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 만들어주는 무료 AI 추천 | 제일 유명한 PPT AI 3개 직접 써본 후기

AI툴을 활용해, 클릭 몇 번으로 ppt 슬라이드 20장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진학프로를 찾아주시는 석박사분들이라면 학회발표, 강의자료 등 ppt를 많이 만드실텐데 ppt 만드는 시간을 줄여드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❶ MS Word 등의 텍스트 문서를 ppt 슬라이드로 변환할 수 있는가?
PPT 제작의 기초가 될 초안이 있어야 합니다. 저는 예전에 썼던 GPT 킬러 안걸리는 법 아티클을 초안으로, 발표자료를 구성해 보았어요.
❷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가?
❸ PPT 로 내보내 후편집이 가능한가?
❹ 인지도가 있는 검증된 툴인가?
모든 조건을 완벽히 충족하는 툴은 없었지만, 실제로 써보면 ‘그래도 이 정도면 쓸 만하다’ 싶은 세 가지를 추렸습니다.
그렇게 선정된 세가지 툴 젠스파크 Genspark / 감마 Gamma / 제미나이Gemini 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먼저, 3개 툴에 비슷한 방식으로 ppt 제작을 요청했어요. ‘GPT킬러 안걸리는 법’ 워드 파일 첨부 후, “이 자료로 발표자료를 구성해줘” 프롬프트 입력.
| AI툴 이름 | 무료 여부 | 완성도 | ppt 내보내기 여부 |
|---|---|---|---|
| 젠스파크 | 하루에 크레딧 100개 제공. 문서 → PPT 변환하면 크레딧 모두 소진됨 |
⭐⭐⭐⭐ | 내보내기 불가 |
| 감마 | 하루에 크레딧 400개 제공되나 슬라이드 최대 10개 생성가능 | ⭐⭐⭐ | 내보내기 가능하나, 워터마크 붙음 |
| 제미나이 | 무료 | ⭐⭐ | 구글슬라이드로 내보내기 가능 |

• 세 가지 중 내용 요약·구조화 능력이 가장 좋음
• 슬라이드 레이아웃 구성과 디자인이 깔끔함
• 문서 → PPT 변환 자체는 무료
• 하지만 ppt/pdf 내보내기는 유료 플랜에서만 가능
• 무료는 크레딧 100개 제공
→ 작업 규모가 크면 금방 소진됨
→ 실제로 글자수 3,060자 워드를 ppt 13페이지 분량으로 만들었더니 크레딧 모두 소진되어 다음 작업을 할 수 없었음
• 무료버전에서 ppt, pdf 내보내기 불가
• 젠스파크 내부 편집 기능은 제공됨
AI 편집: 슬라이드 영역 선택해서 AI에게 편집 요청 → 크레딧 부족하면 사용 어려움
고급 편집: 사용자가 직접 편집 → PPT만큼 자유롭지는 않고 텍스트·이미지 정도 수정 가능
🎤 젠스파크 총평 “결과물은 가장 안정적이고 깔끔하지만, 무료 플랜만으로 실사용하기엔 제약이 많음.” |
• 문장력은 젠스파크보다 떨어지고 가끔 번역투가 섞임
• 다만, 본격적인 PPT 제작 전에 슬라이드별 내용을 직접 편집할 수 있어 흐름 조정이 쉬워서 좋았음
• 디자인 옵션이 풍부하고 이미지 소스(스톡/AI생성) 선택 가능
• 무료 버전에서는 슬라이드 개수 최대 10개로 제한
• 젠스파크와 동일한 크레딧 방식
• 무료 크레딧 400개 제공 → 상대적으로 여유 있다고 느낌
• 홈페이지에 자세한 크레딧 정책 안내되어 있음
• 무료버전에서도 내보내기 가능하나, 하단에 made with gamma 라벨 붙음
|
🎤 감마 총평 “디자인 옵션이 가장 다양하고, 무료 내보내기가 가능. 다만 디자인 옵션이 많은 것과 완성도는 별개…” |
• 번역투가 가장 심함 → 직역 느낌의 문장이 많아 내용 품질은 가장 낮았음
• 다만, 슬라이드 마지막에 사용한 이미지 출처를 자동으로 표기해줘서 저작권 측면에서는 가장 친절함
무료
• 구글 슬라이드로 내보내기 가능해서 비교적 후편집 자유도는 높음
|
🎤 제미나이 총평 “구글 슬라이드로 내보내기가 되어 AI 작업 후, 추가 작업을 통해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라면 추천” |
| 툴 이름 | 장점 | 단점 |
|---|---|---|
| 젠스파크 | 내용 구성, 디자인이 깔끔함 | 무료로 제공되는 크레딧이 적어 할 수 있는 게 제한적임 내보내기를 못해서 디자인 편집 자유도가 낮음 |
| 감마 | 디자인 및 이미지 소스 선택 옵션이 다양함 내보내기 가능 (워터마크 있음) |
번역투가 있고 디자인이 화려함 |
| 제미나이 | 구글 슬라이드로 내보낼 수 있어 후편집 자유도는 가장 높음. 이미지 출처도 자동으로 넣어줌 | 번역투가 심함 |
지금까지 가장 대표적인 PPT 만들어주는 무료 AI 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지금 소개해드린 AI 도구들은 각각 장단점이 뚜렷하지만, 공통적으로 PPT 제작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준다는 점에서 꼭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특히 학회 발표, 수업자료처럼 반복적으로 자료를 만들어야 하는 분들이라면 젠스파크, 감마, 제미나이를 통해서 시간을 아끼시면 좋겠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아티클 · 논문 작성에 도움되는 6가지 AI 사이트 추천 [여기를 클릭] · 연구자를 위한 딥 리서치(Deep Research), 더 나은 논문을 쓰고 싶은 석박사라면 [여기를 클릭] |
2025.11.20 (Thu)

지식백과사전
GPT 킬러 안걸리는 법|무료 검사 사이트 3종 비교 (GPTZero·지피티킬러·Monica)
자기소개서를 쓸 때 GPT의 도움을 받은 적 있으신가요?혹시 채용담당자가 지피티 자소서를 검사하고 불이익을 주지는 않을까? 불안하신 적도 있으실 텐데요.오늘은 이런 걱정을 줄일 수 있도록 GPT 킬러 안걸리는 법과 GPT 킬러 무료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번 글을 참고해서 취업 준비에 AI를 슬기롭게 활용해 보세요. ※ 무분별한 AI 사용은 지양하셔야 합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해서 합격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AI를 사용해 보세요. ※ GPT 킬러 안걸리는 법 🤖 잠깐, GPT킬러란? GPT 킬러는 표절 검사 서비스인 카피킬러에서 새롭게 추가한 AI 텍스트 탐지 기능을 말합니다.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이 작성한 글을 찾아내는 AI로, 대량의 생성형 AI 문서를 학습해 “사람이 잘 쓰지 않는 단어 선택과 어순” 같은 특징을 통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작성한 글을 입력하면 이 글을 AI가 작성했을 확률을 수치로 보여줘요. 여기 생성형 AI가 작성한 자소서가 있습니다. AI가 작성한 샘플 자소서 [소제목] 한국어 특성을 고려한 감성 분석 모델로 정확도 5.7%p를 향상시킨 경험 [본문] 석사 과정 중 수행한 '한국어 특화 감성 분석 모델 연구'는 저의 연구 역량을 한 단계 성장시킨 가장 의미 있는 성과입니다. (...중략...) 이 과정을 통해 저는 명확한 문제 정의부터 끈기 있는 실험을 통한 가설 검증, 그리고 결과의 객관적 정리까지 연구의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역량을 길렀습니다. 이 서류를 GPT ZERO(생성형 AI 탐지 사이트)에 돌려본 결과, AI가 작성했을 확률이 무려 83%가 나왔습니다.하지만 몇 가지 간단한 수정을 통해, 의심률을 27%p나 낮출 수 있었는데요. 어떤 방식으로 수정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방법 1. 인간적인 개성과 어감 추가하기 AI가 쓴 글은 지나치게 매끄럽고, 완벽해서 오히려 부자연스러운 느낌을 주죠. 앞서 보여드린 자기소개서의 소제목이 그 예시인데요.정보 전달에는 아주 효율적이지만, AI가 생성한 요약문처럼 느껴집니다. 깔끔한 보고서 같은 이 제목을 인간적인 어감으로 수정해 보겠습니다. 수정 전 AI 가 쓴 문장 수정 후 한국어 특성을 고려한 감성 분석 모델로 정확도 5.7%p를 향상시킨 경험 한국어 감성 분석 모델의 정확도를 5.7%p 더 끌어올리기까지 방법 2. 클리셰 표현(상투어구) 줄이기 '역량을 성장시킨', '의미 있는 성과' 등은 자기소개서의 가장 대표적인 상투어구입니다.AI는 수많은 합격 자소서를 학습했기 때문에 이런 모범 답안 문장을 만드는 데 능숙합니다.상투적인 어휘를 찾아서 본인의 경험이나 감정 표현으로 바꾸어 보세요. 수정 전 AI 가 쓴 문장 수정 후 석사 과정 중 수행한 '한국어 특화 감성 분석 모델 연구'는 저의 연구 역량을 한 단계 성장시킨 가장 의미 있는 성과입니다. 석사 과정 중 수행한 '한국어 특화 감성 분석 모델 연구'는 기존 연구방법의 한계를 뛰어넘고, 처음으로 '내 연구'라는 자부심을 느낀 경험이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저는 명확한 문제 정의부터 끈기 있는 실험을 통한 가설 검증,그리고 결과의 객관적 정리까지 연구의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역량을 길렀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문제를 집요하게 해결하는 자세가 즐거움과 성과를 만든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또, 앞으로 어떤 연구 과제가 주어져도 헤쳐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방법 3. 수동적인 표현을 능동적으로 전환하기 AI는 흔히 번역체라고도 불리는 수동 표현을 사용합니다. 자기소개서에서는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톤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정 전 AI 가 쓴 문장 수정 후 정확도가 70%대에 머무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정확도가 70%대에 머물러,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기에 부족했습니다. 방법 4. 전형적인 논리 공식 깨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를 했다.’ ‘~할 수 있도록 가설B를 세웠다' 등의 교과서적인 구조는 AI가 자주쓰는 논리 패턴입니다.사람도 쓸 수 있는 문장이지만, AI로 작성한 글에서 자주 반복되어 글이 기계적으로 느껴집니다.이 전형적인 논리 공식이 계속 반복되고 있는지 점검하고, 문장에 맥락을 더해보세요. 수정 전 AI 가 쓴 문장 수정 후 저는 문제 해결을 위해 먼저 관련 선행 연구 논문 50여 편을 분석하여 가장 먼저, 선행 연구 논문 50여 편을 분석하여 기존 모델들의 장단점을 파악했습니다. 문맥의 핵심 의미를 더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어텐션 메커니즘을 새롭게 설계하고 적용하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문맥의 핵심 의미를 더 잘 학습하기 위해서는 어텐션 메커니즘을 새롭게 설계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가설 검증을 위해 약 10만 개의 온라인 뉴스 댓글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고 정제하여 세운 가설을 증명하고자, 약 10만 개의 온라인 뉴스 댓글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여 모델을 학습시켰습니다. 방법 5. 문장 재조립하기 마지막으로, AI가 작성한 긴 문장을 짧게 나누고, 다른 문장과 이어 쓰면가독성이 높아지고 더 자연스러운 문장이 됩니다. A + B. C. 형태의 문장 연결을 A. B+C. 형식으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수정 전 AI 가 쓴 문장 수정 후 하지만 기존의 영어 기반 번역 모델들은 한국어의 고유한 특성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정확도가 70%대에 머물러,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기에 부족한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영어 기반 번역 모델들은 한국어의 고유한 특성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분석 정확도가 70%대에 머물러,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결과, 기존 모델 대비 감성 분류 정확도를 5.7%p 높여, 기존 모델의 기술적 한계를 뛰어 넘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OO정보과학 학회에 ... 그 결과, 기존 모델 대비 감성 분류 정확도가 5.7%p 높아졌습니다. 기존 방식의 한계를극복한 이 연구 결과는 OO정보과학 학회에 석사생 제1저자로 논문을 게재하는 기회로 이어졌습니다. 이 다섯가지 방법을 적용하니, GPT 의심률이 83% → 56%로 27%p 낮아졌습니다.아래 수정본을 비교해 보세요. 기계적인 느낌이 완화되었다는 게 느껴지지 않나요? 다만 사람이 쓴 글조차 AI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는 만큼 탐지 결과만 맹신하기보다는, 본인의 경험과 개성을 적극적으로 담아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AI 작성 원본 수정본한국어 특성을 고려한 감성 분석 모델로 정확도 5.7%p를 향상시킨 경험 석사 과정 중 수행한 '한국어 특화 감성 분석 모델 연구'는 저의 연구 역량을 한 단계 성장시킨 가장 의미 있는 성과입니다. 당시 연구실에서는 소셜 미디어 데이터의 긍·부정 분석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영어 기반 번역 모델들은 한국어의 교착어적 특성(조사, 어미의 변화)과 반어법 같은 중의적 표현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정확도가 70%대에 머무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저의 목표는 한국어의 고유한 특성을 모델이 학습하게 하여 감성 분석의 정확도를 끌어올리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문제 해결을 위해 먼저 관련 선행 연구 논문 50여 편을 분석하여 기존 모델들의 장단점을 파악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최신 언어 모델인 KoBERT를 기반으로 하되, 문맥의 핵심 의미를 더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어텐션 메커니즘(Attention Mechanism)을 새롭게 설계하고 적용하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가설 검증을 위해 약 10만 개의 온라인 뉴스 댓글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고 정제하여 모델을 훈련시켰습니다. 특히, 긍·부정의 의미를 결정하는 핵심 단어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알고리즘을 개선했으며, 수백 번의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을 통해 최적의 성능을 찾아냈습니다. 그 결과, 기존 모델 대비 감성 분류 정확도를 5.7%p 향상시킨 78.5%의 정확도를 달성하는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OO정보과학 학회에 석사생 제1저자로 논문을 게재하는 성과로 이어졌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저는 명확한 문제 정의부터 끈기 있는 실험을 통한 가설 검증, 그리고 결과의 객관적 정리까지 연구의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역량을 길렀습니다. 70%의 벽을 넘지 못했던 한국어 감성 분석, 5.7%p의 정확도를 끌어올리기까지석사 과정 중 수행한 '한국어 특화 감성 분석 모델 연구'는 기존 연구방법의 한계를 뛰어넘고, 처음으로 '내 연구'라는 자부심을 느낀 경험이었습니다. 당시 연구실에서는 소셜 미디어 데이터의 긍·부정 분석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영어 기반 번역 모델들은 한국어의 고유한 특성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분석 정확도가 70%대에 머물러,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기에 부족했습니다. 저의 목표는 한국어의 고유한 특성을 모델이 학습하게 하여 감성 분석의 정확도를 끌어올리는 것이었습니다. 가장 먼저, 선행 연구 논문 50여 편을 분석하여 기존 모델들의 장단점을 파악했습니다. 최신 언어 모델인 KoBERT를 기반으로 하되, 문맥의 핵심 의미를 더 잘 학습하기 위해서는 어텐션 메커니즘을 새롭게 설계해야 한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세운 가설을 증명하고자, 약 10만 개의 온라인 뉴스 댓글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여 모델을 학습시켰습니다. 특히, 긍·부정의 의미를 결정하는 핵심 단어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알고리즘을 개선했으며, 수백 번의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기존 모델 대비 감성 분류 정확도가 5.7%p 높아졌습니다.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한 이 연구 결과는 OO정보과학 학회에 석사생 제1저자로 논문을 게재하는 기회로 이어졌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문제를 집요하게 해결하는 자세가 즐거움과 성과를 만든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앞으로 어떤 연구 과제가 주어져도 헤쳐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GPT 킬러 무료 자소서를 제출하기 전에 GPT 표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무료 사이트들을 살펴보겠습니다.무료 플랜이라 제한은 있지만, 제출 전 간단히 검토하는 용도로는 유용하게 쓰실 수 있을 거예요. 서비스명 무료 플랜 설명 무료 플랜 장점 Monica AI 가입 후 무료 체험 크레딧/일일 제한 → 소진 시 유료 소량 텍스트를 무료로 바로 테스트 가능, 다국어 감지 지원 카피킬러의GPT킬러 월 1회 무료 이용권 제공, 무료는 전체 표절률만 표시(문장 단위 상세 결과 미제공) 국내 서비스라 한국어 텍스트에 특화되어 있음 GPTZero 무료 스캔 가능 (회당 약 5,000자 입력 제한), 일일 제출 횟수 제한 있음 무료에서도 GPT 의심 문장 일부 확인 가능 인사담당자는 챗지피티 자소서를 거를까? 진학프로는 지난 3월, 한 연구원 채용설명회에서 채용담당자에게 “챗지피티 자소서에 대한 평가 기준이 있는지” 물었습니다. 당시 채용담당자의 답변은 “아직까지는 AI가 작성한 자기소개서를 필터링하는 규정은 없으나, 앞으로 도입을 검토하려고 한다”고 답했죠. 이처럼 채용에서 AI는 갈수록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오늘 내용을 참고하셔서 불필요하게 AI 표절 판정에 억울하게 걸리는 일을 줄이고, 구직 활동에 더 집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석사·박사 취업에 도움되는 추가 자료들 ⬇️· 석사 PT 면접, [이렇게 준비하면] 설득력이 달라집니다 · 석박사 취업사이트 및 알짜 취업지원금 정리 [보러가기] · 연봉 9천만 원 포닥 채용하는 이노코어 사업 [3분 요약] · 인문사회계열 석박사 취업준비방 [지금 바로 입장하기]

지식백과사전
연구자를 위한 딥 리서치(Deep Research), 더 나은 논문을 쓰고 싶은 석박사라면
논문도 이제 AI와 함께 쓰는 시대입니다. 자료조사부터 최종 검토까지, 반복적인 작업은 AI에게 맡기고 본질적인 사고에 집중하는 흐름이 당연해지고 있죠. 진학프로가 소개했던 논문 작성에 도움되는 AI툴 6가지 콘텐츠도 많은 호응을 얻었는데요. 이번 글 또한 연구와 논문에 AI를 잘 활용하고 싶은 석박사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요.오늘 소개할 도구는 논문을 더 잘 쓰기 위한 AI, 딥리서치(Deep Research)입니다. 딥리서치는 ChatGPT · Perplexity · Gemini 등 AI 플랫폼에 탑재된 기능으로, 이전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번 글을 읽고 나면 딥리서치가 무엇인지, 학계의 반응과 활용 방안, 사용 시 주의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게되실 거예요.이번 아티클 3줄 요약· 딥리서치란?· Chat GPT vs Perplexity vs Gemini· 딥 리서치 활용 시 주의사항 *체크리스트 제공1. 딥리서치란 무엇인가딥리서치는 사용자의 복잡한 질문에 대해 AI가 실시간으로 인터넷 상의 다양한 정보를 탐색하고, 출처를 종합해 보고서 수준으로 정리된 응답을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기존 GPT의 웹 브라우징 기능과 달리 여러 자료를 종합해 보고서를 작성하고, 출처까지 명확하게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다릅니다.요즘 주목받는 대표적인 딥리서치 도구에는 퍼플렉시티·제미나이·챗지피티가 있는데각각 방식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수많은 웹페이지를 사용자가 일일이 읽고 정리할 필요 없이· AI가 대신 탐색하고 요약하며· 출처까지 함께 제공해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기존 GPT vs 딥리서치 비교항목기존 GPT 브라우징 기능딥리서치 기능탐색 깊이기사 또는 페이지 단위 요약수십 개 출처를 비교, 종합, 정리응답 형식Q&A 스타일출처 포함 구조화된 보고서 형태 작동방식실시간 검색 + 즉시 응답비동기형 분석(5~30분 소요)활용 목적뉴스 확인, 요약 등 간단한 검색학술·산업 리서치, 정책 분석 등 고난도 탐색논문 작성 과정에서 딥리서치는 사용자의 질문에 따라 웹상의 수많은 정보를 분석하고, 핵심 내용만 구조화해 보여줍니다. 생성된 보고서에는 각 정보의 출처와 인용이 함께 제공되어, 사용자가 팩트를 검증하고 신뢰도를 확인하는 것이 훨씬 수월해집니다.딥 리서치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 사진에 표시된 심층 리서치(deep research 또는 연구) 버튼을 누르고 대화를 시작해보세요.*GPT, Perplexity, Gemini 사용법 모두 동일2.석·박사 연구자들은 어떻게 평가할까?“GPT 가 박사급 연구원이 2주 동안 할 일을 8분 만에 해냈다” 라는 헤드라인 많이 보셨을 텐데요.딥리서치에 대한 학계의 반응은 기대와 신중함이 함께 엿보입니다. AI가 연구자의 시간을 줄여주는 건 분명하지만, 그 결과물을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할지는 여전히 사람의 몫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요.토론토대학교 Kevin Bryan 교수는 linked in에 딥 리서치 사용후기를 아래와 같이 남겼습니다· 딥리서치 모델을 활용해 GPT에게 논문 초안을 작성해보라고 했다. · 한 번에 생성된 결과물은 나쁘지 않았고 솔직히 이보다 못한 논문을 심사한 적도 있다. · 물론 내가 원했던 것과는 정확히 일치하진 않았고 참신한 연구 결과라고 하기엔 부족했다. · 그래도 AI가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연구에 쓰이게 될지, 그 방향은 분명히 보였다. 국내 연구 현장에서도 딥리서치는 자료조사 시간을 단축해주는 효율적인 보조 도구로 받아들여 지고 있습니다. 특히 반복적이고 소모적인 연구 업무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평가가 많지만, 동시에 AI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연구자의 비판적 해석과 분별력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논문 작성 시 딥 리서치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하단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3.대표적인 딥리서치 툴 비교항목Chat GPTPerplexityGoogle Gemini이용요금유료 플랜에서 이용 가능일부 무료이용 가능일부 무료이용 가능강점다양한 질문을 처리할 수 있고결과물의 논리 구성이 비교적 우수함빠른 응답구글 기반의 검색으로 비교적 자료가 다양약점결과물 처리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림입력할 수 있는 인풋이 비교적 한정적임(텍스트 + 한정적 파일 업로드)SEO(검색 시 상위노출 자료)에 편향될 가능성 있음*인류의 마지막 시험 정답률26.6%20.5%18.8%*인류의 마지막 시험: 인류의 마지막 시험은 OpenAI가 GPT 성능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지표로, SAT, AMC, USABO 등 고난도 시험에서 인간 대비 AI의 상대 성과를 측정한 것입니다. 인간이 AI에게 낼 수 있는 가장 어려운 문제를 모아 만든 평가로, Humanity's Last Exam을 줄여 HLE라고도 합니다.공식 홈페이지의 deep research 소개GPTDeep Research는 금융, 과학, 정책, 공학 등에서 정밀하고 신뢰할 수 있는 리서치를 수행해야 하는 지식 노동자를 위해 설계됐습니다. 또한 자동차, 가전제품, 가구 등 세심한 구매 판단이 필요한 소비자에게도 매우 유용합니다. 모든 결과물은 출처가 명확하게 제시되며, 사고의 흐름 요약이 포함되어 있어 검토와 검증이 용이합니다.특히 여러 웹사이트를 찾아야만 알 수 있는 틈새 정보나 직관적이지 않은 정보를 찾는 데 강점을 발휘합니다. Deep Research는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웹 리서치를 하나의 쿼리로 단축시켜 귀중한 시간을 절약하게 해줍니다. Gemini제미나이는 마치 우리가 연구를 할 때 그러하듯 웹상을 탐색하고 결과를 분석하며 연구를 진행합니다. 검색하고, 흥미로운 정보를 찾으며, 그 내용을 바탕으로 또 다른 검색을 시작합니다. 이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한 후, 주요 결과를 담은 종합적인 보고서를 만들어 냅니다. 이 보고서는 구글 문서로 내보낼 수도 있습니다. PerplexityPerplexity는 이미 질문에 대한 답변에 탁월합니다. 딥리서치는 질문 응답을 다음 수준으로 끌어올려, 인간 전문가가 수시간 걸릴 작업을 2~4분 만에 수행합니다.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추론을 통한 조사: 검색 및 코딩 기능을 갖춘 퍼플렉시티의 딥리서치 모드는 반복적으로 검색하고 문서를 읽으며,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 추론하여 주제 영역에 대해 더 많이 배울수록 조사 계획을 정제합니다. 이는 인간이 새로운 주제를 조사하면서 이해를 심화하는 방식과 유사합니다.· 보고서 작성: 소스 자료가 완전히 평가되면, 에이전트는 모든 조사를 명확하고 포괄적인 보고서로 통합합니다.· 내보내기 및 공유: 최종 보고서를 PDF나 문서로 내보내거나, Perplexity 페이지로 변환하여 동료나 친구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4. 논문 쓸 때 딥리서치, 이렇게 쓰세요딥리서치가 논문 전체를 대신 써줄 수는 없지만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활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연구가 가능합니다.연구에서 낭비되는 시간은 AI로 효율화하고 더 좋은 연구를 위해 시간을 투자하세요.참고문헌 조사· 관심 분야의 주요 인용 논문, 핵심 이론, 연구 동향 등을 빠르게 파악해 보세요.💬 프롬프트 예시 “2020년 이후 AI 윤리와 관련해 학술적으로 가장 많이 인용된 주요 논문 5편을 핵심 키워드와 함께 요약해줘.”연구 설계 힌트 얻기· 가설 수립이나 실험 설계 전에 유사 연구의 설계 방식, 변수, 접근 방식 등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예시 “이중집단 설계를 활용한 실험 논문 중, 변수 조작 방식과 측정 도구 구성을 예시와 함께 정리해줘.논리 흐름 점검· 초안 작성 후, 초안을 피드백 받거나 같은 주제로 딥리서치 보고서를 생성해 비교하면 내 글의 약한 연결고리, 누락된 요소를 점검 하세요.💬 프롬프트 예시“아래에 첨부한 내 논문 초안을 기준으로, 주장 전개 흐름에서 비약되거나 근거가 약한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줘. 부족한 논거를 보완할 수 있는 자료도 함께 추천해줘.”아이디어 확장· 기존 주제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거나, 인접 분야의 연구 사례를 탐색하면서 아이디어를 얻어보세요.💬 프롬프트 예시“디지털 헬스케어와 관련된 최근 3년 내 주목받는 신흥 연구 주제를 제시하고, 각 주제별 대표 논문과 키워드를 정리해줘.”윤리적 검토와 중복 확인· 유사 논문 존재 여부, 표절 가능성 등을 1차적으로 확인하는 데 도움받을 수 있어요.💬 프롬프트 예시“내가 작성한 초안 내용을 바탕으로 유사 주제를 다룬 기존 연구 논문이 있다면 리스트로 보여줘. 학술적 중복 가능성이 있는지도 판단해줘.”5. 석박사가 딥리서치 사용할 때 주의사항AI 기반 딥리서치는 조사와 정리에 강력한 보조 역할을 하지만, 논문 작성의 전 과정을 자동화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한계는 사용 전에 인지할 필요가 있어요.열린 데이터에만 접근한다는 한계딥리서치 도구는 무료로 접근 가능한 웹 기반 자료에 의존하기 때문에, 학술 DB(예: JSTOR, ScienceDirect 등)처럼 유료 논문이나 비공개 데이터에는 접근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핵심 선행연구가 누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질문을 세우는 건 여전히 연구자의 일연구는 문제를 발견하고, 다양한 질문을 통해 구체화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AI도 이 과정에 기여할 수 있지만 연구의 핵심 주제를 정의하고 타당한 문제의식을 설정하는 일은 여전히 연구자의 해석과 통찰에 달려 있어요.현장성이나 맥락적 해석에는 개입하기 어려움인터뷰, 실험, 실증 사례를 다루는 연구에서는 데이터만큼이나 맥락의 이해와 해석이 중요합니다. 딥리서치는 구조화된 텍스트에는 강하지만, 현장성이 강한 연구에는 직접 기여하기 어렵습니다.논리 전개가 비약적이거나 반복되는 경우도 있음AI가 작성한 리서치 보고서에는 간혹 중복되거나 진술이 과장된 문장, 혹은 논리적으로 비약된 연결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연구자가 꼼꼼히 검토하지 않으면 왜곡된 흐름이 반영될 수 있어요.7. 딥리서치 활용 전·후 체크리스트딥 리서치를 활용하는 연구자라면, 논문 작성 시 아래 체크리스트를 꼭 확인하세요!□ 자료 신뢰성 | AI가 제시한 출처는 학술적으로 검증된 자료인가? 1차 출처를 확인할 수 있는가?□ 맥락 적합성 | AI가 제시한 리서치 결과가 내 논문의 가장 중요한 질문 및 대상에 실제로 적용 가능한가?□ 선행연구 누락 여부 | 유료 DB 기반의 핵심 논문이 빠져 있지는 않은가?□ 논리적 비약 | 생성된 보고서에 논리적 비약이나 과장된 표현은 없는가?□ 질문 적절성 | 내가 던진 질문 자체가 충분히 구체적이고 연구 목적에 맞았는가?연구자에게 유용한 정보 더 알아보기이번 글에서는 딥리서치 뜻, 딥리서치 후기, 딥리서치 사용방법 등을 다뤄보았습니다.오늘 아티클이 연구자 여러분의 더 나은 연구 활동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추가로 보면 좋은 자료를 아래 덧붙입니다.· 학회 발표 실수를 줄이는 노하우 [여기를 클릭]· 박사들은 이력서에 희망연봉 얼마 쓸까? [여기를 클릭]· 정출연(생명연) 석사 후 연구원에 관심있다면 [여기를 클릭]· 다른 지원자들이 많이 조회한 인기 연구원 채용공고가 궁금하다면 [여기를 클릭]

해외취업정보
대만에서 석사·박사 취업하면? 대만 비자, 환율, 연구비 지원 펀딩 총정리
대만에서 연구자로 커리어를 쌓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비자, 취업, 생활 등 복잡한 제도 속에서 석박사 연구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만 모은 콘텐츠를 찾고 계셨다면, 이 글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목차 대만 취업 정보 대만 비자 및 행정 절차 대만 현지 적응 및 생활 정보 커리어 성장 전략 1. 대만 취업 정보 📌 취업 유망 분야 1. 반도체 및 전자 제조 산업 대만은 세계 파운드리 시장의 70%를 점유하며 글로벌 반도체 강국으로 자리 잡았어요. AI칩, 첨단 공정 확대 등으로 연구개발(R&D), 공정관리, 품질관리 인력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지 인력만으로는 수요를 충당하기 어려워, 대만 기업들은 해외 석·박사급 인재 채용을 확대하고 있어요. - 주요 기업: TSMC, UMC, ASE, MediaTek 등 - 인력 수요: 2025년까지 약 3.4만 명 추가 필요 - 유망 직무: 반도체 설계, 공정/장비 엔지니어, 품질관리, 프로젝트 매니저 - 요구 역량: 전자·재료·화학공학 등 전공, 반도체 공정 이해, 영어 및 중국어 소통 능력 2. 정보통신(IT) 및 디지털 기술 산업 하드웨어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와 AI, 데이터 분석, 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혁신 분야가 빠르게 성장 중이에요. 정부도 정보·디지털 분야를 6대 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인재 양성 및 해외 인재 유치에 집중하고 있어, IT 인재의 중장기 수요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 주요 직무: AI 엔지니어, 데이터 분석가, 사이버보안 전문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 산업 동향: 정부가 AI·디지털을 6대 전략 산업으로 지정, 해외 인재 유치 강화 - 근무 환경: 글로벌 프로젝트 참여 기회가 많고 영어 사용 비중이 높음 3. 바이오·제약 및 의료기술 산업 대만 바이오 산업은 2024년 생산액 NT$7,750억(약 264억 달러)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어요. 정부가 정밀의료, 신약, 의료기기 등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지정하면서 연구직 채용이 활발해요. 석박사 학위나 전문 자격을 보유하면 연구직이나 고급 분석직으로 채용될 가능성이 높아요. - 주요 직무: 신약개발 연구원, 임상시험 코디네이터, 품질관리(QA/QC), 규제 담당자 - 유망 분야: 유전자·단백질 분석, AI 기반 의료기술, 생명정보학 - 요구 역량: 생명과학·화학·약학 전공, 영어 논문 및 규제 문서 이해력, 중국어 소통 📌 취업 관련 정보 대만 노동법 근로시간은 하루 8시간, 주 40시간이며 7일 중 2일은 휴식이 보장돼요.초과근무는 일 4시간, 월 46시간을 넘을 수 없고 시간대별로 차등 수당이 지급됩니다.- 평일: 9~10시간 시급*1.34, 11~12시간 시급*1.67- 공휴일: 8시간 이내는 무조건 1일분 지급, 9~10시간 시급*1.34, 11~12시간 시급*1.67- 휴무일(토요일): 2시간 이내는 시급*1.34, 3~8시간 시급*1.67, 9~12시간 시급*2.67- 휴일(일요일): 원칙적 근무 불가, 불가피한 경우 시급*2 + 보상휴가 휴가 제도 - 연가/연차: 근속기간별 연차 수를 차등 부과합니다. 잔여 연가는 노사간 합의를 전제로 다음 해로 1년간 이월 가능해요. * 6개월~1년 미만: 3일 * 1년 이상~2년 미만: 7일 * 2년 이상~3년 미만: 10일 * 3년 이상~5년 미만: 14일 * 5년 이상~10년 미만: 15일 * 10년 이상: 매년 1일씩 추가 * 24년 이상: 최대 30일 [참고] 대만 연가일수 산정 시스템 바로가기 - 결혼휴가: 유급휴가 8일- 병가: 연 30일까지 급여 50%, 초과 시 무급- 출산휴가: 유급휴가 8주(근속 6개월 미만은 반액 지급)- 육아휴가: 만 3세 미만 자녀 양육 시 무급휴가 최대 2년 퇴직연금 고용주는 근로자 월급의 최소 6%를 퇴직연금으로 적립하며, 100% 고용주 부담이에요. 개인 소득세 183일 이상 체류자는 거주자로 분류돼 국내외 소득에 대해 과세됩니다.2024년 기준 누진세부여 연소득 구간은 다음과 같아요.* 590,000 NT$ 이하: 5%, 누진공제액 없음* 590,001~1,330,000 NT$: 12%, 누진공제액 41,300대만달러* 1,330,001~2,660,000 NT$: 20%, 누진공제액 147,700대만달러* 2,660,001~4,980,000 NT$: 30%, 누진공제액 413,700대만달러* 4,980,001 NT$ 이상: 40%, 누진공제액 911,700대만달러체류 90일 미만이라면 원천징수되지 않은 소득에 대해서만 과세합니다.90일~182일 동안 체류했다면, 원천징수되지 않은 소득 외에도 대만에서 용역을 제공했으나 해외 고용주로부터 받은 보수에 대해서도 과세합니다. 2. 비자 및 행정 절차 한국인은 단기 출장·관광 목적으로 최대 90일간 무비자 체류가 가능해요.90일을 초과하면 주한 타이베이대표부(서울·부산)에서 비자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ㅇ 주한국 타이베이대표부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149 광화문빌딩 6층 - 전화번호: (02)6329-6000(영사 민원은 내선번호 1번) - 홈페이지: https://www.roc-taiwan.org/kr_ko - 메일: kor@mofa.gov.tw - 영사 민원 접수시간: (평일)09:00~11:30, 13:30~15:30 ㅇ 주한국 타이베이대표부 부산사무처 - 주소: 부산광역시 중국 중앙대로70 동원산업빌딩 9층(지하철 1호선 중앙역 6번 출구) - 전화번호: (051)463-7965 - 홈페이지: https://www.roc-taiwan.org/krpus_ko - 메일: pus@mofa.gov.tw - 영사 민원 접수시간: (평일)09:00~11:30(사전예약 불요), 13:30~14:30(사전예약 필수, 예약 링크) 📌 일반 취업비자 (취업허가증 Type A) 대만 기업의 정식 고용계약을 받은 외국인에게 발급되는 가장 기본적인 취업비자예요. 기업은 일정 규모 이상의 매출 또는 자본금을 충족해야 외국인 채용이 가능해요.학사 학위자는 2년 이상 경력, 석사 이상은 경력 면제가 적용됩니다.- 급여 기준: NT$47,971 이상, 대만 대학 졸업자리면 NT$37,619- 유효기간: 2~3년, 계약 연장에 따라 갱신 가능- 가족 동반 가능: 배우자·미성년 자녀기업에게 취업허가를 받은 후 외국인거류비자(Resident Visa) 및 거류증(ARC)을 발급받아 체류하게 됩니다. 동반 배우자는 별도 취업허가 없이는 취업할 수 없다는 점도 참고해야 해요. 📌 취업 골드카드 (Employment Gold Card) 대만 정부가 고급 전문인력 유치를 위해 만든 4-in-1 통합형 비자 예요. 취업허가 + 비자 + 거류증 + 재입국 허가가 하나로 묶여 매우 편리합니다.특정 고용주 없이도 대만에 체류하며 자유롭게 취업이 가능합니다.- 대상: 과학·경제·예술·법률·스포츠 등 7개 분야의 외국인 특별전문인력(High-level Professional)- 자격 기준: 최근 3년 내 월급여 NT$160,000 이상 1년 유지하는 등 높은 연봉, 박사 학위, 고위급 경력, 수상 경력 등 전문성 입증 필요- 유효기간: 1~3년, 만료 4개월 전부터 자격을 유지하는 조건으로 연장 가능- 가족 동반 가능: 배우자·미성년 자녀, 부모 및 조부모는 최대 1년의 방문비자 특별 허용골드카드를 소지하면 소득세를 50% 감면받을 수 있어요. 또한 골드카드 소지자의 가족은 거주 즉시 국민건강보험(NHI)에 가입할 수 있어요. 📌 취업 탐색 비자 (Employment-Seeking Visa) 대만 현지에서 취업 탐색·면접·네트워킹이 필요한 외국인을 위한 단기 체류 비자입니다.아래 3가지 중 1가지 조건에 해당하면 대만 외교공관에서 비자를 신청할 수 있어요.· 최근 6개월간 평균 월수령액이 NT$47,971 이상인 직장 경력자· 세계 대학 순위가 상위권인 대학을 졸업한 지 1년 이내의 미취업 졸업생(대만 교육부가 인정하는 글로벌 톱랭킹 대학 명단 참조)· 그 밖에 해당 분야의 주무부처 추천으로 외교부가 특별히 자격을 인정한 경우- 유효기간: 초기 3개월 체류 후 1회 연장해 최대 6개월까지 가능구직활동 목적의 개인 비자이므로 동반가족 비자 발급은 어려워요. 가족은 별도로 일반 방문비자 등을 받아 입국해야 합니다. 📌 고학력 인재 우대 제도 (대만 학위자 취업 자격 완화) 대만 정부는 해외 전문인력 유치를 위해 고학력자·기술전문가·대만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우대제도를 운영하고 있어요.석·박사 학위 소지자에게 유리한 점이 많지만, 분야별 심사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조건을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해요. 1) 경력 요건 완화일반 취업허가(Work Permit)는 학사 학위자는 관련 경력 2년 이상이 기본 규정이에요. 하지만 과학기술, 경제, 교육 분야 등의 분야에서는 전문성 입증 자료(성과·논문·특허 등)가 충분하면 경력의 일부를 인정받을 수 있어요.또한 2025년 개정된 외국인전문인재법에 따르면, 세계 대학순위 1,500위 이내 대학 졸업자는 전문인재로 인정될 수 있는 기준이 확대되어 취업허가 심사에서 유리해요.다만 고용계약 체결과 취업허가(Work Permit) 발급 절차는 필요해요. 2) 평점제(point system)대만 대학(원)에서 학위를 취득한 외국인은 학력·급여·중국어 능력·대만 체류 경험 등을 종합 평가하는 점수제를 통해 취업허가를 받을 수 있어요.대표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아요.• 학력(박사 30점, 석사 20점 등)• 월급 수준• 중국어 능력(TOCFL)• 대만 관련 경험(인턴·학업·연구 등)• 전문 자격증·수상 경력 3. 현지 적응 및 생활 정보 2025년 11월 24일 기준 대만 환율은 1 TWD당 47원이에요. 1) 주택 임차 - 부동산 중개 플랫폼: 591.com.tw, Sinyi, Yungching 등대만은 전세 개념이 없고 월세 중심으로 거래되는 구조예요.보통 1년 계약에 보증금 1~2개월을 선납하고, 중도 해지 시 1개월치 월세를 위약금으로 지불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2) 은행 계좌 개설 - 주요 은행: Bank of Taiwan, CTBC Bank, Mega International Commercial Bank, Taipei Fubon Commercial Bank, HSBC 등대만은 도장 없이도 서명으로 계좌를 개설할 수 있어 편리해요. 개인 계좌 개설 시, 두 종류의 신분증을 지참해 은행을 방문하면 됩니다.* 거류증 취득자: 거류증, 기타 신분증(건강보험카드, 여권, 학생증, 운전면허증 등)* 거류증 미취득자: 여권, ID번호 발급증명서(지역별 내정부 이민서 서비스센터를 방문해 신청) 3) 건강보험 가입 대만 건강보험 요율은 5.17%이고, 6%가 상한선으로 규정하고 있어요.보험료 부담 비율은 고용주 60%, 근로자 30%, 정부 10%이고, 보험료는 '기준보수액' 등급에 따라 총 59단계로 분류해요.근로자는 회사 입사 후 자동 가입되며, 가족도 조건에 따라 함께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이주 직후에는 일정 대기 기간 후 보험 적용이 시작되니 일정 확인이 필요합니다. [참고] 기준보수액 등급별 보험료 납부액 바로가기 4) 운전면허 및 교통 한국 국제운전면허증으로 30일간 차량 임차와 운전을 할 수 있어요.30일을 초과해 체류한다면 대만 감리소(Motor Vehicles Office)에서 운전면허 허가증을 발급받아야 해요. [필요 서류] * 거류증 등 체류 허가 증빙서류 원본/사본 * 여권 원본/사본 * 한국 면허증 원본 및 재외공관의 번역공증 문서 * 최근 2년 이내에 촬영한 컬러사진 2매(2.8×3.5cm) * 최근 1년 이내에 지정병원에서 발급한 신체검사서 [참고] 대만감리소 운전면허 허가증 발급 안내 바로가기 5) 대사관 연락처 - 주타이페이 대한민국 대표부 : +886-2-2758-8320~5 / (긴급) +886-912-069-230 4. 커리어 성장 전략 1) 대만 정부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 ① MOFA Taiwan Fellowship- 주관기관: 중국 외교부- 대상: 대만, 양안관계, 아태지역, 중국학 등을 연구하는 해외 대학 소속의 교수·박사후 연구원·박사과정생 등 (외국인만 지원 가능, 대만 국적자는 제외)- 지원 내용: 매월 NT$50,000~60,000의 연구 장학금 지급(신분에 따라 상이), 연구기간 3~12개월 동안 체재비 지원 및 왕복 항공권 제공, 상해 보험 포함-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② MOE Short-Term Research Award- 주관기관: 중국 교육부- 대상: 인문사회 및 예술·문화 분야의 연구를 희망하는 국제 연구자, 박사과정생 또는 박사후 연구원- 지원 내용: 2~6개월 간 월 NT$25,000(박사과정생) 또는 NT$40,000(박사후연구원) 연구비 지원, 거주국↔대만 왕복 이코노미석 항공권 제공-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③ NSTC Young Scholar Fellowship (Einstein Program)- 주관기관: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대상: 박사학위 취득 후 3년 이내이며 만 35세 이하인 신진 연구자(국적 제한 없음, 선정 시 대만 소재 대학에 임용되어 연구 수행)- 지원 내용: 혁신적인 연구 수행을 위한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으로, 연간 최대 NT$500만의 연구비를 3~5년간 지원-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④ Yushan Scholar Program (玉山 학자 프로그램)- 주관기관: 중국 교육부- 대상: 해외 유수 대학·연구기관에서 활약한 국제적으로 저명한 석학 또는 뛰어난 잠재력을 지닌 젊은 학자(국적 무관)- 지원 내용: 시니어 석학에게는 매년 최대 NT$500만의 추가 연봉과 NT$150만의 연구경비를 3년간 지원, 젊은 학자에게는 매년 NT$150만의 추가 연봉과 NT$150만의 연구경비를 5년간 지원-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2) 연구 네트워크 만들기 ① BIO Asia–Taiwan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Exhibition- 내용: 2019년부터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바이오 컨퍼런스입니다. 혁신 포럼·투자 서밋·지역 협력 포럼 등의 컨퍼런스 트랙, 기업 발표, 1:1 미팅, 전문 심포지엄 및 워크숍, 국제 바이오 전시회, Taiwan BIO 어워드 및 BIO Asia 어워드 시상을 진행해요. 2024년에는 참가자 2200여 명과 전시 방문 13만여 건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 규모를 달성했어요.- 분야: 신약, 바이오의약, 체외진단, 의료기기, 바이오 서비스 등 의약·바이오 신기술- 대상: 글로벌 바이오 산업 관계자(제약·바이오 기업 임원, 투자자 등), 바이오 스타트업 창업자 및 기업가, 생명과학 분야 연구자 등-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② TASTI (Taiwan International Assembly of Space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내용: 2024년 대만우주청에서 처음 개최한 국제 우주과학기술 콘퍼런스 및 산업 교류 행사에요. 많은 석박사들이 참여하여 학술논문 발표와 우주기술·우주산업 포럼 등 패널 토론과 네트워킹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전시회도 병행해요. 또한 대학(원)생들을 위한 큐브위성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열어 연구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어요.- 분야: 우주산업 전반 (위성·우주선 설계, 로켓 발사체 기술, 위성통신, 우주 정책·법률 등)- 대상: 우주공학·천문학 등 관련 분야 연구자(석·박사 과정생, 신진 연구자 포함), 항공우주 엔지니어와 기술자, 각국 우주기관 관계자, 우주산업 종사자 등-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③ COMPUTEX Taipei- 내용: 매년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세계 3대 ICT 전시회 중 하나로, AI·반도체·통신 분야의 최신 기술을 확인할 수 있어요. 2024년 행사에서는 “Connecting AI”를 테마로 AMD, 퀄컴, 인텔 등 글로벌 기업 CEO들이 기조연설을 진행했어요. 스타트업 경연 무대인 InnoVEX도 함께 열려 30여 개국 400여 팀의 스타트업이 투자 유치를 위한 피칭 대회, 주제별 포럼, 네트워킹 세션을 진행했어요.- 분야: 인공지능(AI), 차세대 통신, 자율주행과 미래 모빌리티, 몰입형 XR, 그린 에너지 및 지속가능성 등 최신 ICT 기술- 대상: 글로벌 ICT 업계 관계자(기업 임원, 엔지니어·개발자, 국내외 바이어 등), 스타트업 창업자, 벤처 투자자, 기술 정책 담당자 등-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④ 박사 및 석사 학위 취업 정보 사이트- JINHAKPRO: 국내외 석·박사 및 교수 채용 정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플랫폼으로, 대만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의 연구직 및 교수직 채용 공고를 확인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아시아 연구직 공고 확인하기 바로가기 대만에서 연구자로 자리 잡는 과정은 쉽지 않지만, 제대로 된 정보를 갖추고 준비하면 충분히 해낼 수 있습니다.비자부터 취업, 연구 펀딩까지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한 걸음씩 나아가 보세요.진학프로가 프로님들의 새로운 도전을 응원하겠습니다. 이 콘텐츠가 유용했다면 아래 공유하기 버튼으로 대만 취업을 준비하는 연구자 동료에게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