?menu_no=378&biz_no=647&nts_no=238024&biz_not_gubn=guide
지식백과사전
신규 박사 "희망 연봉 최소 6천만 원”... 현실은? | 2024 신규 박사학위취득자 통계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과반수(51.5%)가 연봉 6,000만 원 이상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과연 실제 취업 시장은 어떨까요? 오늘은 2024 박사조사를 살펴보며, 박사 취업률과 전공별 연봉 수준 등 박사취업 현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가장 많은 박사 구직자(30.8%)가 4천만 원 이상 ~ 6천만 원 미만의 연봉을 희망했으며, 이어 6천만 원 이상 ~ 8천만 원 미만, 2천만 원 이상 ~ 4천만 원 미만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는데요. 즉, 박사 졸업자 80% 이상은 4,000만 원이 넘는 연봉을 기대하며, 절반 이상은 최소 6,000만 원의 연봉을 희망하고 있었습니다. 신규박사 희망 연봉 희망연봉 구간 비율 2천만 원 미만1.2%2천만 원 이상 ~ 4천만 원 미만16.5%4천만 원 이상 ~ 6천만 원 미만30.8%6천만 원 이상 ~ 8천만 원 미만24.9%8천만 원 이상 ~ 1억 원 미만11.1%1억 원 이상15.5% *출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조사 / 해당 문항 응답자 수 4,983명 한편, 이번 2024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조사는 국내 대학에서 2023년 8월 ~ 2024년 2월 박사 학위를 취득한 10,44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 전공' 과반수는 연봉 6,000만 원 넘는다. 다음으로 취업자 7,346명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10명 중 4명(38.2%)은 연봉 4천만 원 미만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구직활동 중인 신규 박사 10명 중 8명이 최소 4천만 원의 연봉을 기대하는 것과는 대조되는 현실입니다. 전공별로 살펴보면 연봉 6천만 원 이상을 받는 박사 비율은 정보통신 기술 분야(60.9%)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공학·제조 및 건설 전공, 경영·행정 및 법 전공이 뒤를 이었는데요. 연봉 1억 원 이상의 고소득 박사 비율이 가장 높은 전공은 경영·행정 및 법(23.5%) 분야이며, 이어 보건 및 복지, 정보통신 기술 전공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근로소득은 기본급, 각종 수당, 상여금 및 성과급을 포함한 세전 금액을 의미합니다. 전공별 연봉 전공 2,000만 원 미만 2,000만 원 이상 ~4,000만 원 미만 4,000만 원 이상 ~6,000만 원 미만 6,000만 원 이상 ~8,000만 원 미만 8,000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 1억 원 이상 6,000만 원 이상 ~ 정보통신 기술 5 18 16.2 23 17.6 20.3 60.9 공학, 제조 및 건설 4.6 21.7 19.5 22.6 16.3 15.3 54.2 경영, 행정 및 법 10 22.5 15.4 14.9 13.8 23.5 52.2 보건 및 복지 9.7 26.6 20.2 13.6 8 21.9 43.5 서비스 15 26.9 19.6 14.6 11.5 12.5 38.6 자연과학, 수학 및 통계학 6.8 29.1 26.1 19.3 12.4 6.3 38 사회과학, 언론 및 정보학 12.7 29.9 23.1 15.5 7.6 11.3 34.4 농림어업 및 수의학 10.5 26.7 32.4 8.6 9.5 12.4 30.5 교육 17.3 35.8 25.8 12.6 5.9 2.6 21.1 예술 및 인문학 25.5 46.2 15.3 5.6 4.2 3.2 13 출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조사 / 해당 문항 응답자 수 7,346명 전공별 취업 성공률은? 전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10,442명 중 약 70%는 현재 취업 중이거나, 취업이 확정된 상태였습니다. 가장 취업률이 높은 전공은 보건 및 복지 분야(79.1%)로, 가장 취업률이 낮은 전공 취업률(59.9%)과 약 19%포인트 차이를 보였습니다. 취업률 상위권을 차지한 전공은 보건 및 복지, 교육, 경영·행정 및 법 순이었습니다. 전공별 취업 상태 전공 응답자(명) 취업률(%) 보건 및 복지 1561 79.1 교육 496 78.3 경영, 행정 및 법 1318 76.1 정보통신 기술 303 73.2 서비스 724 71.9 농림어업 및 수의학 149 70.5 공학, 제조 및 건설 2872 69.6 사회과학, 언론 및 정보학 531 66.8 자연과학, 수학 및 통계학 1114 62.3 예술 및 인문학 1374 59.9 *출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내신규박사학위취득자조사 / 해당 문항 응답자 수 10,442명 박사에서 백수로⋯ 미취업 박사 역대 최고 한편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29.6%가 미취업 상태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미취업 상태란, 구직 활동 중이지만 아직 취업하지 못한 사람과 당분간 구직 계획이 없는 응답자를 모두 포함합니다. 미취업 박사 비율은 2014년~2018년 평균 25%에서, 2019년 이후 29%로 증가했는데요. 박사 취업 시장이 녹록지 않다는 이야기가 많지만, 연구자로서 쌓아온 지식과 경험은 분명 의미 있는 자리에서 쓰이게 될 겁니다. 조급함보다는 차근히 방향을 정하는 것이 중요한 시기일 텐데요. 박사 구직자분들께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아래 정리했습니다. 꼭 확인해 보시고, 원하는 기회를 잡으시길 바랍니다! 교수·강사 임용 준비 중이라면? [진학프로 임용준비방 입장하기] [https://open.kakao.com/o/gpLoyf3g] 연구원 합격 스펙이 궁금할 땐 [정출연 채용설명회 총정리 확인!] [https://www.jinhakpro.com/insight] 매주 석박사에게 딱 맞는 공고 메일로 받고 싶다면 [이메일 수신 동의하기] [https://www.jinhakpro.com/mypage/info#alrimSection]
지식백과사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채용 담당자가 들려주는 합격 전략 | 2025년도 제1차 정출연 공동채용 설명회
2025년 3월 13일 진행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온라인 공동채용설명회에 다녀왔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원자들이 자주 묻는 질문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채용 담당자가 직접 답변하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진학프로가 정리한 KARI 서류 합격 팁, 면접 팁, 포닥, 연봉 등의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매년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공동채용설명회를 진행합니다. 학사, 석사, 박사 학위(Post-doc. 포함) 소지자 및 취득 예정자 누구나 전공에 관계없이 참여 가능합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채용 중! 공고 확인하기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5년도 상반기 정규직 채용공고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587]] 연구직 채용 분야 항공 기술연구 2명 위성 기술연구 4명 발사체 기술연구 7명 위성정보 활용 1명 항우연이 들려주는 기관 소개 기관 소개 국내 유일의 항공우주 전문 연구기관으로서, 인공위성 개발부터 우주 발사체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의 우주강국 도약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설립목적 및 비전, 핵심가치 설립목적 항공우주과학기술영역의 새로운 탐구, 기술선도, 개발 및 보급을 통하여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생활의 향상에 기여 비전 하늘과 우주를 향한 대한민국의 꿈을 실현하는 최고의 연구기관 핵심가치 · 미래 대응: 미래사회의 메가트렌드와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 · 인류 공헌: 국가와 인류를 아우르고 이롭게 하는 항공우주 성과 창출과 활용 · 기술 파이오니어: 미래와 인류에 영향력이 큰 새로운 기술 도전 항공우주연구 개발 계획 1) 항공 분야: 항공산업 고도화 및 선진화로 2030년대 항공 G7 진입 · [인프라] 산업위기 극복을 위한 지원 인프라 강화 · [기존항공] 시장 경쟁력 강화 및 부품산업 고도화 · [미래항공] UAM/AAM 생태계 조성 및 산업융합 촉진 · [R&D] 항공 선진기술개발로 산업 고도화 기여 2) 우주 분야: 2045년 우주경제 글로벌 강국 실현 · [우주 탐사 확대] 독자적 우주 탐사계획 추진 · [우주 수송 완성] 우주수송서비스 능력·인프라 완성 · [우주 산업 창출] 우주 신산업을 주력 산업화 · [우주 안보 확립] 우주·지상 안보 지원체계 확립 · [우주 과학 확장] 국내역량 주도의 선도형 연구 추진 주요 성과 · 달 궤도선 '다누리' 개발 및 임무궤도 진입 성공 · 누리호 개발 및 발사 성공: 설계, 제작, 시험, 발사 등 모든 과정을 국내 기술로 개발, 국내위성 자력발사 수행 · 정지궤도복합위성 2A/2B호 개발 성공: 기상예보 신뢰도 향상, 기후변화 대응, 미세먼지 및 해양환경 관측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 · 차세대중형위성 1호 개발 성공: 500kg 차세대중형위성 표준형 플랫폼 국내독자개발 기술 확보 및 광학 탑재체 핵심 구성품 국산화 · 고고도 전기동력 무인기(EAV) 기반 기술 개발: 향후 고고도 장기체공 무인기 개발에 소요되는 핵심기술 확보 · 미래형 자율비행 개인항공기(OPPAV) 기술 개발 항공 분야 연구개발 현황 1) 성층권드론기술개발사업 · 고고도 장기체공형 초경량 유연구조 무인기 개발 · 장기체공용 하이브리드 동력원(태양전지/배터리) 개발 · 500km 이상 운용 가능한 통신/관제 시스템 개발 · 상용화를 위한 성층권 드론 핵심기술 기초연구 2) K-UAM 그랜드챌린지 인프라 구축/운용 사업 · 한국형 UAM 실증사업을 위한 기체 안정성 및 UAM 통합운용성 실증 인프라 구축 · 한국형 UAM '25년 실용화 착수를 위한 기체 안정성 및 UAM 운용 시스템 통합성 단계적 실증 위성 개발 현황 1) 다목적실용위성 개발사업 · 다목적실용위성 1~5호 개발완료 · 다목적실용위성 6, 7, 7A호 개발 예정 2)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개발사업 · 국가 재난·안전 대응 역량 강화 및 공공 위성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공복합통신위성 1기 국내 개발 기타 사업 진행 현황 1)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 2) 한국형 위성 항법시스템(KPS) 개발사업 · KPS 위성시스템, 지상시스템, 사용자시스템 개발 · (위성) 정지궤도 3기, 경사궤도 5기 · (지상) 통합운영센터, 위성관제센터, 감시국, 임무제어국 등 · (위성) 연구개발용, 감시국용, 사용자용 수신기 인력 및 예산현황('25년 기준) · 정규직 1,014명 중 연구직 732명(72.2%), 기술직 95명(9.4%), 행정직 8.7%, 기능직 9.6% · 연구직 732명 중 박사는 503명(69%)이며 항공우주 306명(41.8%), 전기전자/IT 202명(27.6%), 기계/재료 143명(19.5%), 자연과학 29명(4%), 기타 7.1% · 정부수탁사업 6,291억원(79.8%), 출연금사업 1,235억원(15.6%), 민간수탁사업 296억원(3.8%) 등 복리후생 · 기숙사 1인 1실 제공 · 유연근무제 실시 (연구직: 재량근로시간제, 행정·기능직: 선택적 근로시간제) 등 KARI 인사 담당자의 채용 이모저모 | 1 | 연구직 지원 자격 석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며 어학 성적 요건이 폐지*되었습니다. 그러나 만약 취득하신 성적이 있다면 꼭 넣어주세요. 내용 참고해서 심사위원이 검토할 예정입니다. 담당자의 코멘트 * 어학 점수 때문에 지원을 못하시는 경우를 막기 위해 변경된 사항입니다. 영어 점수 취득에 소중한 시간을 내시기 보다는 연구에 더욱 집중해주세요. | 2 | 채용 프로세스 1) 서류전형 - (연구직) 지원분야 지식, 업무(연구)적합도, 연구실적, 가치관/태도 - (기술/행정/기술기능직) 지원분야 지식, 업무적합도, 경력/경험사항, 가치관/태도 - 각 전형위원 합산점수 평균 70점 이상 득점자 대상으로 5배수 이내 선발 - 서류전형 합격자 대상 온라인 인성검사 실시 * 면접 참고자료로 활용되며 기한 내 미완료 인원은 불합격 처리 2) 1차 면접전형 - (연구직) 5~10분간 세미나발표 후 5분간 질의응답을 통해 연구수행능력 및 직업기초능력 평가 - (기술/행정/기술기능직) 질의응답을 통해 직무수행능력 및 직업기초능력 평가 - 인성검사 응시 완료자 및 발표자료 제출자에 한해 실시(미제출 시 탈락처리) - 각 전형위원 합산점수 평균 70점 이상 득점자 대상으로 3배수 이내 선발 3) 2차 면접전형 - 종합면접을 통해 지원자의 직무수행능력 및 인·적성 평가 - 1차 면접전형 점수(50%)와 2차 면접전형 점수(50%)를 합산하여 2배수 이내 선발 | 3 | 블라인드 위반자에 대해서는 감점처리 의외로 블라인드 규정을 위반하는 감점자가 많으니 단어 사용에 유의 이 내용은 자기소개서에 작성 가능해요. (연구직) · 근무기관, 근무부서, 경력기간 등 · 출신학교, 전공, 출신연구실, 지도교수, 연구수행정보 등(연구개발목적기관 채용기준 '22.12) 이 내용은 발견 시 점수화되는 전형에서 5% 감점돼요. · 사진(ex. 영어성적증명서, 각종 자격증) · 성별 및 혼인여부 (ex. 남편, 아내, 여성을 대표하여, 맏형, 장녀...) · 출신지역( ex. 대전에서 태어나...) · 주소 및 연락처(ex. 자격증 내 주소, 특허실적 내 주소, cv내 메일 주소, 휴대전화 번호...) · 가족 및 친인척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 종교 등 채용 설명회에서 가장 많이 묻는 질문 Q&A 서류 전형 및 면접 전형 1 . 저는 OO 전공인데 연구분야와 적합할까요? 직무기술서에 있는 지식과 기술이 있어야만 지원 가능한 건 아닙니다. 현재로서는 관련된 연구경험을 쌓기에 어려운 부분이 많다는 점도 인지하고 있습니다. 본인의 역량을 바탕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면 편하게 지원해주시면 됩니다. 입사 후 직무교육을 통해 충분히 실무를 수행하실 수 있으니, 100% 일치하지 않더라도 너무 걱정마시고 연구분야와 겹치는 부분이 있으면 지원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담당자의 코멘트 Q. 재진입 히트쉴드 연구를 수행했는데, 적합할까요? A. 현재는 기초 연구 수준으로 실무에서 수행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차세대 재사용 발사체 논의가 진행 중이며 이와 관련된 기초연구 경험도 연결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Q. 소재개발 연구를 수행했는데, 적합할까요? A. 연구원에서 소재 자체를 개발하지는 않고, 가공하여 부품을 제작하거나 항공기에 활용하는 업무를 진행하니 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기존의 소재 관련 지식이나 경험을 통해 "어떤 재료의 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지, 다른 재료의 효과성 비교" 등 기준점을 가질 수 있기에 내용을 잘 연결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 임용 시 석사급 연구직 비율은? 작년에는 박사급보다 석사급이 더 많이 채용되기도 했으니, 석사급도 적극적으로 도전해주시면 좋겠습니다. 3 . 해외 대학원에서 학위 취득 중인데, 졸업예정증명서를 발급할 수 없다면 어떻게 하나요? 국외 학위증명서 발급 불가 시, 성적증명서나 화면 스크린샷 제출 가능하며, 발급불가 사유서를 함께 첨부하면 내부 검토 후 처리됩니다. 연구원 생활 1 . 입사 후 중요하게 배우는 부분은? 학교에서는 이론과 실험 위주로 진행하지만, 연구원에서는 실제 실무 기술을 배웁니다. 꿈을 현실로 구현할 때, 실제 적용되는 기술이 어떤 것인지 보고 익숙해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2 . 직무 성과 평가의 기준? 연구의 성공 여부보다는, 주어진 업무를 완수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연구가 항상 성공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거대한 시스템 사업을 수행하는 만큼, 다른 부서와의 협력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됩니다. 3 . 조직 내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와 문화? 가장 중요한 가치는 사람이며, 기술 역시 결국 사람이 만들어갑니다. 사람 중심의 조직문화가 조성되어 있고, 체계적으로 협업을 진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4 . 주목하고 있는 항공우주분야의 변화와 트렌드가 있나요? 국가 주도 방식에서 민간 중심 방식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New Space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현재 항공우주업계는 민간 참여가 활발해지며 산업화가 진행 중입니다. 민간 기술이전 등을 통해 국가적 차원의 역량을 키우면서도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비해야 합니다. 5 . 입사 5년 후의 커리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연구한다고 말하면 어디서나 인정받는 전문가가 되실 것이라 확신하고, 그렇게 되도록 만들겠습니다. 또한 자율수학제도 등을 활용해 학위 취득 지원도 되니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담당자가 말하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가장 큰 장점 연구 및 자기계발에 대한 자율성이 높습니다. 자율수학 제도, 재량근무제 등을 통해 개인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직무적으로도 큰 보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인공위성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과정이 5~10년 정도 걸립니다. 긴 시간 매일 만지고, 회의하며 공들여 개발한 인공위성이 로켓을 타고 우주로 올라가서 제 역할을 하는 모습을 보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보람과 감동을 느끼게 됩니다. 특히 누리호 발사 성공 당시 전국민이 느꼈던 그 카타르시스를 함께할 수 있다는 것은 연구자로서 가장 큰 보람입니다. 담당자의 마지막 한 마디 연구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순간은, 명확한 정답이나 확신 없이 새로운 도전을 해야 할 때였습니다. 주변에서 누군가 확실한 답을 주는 것이 아니라 결국엔 스스로 결정하고, 시행착오와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며 연구를 진행해야 합니다. 그런 어려운 상황에서도 ‘일단 해보자’는 마음가짐으로 도전하다 보면, 어느 순간 문제를 해결하고 결과를 만들어내는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 순간의 성취감과 카타르시스, 그리고 동료들과의 격려와 독려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같이 일 좀 한 번 해보시죠. 와서 진짜 원하는 일을 해보시죠. 실제 실물을 만들어서 우주로 내보내는 멋진 경험을 함께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지원할까 말까 고민하지 마시고, 일단 지원해보세요!”
지식백과사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 채용 담당자가 들려주는 합격 전략 | 2025년도 제1차 정출연 공동채용 설명회
2025년 3월 13일 진행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온라인 공동채용설명회에 다녀왔습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원자들이 자주 묻는 질문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채용 담당자가 직접 답변하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진학프로가 정리한 철도연 서류 합격 팁, 면접 팁, 포닥, 연봉 등의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매년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공동채용설명회를 진행합니다. 학사, 석사, 박사 학위(Post-doc. 포함) 소지자 및 취득 예정자 누구나 전공에 관계없이 참여 가능합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채용 중! · 한국철도기술연구원2025년 연구직 정규직 채용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443]] KRRI가 들려주는 기관 소개 기관소개 크게 6개의 임무를 가지고, 철도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 및 관련 인프라 전반에 대해 연구합니다. 설립목적 및 역할 설립목적 철도, 대중교통, 물류 등 공공교통 분야의 연구개발 및 성과확산을 통해 국가 및 산업계 발전에 기여 국내 철도산업에서 철도연의 역할 생애주기 관점에서 정책개발, 기술개발, 인증 및 표준 제정, 실용화 추진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정책개발: 국가정책, 기술개발 로드맵, 광역교통 이슈 발국 · 기술개발: 차량, 궤도, 인프라, 전기, 신호 등 핵심 기술 개발 · 시험인증·표준·안전체계: 개발 기술의 시험인증, 표준, 법률 제정, 안전체계 등 실용화를 위한 제반 사항 정비 · 실용화: 개발 기술의 국내외 실용화 지원 철도연 채용 담당자의 채용 이모저모 | 1 | 우수연구원 선정 시 정년 연장 또는 정년 후 재고용 합니다. 입사하시면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우수 연구자를 위한 동기부여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진연구자 초기 정착을 지원하기도 하는데요. 연구과제 2년 간 최대 1억원을 지원합니다. | 2 | Jobplanet Awards 선정 2025년 일하기 좋은 회사 공공분야 Best Company로 선정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등 11개 기관을 선정했으며 저희도 포함되었습니다. | 3 | 여러분을 위한 연구장비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공용화장비 124점, KOLAS시험장비 84점, 실대형시험장비 20점 등을 포함한 384점의 연구 및 시험장비를 운영 중입니다. 참고로 최근 철도장비 트렌드는 국가간 상호인정을 고려하여 유럽 EN 규격 시험장비 도입을 확대하고 다양한 안전규격 입증시험 설비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채용 단계 별 Q&A 서류 전형 서류전형 주요사항 · 내외부 전형위원을 구성하여 자격 및 능력 등을 평가합니다. *입사지원서 및 경력, 경험 기술서 평가 · 서류 전형 함격자를 선정합니다. 연구직은 4배수, 행정직은 6배수 선발하며, 취득점수 평균 70점 이상자 중 고득점순 선발합니다. · 인성검사를 실시합니다. 하위 2개 등급을 받은 자는 탈락합니다. 1 . 필요 스펙과 우대사항이 궁금합니다. 직무기술서에 충분히 설명되어 있는 내용입니다. 필요 스펙은 기본적인 자격요건인데요. 연구직의 경우 박사학위 소지자면 지원 가능합니다. 2 . 어떤 내용을 중점적으로 서류 작성을 해야할까요? 경력과 경험, 연구 할 때 본인의 능력을 어필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소서 질문에 맞추어 답변을 해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면접 전형 1차 전공면접 주요사항 · 내외부 전형위원을 구성하여 자격 및 능력 등을 평가합니다. · PT면접이며, 제시된 주제에 대한 프리젠테이션 발표 후 질의응답(주제 별도 안내) · 전문지식 및 품성에 대한 심층면접을 시행합니다. · 국외거주자 및 전염병 등으로 불가피한 경우 화상면접 가능합니다. · 1, 2차 면접 사이에 서류 검증을 실시합니다. 응시자가 제출한 증빙서류를 기반으로 응시원서의 진위여부를 확인합니다. 담당자의 당부 입사지원서 작성 시 오기재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예를 들어, 연구직 지원자의 경우 실적을 작성할 때 많은 양을 작성하시다 보니, 연구 주제와 세부내용이 매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복사 붙여 넣기하신 내용 꼭 더블체크 하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오기재가 발생하면 추후 증빙이 어려워 안타깝게 탈락하십니다. 통계적으로 최종면접 전에 10%가 탈락하십니다. 따라서 입사 지원서 제출 전 꼭 검토를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너무 안타까운 사례가 많습니다. 2차 전공면접 주요사항 · 내외부 전형위원을 구성하여 자격 및 능력 등을 평가합니다. · 품성 및 전문지식에 대한 심층 검증을 통해 KRRI 적합인재 선발하며 · 국외거주자 및 전염병 등으로 불가피한 경우 화상면접 가능합니다. 1 . 영어 발표 또는 면접에서 영어 질문이 있나요? 현재로서는 계획되어 있지 않습니다. 만약 영어 발표를 시행하게 되면 사전에 미리 안내를 드리고, 기간을 드릴테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대해서 이건 꼭 알고오면 좋겠다 싶은 부분이 있으신가요? 직무기술서를 충분히 이해하고 오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연구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사전정보를 확인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활발하게 운영 중이니 연구실적과 조직문화가 궁금하시면 찾아보시면 좋겠습니다. 채용 담당자의 마지막 한 마디 도전하지 않는 자는 성공도 없겠죠. 많은 도전 부탁드립니다. 연구원에서 뵙길 바랍니다. 궁금하신 점은 언제든지 채용 담당자 메일로 문의 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지식백과사전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채용 담당자가 들려주는 합격 전략 | 2025년도 제1차 정출연 공동채용 설명회
2025년 3월 13일 진행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온라인 공동채용설명회에 다녀왔습니다. 한국기계연구원 지원자들이 자주 묻는 질문에, 한국기계연구원 채용 담당자가 직접 답변하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진학프로가 정리한 기계연 서류 합격 팁, 면접 팁, 포닥, 연봉 등의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매년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공동채용설명회를 진행합니다. 학사, 석사, 박사 학위(Post-doc. 포함) 소지자 및 취득 예정자 누구나 전공에 관계없이 참여 가능합니다. 한국기계연구원은 채용 중! · 양자컴퓨터 시스템용 극저온 냉각 기술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490]] · 고출력 레이저 전자빔 응용 가공시스템의 제어 및 디지털 전환 기술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499]] · 신뢰성 설계 및 평가 기술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498]] · 디지털트윈 및 기반 자율제조 에이전트 기술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495]] · 인간형로봇 휴머노이드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491]] · 미래 모빌리티 전동화 핵심부품 및 디지털 전환 기술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500]] · AI 융합 로봇 지능화 및 고도화 기술 개발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501]] · 지식재산 관리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503]] · 인공지능 및 인공지능 기반 로봇 기계 기술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492]] · 무탄소 가스터빈 발전시스템 연소기 개발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496]] · 동역학 기반 기계시스템 설계 해석 시험 기술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497]] · 첨단 칩렛 시스템 반도체 패키징 공정장비 핵심기술 개발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488]] · 광기반 양자 시스템 개발을 위한 광학 기술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489]] · 차세대 에너지 저장 소자 및 공정 기술 [공고 보기 [https://www.jinhakpro.com/recruit/24493]] KIMM이 들려주는 기관 소개 기관소개 자율제조, 탄소중립, AI로봇 등 주요 분야에서 패러다임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관임무 및 비전, 경영목표 기관임무 기계분야의 연구개발, 성과확산, 신뢰성평가 등을 통해 국가 및 산업계의 발전에 기여 비전 K-MACHINE 을 선도하는 세계적인 종합연구기관 경영목표 2030년까지 DIgital-KIMM 달성 전형 별 평가항목 안내 | 1 | 서류전형 연구분야 및 기술1, 기술2 분야 · 전형내용: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평가 · 합격배수: 4배수 · 평가내용: 직무기술서 기반 직무적합도, 연구실적(논문, 지식재산권, 프로젝트 수행 내역), 경력 및 자격사항, 지원동기 등 기술3 및 행정 분야 · 전형내용: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평가 · 합격배수: 30배수 · 평가내용: 직무이해도, 직무수행 역량 보유 및 개발 노력, 직무수행 기초능력 등 *필기전형 진행 | 2 | 면접전형 연구1 ~ 연구13 분야 · 세미나 발표(영어) 및 질의응답 · 영어 발표 15분, 질의응답 35분 정도로 진행 · 주제: 주요 연구실적, 학위논문 세미나 등 · 평가: 전문성, 채용분야 부합성, 발표력 · 인성면접 · 평가: 의사소통, 대인관계, 문제해결, 인성 등 연구14 ~ 연구15 및 기술 1~기술2 분야 · 세미나 발표(한국어) 및 질의응답 · 발표 15분, 질의응답 35분 정도로 진행 · 주제: 직무기술서 내 "직무수행내용" 중 1~2개 선택하여 자질, 역량, 계획 등 발표 · 평가: 전문성, 채용분야 부합성, 발표력 · 인성면접 · 평가: 의사소통, 대인관계, 문제해결, 인성 등 기술3 및 행정 분야 · 직무관련 발표(한국어) 및 질의응답 · 발표 10분, 질의응답 30분 정도로 진행 · 주제: 직무기술서 내 "직무수행내용" 과 연계하여 역량, 업무 관련 경험 및 계획 등 · 평가: 전문성, 채용분야 부합성, 발표력 · 인성면접 · 평가: 의사소통, 대인관계, 문제해결, 인성 등 KIMM 채용 담당자의 채용 이모저모 | 1 | 중점 평가하는 부분은... 먼저, 직무적합성이 중요합니다. 직무 기술서를 보시고 본인의 경쟁력을 고민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직무 기술서와 경험사항이 백프로 일치하기 어려운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전공 등이 완전 핏하지 않더라도 함께 일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합격하실 수 있으니 망설이지 말고 지원하시길 바랍니다. 인성적인 측면에서는 연구원 입소 후 협력해서 일할 수 있는 분,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신 분을 찾고 있습니다. | 2 | 올해 기계연구원이 가장 중요시 하는 사업! 기계 분야가 굉장히 다양해서, 한 분야만 골라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굳이 꼽아야 한다면 AI와 로봇 분야라고 답변 드리겠습니다. 모든 연구 분야에서 AI기반 드라이브가 이뤄지고 있고 로봇 분야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직을 4명이나 채용하고 있습니다. 한 분야에서 4명을 채용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해당 분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이해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 3 | 창업휴직 및 겸직 규정 최근 관련 규정이 개정되었습니다. 담당부서가 아니라 구체적인 답변이 어렵지만, 명확히 말씀드리고 싶은 사항은 연구자 창업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연구와 겸직 하시면서 창업을 하셔도 급여나 처우에 전혀 불이익이 없다고 알고 있는데요. 구체적인 점은 개별 문의 부탁드립니다. | 4 | 한국기계연구원의 성과는 무엇이 있나요? 과거에는 자기부상열차, 작년에는 해외 기술 이전이 1건이 있었습니다. 미국 글로벌 엔지니어링 사에 기술 이전을 했고, 뉴스를 찾아보시면 나올 겁니다. 기관에 대해 파악하시고 오시면 큰 도움이 되실 거예요. 채용 단계 별 Q&A 서류 전형 1 . 이번 채용에서 학벌의 중요도가 궁금합니다. 중요하지 않습니다. 제 경험에 따르면, 입사하고 나서도 학벌보다는 실제로 융화될 수 있는 분이 잘 적응하시는 편입니다. 협력할 수 있고 적극적으로 임하시는 분이 승진도 빠르시다고 느낍니다. 2 . 여러 분야에 복수 지원이 가능할까요? 원 내 복수지원 불가합니다. 다만, 타 기관과 저희기관 복수지원은 가능합니다. 3 . 요즘 ai가 서류를 대신 작성해주는 것이 문제라고 하는데, GPT로 쓴 자기소개서를 선별하는 과정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좋은 질문이십니다. 채용 담당자와 협의 후 방법이 있다면 찾아서 도입하겠습니다. 사실, 불성실한 지원 서류는 육안으로 느껴지는 부분이 있긴 합니다. 4 . 블라인드 기준이 엄격한가요? 성별, 신체조건, 출신 지역, 가족관계 등 개인적인 부분은 블라인드 제출해 주셔야 합니다. 이름은 괜찮습니다. 5 . 전문연구요원으로 복무도중, 전직 자격이 생긴 후라면 상시 채용으로 지원하면 될까요? 저희는 상시 채용은 진행하지 않습니다. 전직 제한에 걸리지 않으신다면 이번 공채에 지원하실 수 있습니다. 면접 전형 1 . 면접에 자주 나오는 질문이 있나요? 직무에 따라 다릅니다. 지원자가 과거에 수행했던 연구와 관련한 내용을 물어봅니다. 본인이 연구를 100%하신 건지, 어떤 부분만 하신건지를 꼼꼼히 확인 하시는 것 같습니다. 인성 면접의 경우, 작년부터 인성 면접 전문가와 함께하고 있는데 인성 검사 결과지를 근거로 질문하시는 편입니다. 2 . 영어 면접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영어 세미나 발표 15분 동안은, 영어로 연구실적을 발표하시면 됩니다. 아마 학교에서 많이 하셨을 것 같아요. 대신 질의응답은 한국어로 진행되기 때문에 부담을 덜어주셔도 될 것 같습니다. 3 . 담당자님이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은 누구인가요? 중요한 질문을 해주셨습니다. 아무래도 협력이 잘 되시는 분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부서 단위로 수행해야하는 큰 업무가 있을 때, 동료에게 도움을 줄 수 있고 협동 하고자하는 마음가짐만 있으셔도 충분히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연구원 생활 미리보기 Q&A 근무 환경 1 . 연구직의 지역센터 또는 연구본부 이동이 있나요? 아주 빈번하지는 않습니다. 정기이동이 있는 것도 아니구요. 다만 최근에는 정기적인 부서이동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의 수요를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 . 밥이 맛있나요? 개인취향이기 때문에 정확한 답변 곤란합니다. 현재는 확실히 좋아졌다고 느낍니다. 회사 내에 카페와 식당이 있는데, 시중가격보다 저렴합니다. 3 . 복지는 어떤게 있나요? 연구직의 경우, 재량근로제를 운영해서 유연한 근무가 가능합니다. 기관 내 어린이집이 있는데 학부모 만족도가 매우 높습니다. 자녀 1명 당 3년까지 육아휴직이 가능합니다. 이밖에도 다양한 지원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중단되었던 직원 해외연수도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마지막 한 마디 지금은 개인적으로 불안하실것 같아요. 미래에 대해 생각이 많으시겠지만, 도전하시고 문을 두드리시면 어떤 길이든 열리실 것입니다. 많은 지원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