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백과사전

한국화학연구원(KRICT) 채용 담당자가 들려주는 합격 전략 | 2025년도 제2차 정출연 공동채용 설명회

한국화학연구원(KRICT) 채용 담당자가 들려주는 합격 전략 | 2025년도 제2차 정출연 공동채용 설명회

2025년 9월 9일 진행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온라인 공동채용설명회에 다녀왔습니다.

한국화학연구원(KRICT) 지원자들이 자주 묻는 질문에, 한국화학연구원(KRICT) 채용 담당자가 직접 답변하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진학프로가 정리한 서류 합격 팁, 면접 팁, 연구환경 등의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매년 2회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공동채용설명회를 진행합니다.

학사, 석사, 박사 학위(Post-doc. 포함) 소지자 및 취득 예정자 누구나 전공에 관계없이 참여 가능합니다.

 


한국화학연구원(KRICT)은 채용 예정!

한국화학연구원 채용소식 [확인하기]


👨 채용담당자의 코멘트

2025년 하반기 채용은 9월 말에 공고될 예정입니다.



한국화학연구원(KRICT)이 들려주는 기관 소개

 

설립 목적

한국화학연구원(KRICT)은 화학 및 융복합 기술 분야의 연구 개발과 공공 인프라 서비스를 통해 화학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가·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인력 현황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합하여 총 737명 정도가 근무하고 있으며, 이 중 연구직은 약 460명입니다.

 

인재상

'Chem-Ace'라는 인재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공통 역량(Chem)과 전문 역량(Ace)으로 나뉩니다.

이 역량들은 서류, 세미나 면접, 인사 면접 등 모든 채용 전형에서 평가 항목으로 작용합니다.

구분 의미 설명
C Communicative 서로 소통하며 구성원과 조화롭게 열정적으로 국가/사회적 미션을 완수하는 인재
H Hamonious
E Enthusiastic
M Missional
A Advanced 선도적이며 창의적으로 업무를 수행하여 수월성을 추구하는 인재
C Creative
E Excellent

 


한국화학연구원(KRICT) 채용 이모저모

 

급여 수준

2025년 기준, 신입직원 초임기준 원급 1호봉은 약 4,600만 원, 선임급 1호봉은 약 6,400만 원 수준입니다.
이는 기본 연봉 기준으로, 개인별 능력 평점 및 연구 수당, 성과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규직 채용

채용 시기: 상반기(3월 중·하순)와 하반기(9월 중·하순)에 각 1회씩 정기 공채로만 진행하며, 수시 채용은 없습니다. 
근무지: 대전, 울산, 여수 중 채용 공고에 명시된 곳에서 근무하게 됩니다.

 

연구직 채용 프로세스

순서 구분 설명
1 채용공고 채용 공고, 직무기술서 등 공고( 약 2~3주간 공고 진행)
2 1차(서류심사) 전형 전형방법: 자기소개서를 활용하여 기본역량, 직무 관련 경험 및 경력, 수행예정업무와의 적합성, 발전가능성 등 평가
합격기준: 전형위원 점수 평균 70점(100점 만점) 이상자 중 고득점자 순으로 채용예정인원의 5또는 10배수 이내 합격
3 2차(세미나면접) 전형 전형방법: 직무 관련 성과 등 세미나 발표를 통한 전문지식 및 직무적합성 평가
합격기준: 전형위원 점수 평균 70점(100점 만점) 이상자 중 고득점자 순으로 채용 예정인원의 2 또는 5배수 이내 합격
기타사항: 해외거주자의 경우 화상면접 실시
4 3차(종합면접) 전형 전형방법: 개인별 심층 면접 전형을 통한 조직적합도, 인성 등 전인적 역량평가로 우수 인재상과 부합여부 최종 평가
합격기준: 전형위원 점수 평균 70점 (100점 만점) 이상자 중 고득점자 순으로 채용예정인원의 2배수 이내 합격
기타사항: 해외거주자의 경우 화상면접 실시
5 임용 최종합격 발표 후, 임용절차 진행

*상기 내용은 내부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경영행정 채용 프로세스

순서 구분 설명
1 채용공고 채용 공고, 직무기술서 등 공고(약 2~3주간 공고 진행)
2 1차(서류심사) 전형 전형방법: 자기소개서를 활용하여 기본역량, 직무 관련 경험 및 경력, 수행예정업무와의 적합성, 발전가능성 등 평가
합격기준: 전형위원 점수 평균 70점(100점 만점) 이상자 중 고득점자 순으로 채용예정인원의 30배수 이내 합격
3 2차(필기시험) 전형 전형방법: NCS 및 논술시험 실시를 통한 직업기초능력 및 직무수행능력 평가
합격기준: 점수 평균 40점(100점 만점) 이상자 중 고득점자 순으로 채용예정인원의 7배수 이내 합격
4 3차(종합면접) 전형 전형방법: 개인별 심층 면접 전형을 통한 조직적합도, 인성 등 전인적 역량평가로 우수 인재상과 부합여부 최종 평가
합격기준: 전형위원 점수 평균 70점 (100점 만점) 이상자 중 고득점자 순으로 채용예정인원의 3배수 이내 합격
5 임용 최종합격 발표 후, 임용절차 진행

 *상기 내용은 내부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석사후연구원·박사후연구원 채용 프로세스

급여: 박사후연구원의 초임 연봉은 5,700만 원부터 시작하며, 석사후연구원은 1년차 기준 월 260만원 수준입니다.
계약 기간: 박사후연구원은 최대 5년, 석사후연구원은 최대 2년까지 근무 가능합니다.

순서 구분 설명
1 채용공고 채용 공고, 직무기술서 등 공고( 약 2~3주간 공고 진행)
2 1차(서류심사) 전형 전형방법: 자기소개서를 활용하여 기본역량, 직무 관련 경험 및 경력, 수행예정업무와의 적합성, 발전가능성 등 평가
합격기준: 전형위원 점수 평균 70점(100점 만점) 이상자 중 고득점자 순으로 채용예정인원의 3배수 이내 합격
3 2차(면접심사) 전형 전형방법: 개인별 심층 면접 전형을 통한 조직적합도, 인성 등 전인적 역량평가로 우수 인재상과 부합여부 최종 평가
합격기준: 전형위원 점수 평균 70점 (100점 만점) 이상자 중 고득점자 순으로 채용예정인원 합격
기타사항: 해외거주자의 경우 화상면접 실시
4 임용

최종합격 발표 후, 임용절차 진행


 *상기 내용은 내부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채용담당자의 코멘트

홈페이지를 통해 우수 인재로 등록하면, 채용 공고 시 이메일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화학연구원(KRICT) 합격전략 Q&A

Q: 나이나 경력에 대한 상한선이 있나요?
A: 나이는 블라인드 채용으로 인해 연령을 기입하는 란이 없어 제한이 없습니다. 경력 역시 상한선을 두지 않기 때문에 문제되지 않습니다.


Q: 서류나 면접에서 어떤 역량을 중점적으로 보나요?
A: 직종별, 전형별로 평가 항목이 다르며, 모든 평가 항목은 채용 공고문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참고하여 준비하시면 됩니다.


Q: 합격에 필요한 스펙과 선호하는 신입 연령대가 있나요?
A: 연구직은 보통 논문 1저자 또는 국제특허 2편 이상을 충족하면 지원 가능합니다. 합격 스펙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고, 분야마다 요구하는 지원자격이 다르기 때문에 공고문을 잘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행정직은 경력, 자격증, 교육 이수 등을 보지만 정량적으로 정해진 기준은 없습니다. 연령은 블라인드 채용으로 고려 대상이 아닙니다.


Q: 전공 적합 여부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A: 채용 공고문에 첨부된 직무기술서를 보면 필요 지식, 기술, 관련 전공 등이 명시되어 있어 본인의 전공 및 연구 분야와의 일치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행정직 지원 시, 출신 학교의 네임 밸류가 중요한가요?
A: 학교 네임 밸류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본인의 경력이 연구원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자기소개서에 잘 기술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직무기술서에 있는 지식이나 역량들을 자기소개서에 얼마나 녹여냈는가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Q: 전문연구요원 전직 가능자도 정규직 연구직에 지원할 수 있나요?
A: 네, 전직이 가능한 경우라면 정규직 연구직에 지원 가능합니다.


Q: 연구직으로 입사 시 커리어 향상을 위한 지원이 있나요?
A: 연구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KIRD)을 운영하고, 원하는 교육을 들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학회 참석이나 입사 후 논문, 특허 작업도 가능하여 본인이 원하는 연구를 통해 커리어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Q: 서류와 면접을 잘 준비할 수 있는 팁이 궁금합니다.
A: 두 가지가 중요합니다. 첫째, 정부출연연구기관과 한국화학연구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둘째, 지원하는 모집 분야의 직무기술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본인의 강점을 어필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연구직 지원자를 위한 조언이 있다면?
A: 연구직 지원자분들은 어떤 분야에 공고가 나올지 예측할 수도 없고, 따라서 그에 맞춰서 딱 맞는 연구를 진행하시는 것도 당연히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 모집분야와의 fit은 어느정도 운에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가 항상 말씀드리는 부분은, 결국엔 연구 실적이 중요하고 평소에 논문과 특허 등을 많이 준비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나와 딱 맞는 모집분야가 없다고 망설이시기 보다는, 연구 실적을 높이시고 출연원에 대한 이해를 높이시면 합격률이 더 높을 것 같다고 얘기를 많이 드립니다.
특히, 저희 연구원이 연구 개발만 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사업화도 중요한 부분인데요. 본인의 연구 성과를 기술사업화와 어떻게 연관 지을 수 있을지 고민한 흔적을 보여주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Q: 행정직 지원자를 위한 조언이 있다면?
A: 직무기술서에 명시된 내용과 본인의 경력을 연결하여 자기소개서에 충실히 녹여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력 공백이 있다면 관련 교육을 이수하는 등 공백 기간을 줄이려는 노력이 행정직으로서는 좀 더 보여주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2025년 1차(3월) 한국화학연구원 채용설명회 [요약본 보러가기]


2025.09.12 (Fri)

같이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