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 장학금 찾는다면? 인문사회 석사에게 연 1,200만 원 연구장려금 지원
인문사회분야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이란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체육 등 인문사회계 석사생을 위한 국가 지원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 새롭게 시작되어 연 1,200만 원 규모의 장려금을 지급합니다. 인문사회계열 석사과정생이신가요? 그럼 이번 연구장려금이 나와 관련이 있는지 꼭 확인해세요. 올해 처음 시행되는 사업이라 충분히 도전해볼 만한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내년 사업 준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올해 예비 선정된 98개 과제 리스트와 한국연구재단이 공식 제공한 FAQ를 함께 정리했습니다.
🚩 그게 뭔데? 인문·사회 계열 석사생에게 연간 최대 1,200만 원을 지급하는 연구장려 제도예요. 👨🎓 누가? 🏫 어떻게? 📅 언제? 💰 왜? 📁 이 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자료 리스트 · 올해 선정된 과제 98개 리스트 · 내 연구과제도 인문사회계열에 해당할까? 인문사회계열 구분 기준 · 석사생들이 자주 묻는 질문 |
세부 내용은 다양하지만, 아래 여섯 가지 핵심만 알면 충분해요.
대학원생 장학금이나 장려금을 찾고 있다면 꼭 알고 있으면 좋은 내용이에요.
핵심 내용 | 설명 |
---|---|
안정적인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었어요. | 석사과정생이 학문적 자립 기반을다질 수 있도록 연구 수행에 필요한 생활비 성격의 장려금을 지원합니다. |
지방 할당제가 적용됩니다. | 수도권 집중 현상을 완화하고, 지역 대학의 학술 생태계를 지속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신규 선정 과제의 약 40%를 지방 소재 연구자에게 우선 배정합니다. |
학벌이 아닌 역량 중심으로 평가해요. | 연구계획의 우수성과 함께 연구자의 역량과 발전 가능성을 기준으로 평가하며, 단순 학벌이나 스펙 중심이 아닌 내용 중심의 심사를 지향합니다. |
지도교수와 교류해야 해요. | 연구자의 활동 성실도를 점검하고, 지도교수와의 연결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 지도 확인서를 반기마다 제출하도록 합니다. |
장려금은 한꺼번에 지급되지 않고 분할 지급. | 연구자의 책임감을 높이고, 사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장려금은 일괄 지급이 아닌 분할 지급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
결과 평가를 진행해요. | 연구가 종료된 후에는 결과 평가를 필수로 실시하며, 평가 결과가 불량할 경우 향후 학술지원 사업 선정에서 감점 요인으로 반영됩니다. |
2025년 인문사회분야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신청은 아직 시간이 있지만,
일정이 비교적 촘촘하게 흘러가니 미리 준비해두는 게 좋아요. 올해(2025년)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25년 2월: 신규과제 신청요강 공고 ‘25년 3월: 신규과제 신청‧접수 ‘25년 4~8월: 신규과제 선정평가 실시 ‘25년 9월: 신규과제 연구개시 (9.1.) |
지원 준비 과정에서 많이 나오는 질문들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연구재단의 답변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니 공식 문서를 처음부터 끝까지 읽기 부담스럽다면, 아래 내용을 먼저 확인해보세요.
신청 불가합니다. 본 사업은 석사과정생(석·박사 통합과정생)만이 지원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신청 불가하지만, 연구개시 전에 퇴직하여 연구개시일 기준 취업자가 아니며 연구 개시에 문제가 없다면 신청 가능합니다. 휴직은 불가합니다.
Q. 본 사업에는 나이 제한이 있나요?
없습니다.
아니오. 동시 신청이 불가합니다. 추후, 동시지원 여부가 확인되면 신청(또는 선정) 취소 처리됩니다.
신청요강의 추천자 확인서는 필수 신청 요건이며 제시된 양식을 지키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한글로 작성을 권장합니다. 추천자는 지도교수를 원칙으로 하되 불가피한 경우 주관연구기관의 주임교수로 연구 지도가 가능한 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추천자는 신청자의 취업 및 연구수행 상태 등을 사전에 파악하여 연구개시 및 수행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확인합니다. 또한 반기별 1회(‘25.12월/’26.4월) 연구 지도 확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연구 기간 중 추천자 변경은 원칙적으로 불가하나, 지도교수 정년 퇴임 등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 한해 변경 가능합니다. 변경 필요 시, 주관연구기관을 통해 변경된 추천자의 추천서, 변경 사유에 대한 증빙자료 등 필요 서류를 구비하여 공문으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과제를 신청할 때 신청자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여겨져서 평가를 받고 싶지 않은 연구자가 있을 경우, 최대 2명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신청자가 입력한 연구자는 평가에서 배제됩니다. 단, 네거티브 평가자 상피입력은 필수사항이 아닌 선택사항이므로 반드시 입력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 지원사업의 경우 선정과제의 수도권 쏠림 현상을 완화하고 학술연구의 지방 균형 발전 및 지역대학의 연구기반 강화를 위해 선정 과제 수의 40%를 비수도권 과제에 할당하고 있습니다. 지역 할당 기준은 주관연구기관의 소재지로, 주관기관의 소재지가 서울, 인천, 경기인 경우 “수도권”으로 분류되고, 그 외의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기관의 경우 “비수도권”으로 분류됩니다.
※ 지역 캠퍼스의 경우 본교 캠퍼스 소재지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 다만, 『고등교육법』 제24조 및 동법 시행령 제16조에 따라 설립‧운영 중인 분교들은 해당 분교 소재지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수행과제에서 지급받을 수 있는 학생인건비 총액은 월 180만원 이내이므로 월 180만원을 넘지 않는 선에서 중복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 BK21 장학금의 경우 중복 수혜 가능
재단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에 의한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중 생활과학 일부, 예술체육, 복합학 분야를 지원합니다. 연구책임자의 전공과 관계없이, 수행하고자 하는 과제의 주제가 인문사회분야인 경우 지원 가능합니다.
※ 학술연구분야분류표 확인 :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 상단 메뉴 중 사업안내 → 사업 자료실 → 연구분야분류표 → 학술연구분야분류표 [클릭]
이번 연구장려금 사업에는 총 98개의 과제가 예비 선정되었습니다. 계열별로는 사회과학 39개, 문화융복합 35개, 인문학 24개가 포함되어 있어요. 다만 이번 목록은 최종 확정 전 단계인 ‘예비 선정 과제’이기 때문에 추후 심사와 행정 절차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최종 선정 결과는 한국연구재단에서 별도로 공지될 예정이에요. 아래는 예비 선정된 과제 목록입니다. 올해 어떤 주제들이 뽑혔는지 확인해보면, 내년 지원에 도움이 되실 거예요.
아방가르드 음악 속 ‘백인적 듣기’와 비규범적 몸들의 재현 연구 |
대학 탁구팀 선수들의 강점-기반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
대학 야구 투수의 드랍 점프와 피칭 시 추진 다리의 지면 반발력과 구속 간의 상관관계 분석 |
영접(迎接)의 기억을 그리다: 영조도(迎詔圖) 연구 |
무용수의 고유수용성감각을 활용한 VR 퍼포먼스 연구 |
테크노스트레스 유형 분류와 개인차 요인의 영향 분석 |
국내 미술 생태계의 이벤트-중심 DB 구축을 위한 시멘틱 데이터 프레임워크 설계 연구 |
제주 아동의 방언 습득과 코드스위칭에 관한 연구 – 가정 내 지역애착 및 언어태도를 중심으로 |
한국과 미국의 유튜브 데이터 기반 멀티모달 도덕감정 분석 및 문화 간 온라인 사회적 담론 비교 연구 |
프로젝션 맵핑 노르딕 워킹을 통한 혁신적 자세교정 연구: 디지털 기술과 운동 중재의 융합 |
그래프 신경망의 노드·엣지 동시 증강을 통한 이상 거래 탐지 시스템(FDS) 고도화 연구 |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의 측정: ARG 모형을 활용한 상태공간 필터링 접근법 |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한 일-가정 갈등, 가정-일 갈등의 프로파일 분류 및 전이 영향요인 검증 |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한 노년층의 건강불평등과 지역사회 환경의 관계 분석 |
지역의 고용 및 산업 특성을 고려한 도시의 주택수요 추정 모형 연구 |
남북한이 바라보는 한반도종단철도(TKR)와 그 경제적 가치 |
근로시간 감축제도가 부업에 미치는 영향 |
인적자원 재배치와 혁신성과: 연구자의 지식 다양성과 탐색 성향이 재배치 후 혁신 창출에 미치는 영향 |
무슬림과 비무슬림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문화적응 과정에 관한 비교연구 |
포르노 보는 여자들: 2030 여성의 성적 주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
일본 모치다 고분군 출토 삼엽환두대도 복원과 삼국시대 금공기술 분석 |
조선 후기 전라도 송정(松政)의 운영과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웅전」을 통해 본 영웅소설의 통속서사와 대중성 재조명 |
경남의 동척 이민과 이주민 활동 양상 |
토기 그을음을 활용한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의 적용 가능성 연구 |
인지적 공감과 개연성 |
비잔티움 성화상논쟁과 미술 변화: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이론 적용 |
‘지역’과 젠더를 가로지르는 문학 - 김숨의 『잃어버린 사람』과 박솔뫼의 『미래 산책 연습』을 중심으로 |
한국인 학습자의 중국어 AI 음성인식 모델 개선 연구 |
케이팝(K-POP) 문화에서 출현한 ‘주체적 섹시’ 현상 분석: 기독 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
전체 리스트 [보러가기]
인문사회분야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올해는 놓쳤더라도 내년엔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지금부터 조금씩 준비해보시고,
이번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주변의 인문사회계 대학원생들에게도 꼭 공유해 주세요. 기회를 알고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시작이 달라질 수 있으니까요!
대학원생 장학금과 같이 석박사 여러분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꾸준히 전달하겠습니다.
· 한국연구재단의 2025 인문사회분야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 공식 공지 [바로가기] · AI 시대 연구자가 꼭 알아야 하는 [이것] · 석사라면 알아두어야 할 사기업 PT면접 [공략법] |
2025.08.06 (Wed)
지식백과사전
석사·박사 취업 사이트 추천 3곳 + 알짜 취업지원금 정리
석사 박사 취업 및 구직활동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이트 3곳을 소개합니다.다양한 채용 플랫폼 중에서도 연구직·교수직·R&D 직무 등 석·박사 구직자가 특히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만 모았습니다. 1. 진학프로 – 교수·연구직 등 석박사를 위한 채용 플랫폼 진학프로에서는 교수, 강사, 연구직 등 석박사 구직자를 위한 채용정보를 빠르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매주 나에게 맞는 채용공고 알림을 보내주어, 놓치기 쉬운 채용소식을 다양하게 챙겨 볼 수 있습니다.[진학프로 바로가기] 2. 캐치 – 대기업, 중견, 상위 10% 중소기업 채용 플랫폼 캐치에서는 대기업, 중견기업, 상위 10% 중소기업의 채용공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상위권 채용 정보들이 모아져 있어 취준 시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기업 분석 리포트, 공고를 열람한 사람들의 통계 등이 제공되어 자소서나 면접 준비를 할 때에도 유용합니다.[캐치 바로가기] 3. 알앤디잡 – 이공계 연구인력 대상 채용정보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을 받아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서 운영하는 공공 취업지원 플랫폼으로,연구개발(R&D)·기술직·전문연구요원 채용 공고를 제공합니다. [알앤디잡 바로가기] 취업 준비에 유용한 지원금 & 절약 팁 💸 취업 준비에서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생활비와 취업 준비에 드는 비용이죠.국가에서 지원하는 취업 관련 지원금과, 준비 과정에서 지출되는 카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알려드릴게요. 1. 국민취업지원제도 (구직촉진수당) – 석사박사도 6개월 간 50만원 지원 나이·소득 등 요건을 충족하면 최대 6개월간 매월 50만 원의 구직촉진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석박사가 취업 준비 기간에도 생활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취업 성공 시 최대 150만 원의 취업성공수당이 추가 지급됩니다.[구직촉진수당 바로가기] 2. 청년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지원 –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50% 할인 청년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지원제도는 만 34세 이하 청년에게 연간 3회까지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의 50%를 지원합니다.사회조사분석사, 기계기사, 정보처리기사 등 연구·기술직 취업에 필요한 자격시험이 포함되어 자격 취득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지원사업 안내 바로가기] 3. 캐치카페 – 취준생을 위한 무료 공간 제공 캐치카페는 대학생과 졸업 10년 이내 졸업생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카페 공간과 음료를 제공합니다.따라서 석·박사 취준생도 카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자기소개서 작성, 논문 작업, 면접 준비 등 취업 관련 활동에 활용해 카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캐치카페 바로가기] 취업을 준비하는 석사 박사라면 아래 아티클도 도움이 되실거예요. · 석사 PT면접 이렇게 준비하면 설득력이 달라집니다. [여기를 클릭]· 박사 후 연구원에게 연봉 9천만 원 보장하는 이 사업 [여기를 클릭] · 석박사 교원 구직자를 위한 비전임교원 가이드 [여기를 클릭] · 오늘의 석박사 인기 공고 [여기를 클릭]
해외취업정보
영국에서 석박사로 취업하려면? 2025 비자부터 현지 생활 정보까지 총정리
영국에서 연구자로 커리어를 쌓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비자, 취업, 생활 등 복잡한 제도 속에서 석·박사 연구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만 모은 콘텐츠를 찾고 계셨다면, 이 글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목차 영국 취업 정보 영국 비자 및 행정 절차 영국 현지 적응 및 생활 정보 커리어 성장 전략 1. 영국 취업 정보 📌 취업 유망 분야 1)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과학 분야 2035년까지 프로그래머 직군이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돼요. STEM 분야 전반에서 190만 명 이상의 인력 수요가 예상되고 있으며, 기업 60%는 숙련된 기술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어요. 고연봉·성장성·민간 수요가 모두 높은 최고 유망 산업군 중 하나예요. 2) 생명과학 및 바이오 연구 분야 2022년 한 해에만 제약 산업에서 약 90억 파운드 규모의 R&D 투자가 진행됐을 만큼 생명과학은 영국 정부가 전략적으로 육성 중인 핵심 산업이에요. HESA 조사에서도 박사 졸업자의 상당수가 의료·바이오 R&D 분야로 진출하고 있어요. 기업 연구소와 공공 연구기관 모두 박사급 연구 인재 수요가 지속적이에요.장기 프로젝트 중심의 연구 환경과 전문성 확보 측면에서 석·박사 졸업자에게 매우 적합한 분야예요. 연구원 평균 연봉: £40,000~£46,000 3) 학계/고등교육 분야 (대학 교수직 등) 박사 졸업자의 최다 취업 분야는 여전히 대학 교수·강사직으로 조사됐어요. 연구와 교육을 병행하며 안정적인 커리어를 구축할 수 있어 꾸준히 인기가 높아요. 2035년까지 영국 교육 분야에서 약 100만 명의 전문 인력 수요가 예상됩니다. 영국 고등교육기관 교수 평균 연봉: 약 £52,600 📌 취업 관련 정보 영국 노동시간법 영국의 법정 근로시간은 1주 기준 48시간이고, 17주(reference period) 평균으로 계산돼요. 고용주와 근로자는 법정 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는 것에 서면으로 동의할 수 있는데, 이를 ‘주 48시간 옵트아웃(48-hour week opt-out)’이라고 해요. 일부 직군(비행기 승무원, 경찰 등)은 옵트아웃이 불가하고, 학생비자 소지자는 학기 중 주당 최대 20시간까지만 근무할 수 있어요. [참고] 영국 노동시간법 휴가 제도 2025년 영국의 법정 공휴일은 총 8일이에요. 1) 유급휴가 - 주 5일 근무 기준 연 28일 이상이며, 법정 공휴일 포함 가능 - 파트타임 근로자의 경우 유급 연차 일수는 근무 일수에 비례하여 계산 [참고] 영국 휴가제도 2) 출산휴가 - 총 52주 (26주 기본 출산휴가 + 26주 추가 출산휴가) - 출산 직후 2주는 반드시 휴가 사용 - 임금 인상, 휴가, 직장 복귀 보장 [참고] 영국 출산휴가 및 육아수당 3) 병가 - 병가 4일 차부터 최대 28주까지 법정 병가 급여(Statutory Sick Pay, SSP) 지급 - 2025년 4월 1일부로 법정 병가 수당은 주당 £118.75 [참고] 영국 병가 제도 국민연금 1) 기본 국민연금 - 2025년 4월 기준 기본 납입 금액은 주당 £230.25, 국민연금 수령은 66세부터 가능 - 국민연금은 매년 소득-평균 임금 상승률이나 CPI로 측정한 영국의 가격 상승률, 2.5% 중 가장 높은 요율을 적용하여 인상 [참고] 영국 국민연금 2) 직장 연금 - 2025년 4월 기준 고용주는 3%, 피고용인은 최소 5% 납입 - 등록 조건: · 영국 내 근로자 · 22세에서 국민연금 수령 연령 사이인 경우 · 연간 최소 £6,240 수입이 있는 경우 [참고] 영국 직장 연금 개인 소득세 - PAYE(Pay As You Earn)* 시스템을 통해 소득세 납부 *PAYE : 급여 지급 시 소득세와 국민보험료가 매월 자동으로 공제되어 HMRC에 납부됩니다. 이를 통해 납세자는 연간 세금을 분납할 수 있어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 각 근로자는 개인의 면세 한도, 추가 소득, 기타 조정사항 등이 반영된 고유의 Tax Code(세금 코드)를 부여 받고, 해당 코드에 따라 세금 계산 - 소득별 과세율: · £12,570 이하: 0% (Personal Allowance) · £12,571 ~ £50,270: 20% (Basic rate) · £50,271 ~ £125,140: 40% (Higher rate) · £125,140 이상: 45% (Additional rate) [참고] 영국 개인 소득세율 [참고] HMRC(HM Revenue&Customs) 온라인 서비스 📌 비즈니스 에티켓인사 및 복장 - 비즈니스 미팅 시 어두운 정장 권장 - 악수나 인사 전 반드시 상대의 의사를 묻는 것이 예의 커뮤니케이션 - 공식 석상에는 Mr., Ms., Dr., Professor 등 호칭 사용 - 작위를 보유한 경우에는 ‘Sir’, ‘Dame’, ‘Lady’ 등 호칭 사용 - 상대방이 이름을 먼저 허용하기 전까지는 성과 호칭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예의 2. 비자 및 행정 절차 비자 종류에 따라 자격 요건, 체류 기간, 절차가 다르니 각 비자별 내용을 반드시 확인해주세요. 2025년 1월부터 모든 비자가 전자비자(eVisa) 형태로 전환되었고, BRP/BRC 및 스티커 비자는 더 이상 발급되지 않아요. [참고] Apply to come to the UK [참고] 대한민국 국민 기준 상황별 필요 비자 확인하기 📌 관광비자 (Standard Visitor) 단기 출장, 학회 참석, 가족 방문 등을 위한 일반 방문 비자 체류 기간- 대한민국 여권 소지자는 무비자 입국 후 최대 6개월까지 체류 가능- 도착 시 ‘Standard Visa’ 자격이 부여됨 구비 서류 및 절차 - 2025년 1월부터 전자여행허가제(Electronic Travel Authorisation, ETA) 사전 승인 필수 - ETA 신청 비용은 £16이며, 유효기간은 2년 또는 여권 만료일 중 더 이른 날짜 - 신청은 온라인(gov.uk/eta)으로 진행하며 평균 3일 소요 - ETA가 입국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최종 입국 여부는 영국 국경관리국(Border Force)의 판단에 따름 유의사항 - 체류 중 취업·자영업은 불가하며 회의 참석, 시험 응시, 의료서비스 이용, 교환학생 프로그램 등은 가능 - 6개월 체류 후 반복적인 입국 시도는 입국 거절 사유가 될 수 있음 📌 학생비자 (Student Visa) 영국 내 학위 과정 이수를 위한 대표적인 유학 비자 체류 기간 - 학위 과정이 degree level인 경우 최대 5년, 그 미만 과정은 최대 2년까지 체류 가능 - 입국은 과정 시작 전 최대 1개월(6개월 이상 과정 기준) 가능 - 졸업 후에는 Graduate Visa로 전환하여 최대 2~3년간 추가 체류 가능 구비 서류 및 절차 - 공인교육기관의 입학허가서(CAS) - 학비 및 생활비 자금 증명 (월 £1,483, 약 9개월분 잔액) - 영어 듣기·말하기·읽기·쓰기 전 영역 능력 증명 (IELTS Academic 기준 5.5~6.5 수준) - 만 18세 미만일 경우 부모 또는 보호자의 유학 동의서 - 이민 건강 추가 부담금(Immigration Health Surcharge, IHS) 납부 - 온라인 신청 수수료 £524 유의사항 - 졸업 후 Graduate Visa 전환 가능 (2025년 기준 최대 18개월 체류 가능) - 배우자·자녀 동반 가능하지만, 석사 이상 과정 또는 정부 후원 과정 등 조건 충족 필요 -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할 경우 Graduate Visa 또는 Skilled Worker로 전환 가능 [참고] Student Visa 상세 안내 📌 졸업생 비자 (Graduate Visa) 영국 학위 취득 후 현지에서 자유롭게 취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비자 체류 기간 - 학사 및 석사는 최대 2년, 박사 또는 박사후연구원(Postdoc)은 최대 3년 구비 서류 및 절차 - 영국 내에서 유효한 학생비자(Student/Tier 4) 또는 영국 내 학사, 석사, 박사학위 소지 - 공인 교육기관이 Home Office에 '과정 이수 완료' 보고한 이후 온라인 신청 - 신청 수수료 £880, IHS 연간 £1,035 납부 유의사항 - Student Visa 자격이 되는 학위 과정일 경우 신청 불가 - 배우자 및 자녀 동반 가능 (이전 학생비자에 동반자 등록되어 있었던 경우) - Graduate Visa로는 연장 불가하지만, Skilled Worker 등 다른 비자로 전환 가능 - 대부분의 직종에서 근무 가능하며, 자영업·자유계약·자원봉사 활동도 허용 - 입국은 과정 시작일 기준, 6개월 이상 과정은 최대 1개월 전, 6개월 이하 과정은 최대 1주 전부터 가능 [참고] Graduate Visa 상세 안내 📌 취업비자(Skilled Worker Visa) 영국 내 고용주의 스폰서를 받아 일정 수준의 숙련 직무에 종사할 수 있는 비자 체류 기간- 최대 5년, 이후 연장 또는 영주권 신청 가능 구비 서류 및 절차- 스폰서 고용주로부터 스폰서십 증명서(CoS, Certificate of Sponsorship) 발급- 직무에 따른 최소 연봉 요건 충족 (2025년 기준 £38,700)- 학사 이상 학위 및 영어 능력 증명 유의사항- 스폰서가 변경되면 비자 재신청 필요- 가족 동반 가능 [참고] Skilled Worker Visa 상세 안내 📌 청년교류제도 비자(Youth Mobility Scheme Visa) 영국에서 최대 2년간 일하고 여행하며 국제 경험을 쌓고 싶은 만 18~35세 청년을 위한 워킹홀리데이 비자 체류 기간- 기본 2년 구비 서류 및 절차- £2,530 이상 자산 보유- 신청비용 £319- IHS 연간 £776 납부- 신청은 입국 예정일 기준 6개월 전부터 가능- 신청 후 생체정보 등록하며, 평균 3주 내 결과 통보 유의사항 - 대부분의 직종에서 취업 및 자영업 가능 - 자영업 시 사무실 임대나 직원 고용은 불가하며, 장비 금액은 £5,000 이하만 가능 - 가족 동반 신청이 불가하여 동반인은 별도 비자 신청 필요 - 영국과 청년교류제도 비자 협약을 맺은 일부 국가의 국적자만 신청 가능 [참고] Youth Mobility Scheme Visa 상세 안내 📌 주재원 비자(Global Business Mobility-Senior or Specialist Worker visa) 다국적 기업의 해외 지사 직원을 영국 내 지사로 파견하기 위한 숙련 인력 전용 비자 Global Business Mobility 비자 5가지 유형 중 하나로, 이전의 Intra-company Transfer Visa 대체 체류 기간- CoS(Certificate of Sponsorship) 기재 기간 + 14일 또는 5년 중 짧은 기간 적용- 연봉 £73,900 미만이면 6년 중 최대 5년까지 체류 가능- 연봉 £73,900 이상이면 10년 중 최대 9년까지 체류 가능- 2011년 4월 6일 이전 Tier 2 ICT 장기체류 비자 소지 후 계속 근무 중이면 최대 체류 제한 없음 구비 서류 및 절차- 영국 내 승인된 스폰서 기관의 고용 및 영국 정부가 발행한 스폰서십 증명서(Certificate of Sponsorship, CoS)- 특정 숙련 직무에 해당하는 기술 수준 충족- 연봉 최소 £52,500 이상- 신청비용 * 해외: 3년 체류까지 £769, 초과 시 £1,519 * 영국 내 연장·전환: 3년 체류까지 £885, 초과 시 £1,751- 연간 IHS 납부도 필수- 입국 예정일 기준 최대 3개월 전 신청 가능- 신청 후 생체정보 제출- 해외 신청 시 평균 3주, 영국 내 신청 시 평균 8주 소요 유의사항- 승인된 스폰서 기관에서 지정 직무 수행 가능- 배우자·자녀 동반 가능 (동반자 비자 별도 신청)- 공공기금·연금 수령 불가- 허가 없이 직종 변경·겸업 불가- 영주권(ILR) 직접 신청 불가, 다른 비자로 전환 필요- 등록 자선단체, 법정기관 등 한정으로 자원봉사 가능 [참고] Senior Specialist Worker Visa 상세 안내 📌 혁신 창업자 비자(Innovator Founder Visa) 혁신적이고 시장에 없는 새로운 비즈니스를 영국에서 설립·운영하려는 창업자를 위한 비자 체류 기간- 최대 3년- 12개월·24개월 시점에 승인기관(endorsement body)과 성과 점검 필수- 비자 만료 전 3년씩 추가 연장 가능, 연장 횟수 제한 없음 구비 서류 및 절차- 인증된 공인 기관의 혁신성·실현 가능성·성장성 평가 통과 및 승인서 발급- 일자리 창출과 시장 확장 가능성을 포함한 구체적인 비즈니스 계획 - B2 수준의 영어 능력 증명: SELT 통과 또는 영어로 강의된 학사 학위 이상의 학업 수준 보유- 충분한 재정 자원 보유 증명 필요- 승인 수수료 £1,000, 승인기관 미팅당 £500 추가 납부이며 체류 중 2번 이상 미팅 필수- 신청비용 * 해외: £1,274 * 영국 내 연장·전환: £1,590- IHS 납부 필수- 해외 신청 시 평균 3주, 영국 내 신청 시 평균 8주 소요 유의사항- 영국 거주 3년 이후부터 영주권(ILR) 신청 가능- 승인받은 사업 설립 및 운영 가능, 외부 직업도 레벨3 이상이면 허용- 배우자·자녀 동반 가능 (동반자 비자 별도 신청)- 공공기금 수령 및 전문 스포츠 직종 활동 불가- 승인기관이 승인을 철회하면 비자가 조기 종료될 수 있음 [참고] Innovator Founder Visa 상세 안내 📌 세계일류대학 비자(High Potential Individual Visa, HPI) 영국 정부 지정 세계 상위 대학 졸업자에게 졸업 후 단기 체류·취업 기회를 제공하는 비자 체류 기간- 석사·학사 학위 소지자는 2년- 박사 학위 소지자는 3년- 연장 불가, 만료 전 다른 비자로 전환 가능- HPI 비자 기간은 영주권 신청 시 체류 기간에 포함되지 않음 구비 서류 및 절차- 최근 5년 이내 영국 정부 지정 세계 상위 대학에서 학위 취득- 재정 요건으로는 최소 £1,270를 28일 연속 보유해야 하며, 신청일 기준 31일 이내 증빙(12개월 이상 유효비자로 영국 거주 시 면제 가능)- 배우자·자녀 동반 가능, 동반자는 별도 재정 증빙 필요- 영어 능력 증명 필수- 학위 인증 비용 £252(Ecctis, VAT 포함)- 신청비용 £880- IHS 연간 £1,035 납부- 해외 신청 시 평균 3주, 영국 내 신청 시 평균 8주 소요 유의사항- Student Visa 대상이 아닌 경우에만 발급 가능- 대부분의 직종에서 근무, 구직, 자영업 가능- 민감한 주제를 연구할 경우 ATAS(Academic Technology Approval Scheme) 인증서가 필요할 수 있음 [참고] High Potential Individual Visa 상세 안내 3. 현지 적응 및 생활 정보 1) 은행 계좌 개설 영국의 주요 은행은 Barclays, HSBC, NatWest, Lloyds, Monzo, Revolut 등이 있어요. 계좌 개설 시 여권과 주소지 증명이 필요하고, 온라인 또는 예약 후 지점에 방문해 신청해요. 직불 카드는 개설 후 약 1주일 내 우편 발송되며, PIN 번호는 별도 우편으로 발송됩니다. PIN 변경은 ATM 또는 은행 창구에서 가능해요. 2) 주택 임차 매물 검색은 Rightmove, Zoopla 등 온라인 부동산 플랫폼이 일반적이고 oxtons, Savills, Hawe & Co 같은 중개업소를 직접 방문할 수도 있어요. 중개 수수료는 집주인이 부담하고, 임차인은 보증금만 납부해요. 보증금은 연간 임대료 £50,000 미만이면 5주치, 그 이상이면 6주치까지 청구할 수 있어요. 예약금(Holding Deposit)은 1주치 이하로 요구 가능하며, 환불이 원칙이에요. 입주 전 비품목록(Inventory List)을 작성하고, 사진 기록을 남겨 퇴거 시 원상복구 비용 산정에 활용하세요. 계약 종료 의사는 만료일 1~3개월 전에 서면 통보해야 해요. 3) 건강보험 가입(National Insurance, NI) 영국의 국민보험은 건강보험, 연금, 실업급여 등 사회보장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예요. 영국 외에서 파견된 직원도 원칙적으로 NI를 납부해야 하고, 다른 국가의 사회보장 적용을 증명하는 서류가 있으면 면제 가능해요.납부 대상 - 만 16세 이상 - 피고용인: 주당 £242 초과 소득이 있는 경우 의무 납부 - 자영업자: 연간 이익 £12,570 초과 시 의무 납부 - 주당 £125~£242(피고용인) 또는 연간 £6,845 이상(자영업) 소득자는 납부 의무는 없지만, 기록 보호를 위해 납부한 것으로 간주- 필요 시 자발적 기여(voluntary contribution)로 기록 공백 방지 가능 클래스 구분 - Class 1: 피고용인 납부 - Class 2·4: 자영업자 납부 - Class 3: 자발적 납부 [참고] 영국 건강보험 제도 4) 운전면허 및 교통 한국과 영국은 운전면허 상호인정 협정을 맺고 있어, 입국 후 5년 미만 거주자이자 185일 이상 거주 증명이 가능하면 영국 면허로 교환할 수 있어요. 영국 면허 유효기간은 10년이며, 5년 이상 거주자는 신규 시험을 통과해야 해요. 구비서류는 외국 면허증 원본, 여권, DVLA D1 양식(우체국 발급), 대사관 확인서, 면허증 영문 번역본 및 공증서예요. 수수료는 £43이며, 발급까지 3주 이상 소요돼요. [참고] Exchange Foreign Driving License 5) 대사관 연락처 - 주영국 대한민국 대사관 겸 주국제해사기구 대한민국 대표부: +44 20 7227 5500 - 주영한국문화원: +44 20 7004 2600 - 외교·영연방·개발부(FCDO : Foreign, Commonwealth and Development Office): +44 20 7008 5000 4. 커리어 성장 전략 1) 영국 정부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 ① Royal Society University Research Fellowship (URF) - 주관기관: Royal Society (영국 왕립학회) - 대상: 자연과학 분야 박사 후 7년 이내의 초기 경력 과학자 - 지원 기간: 최대 8년 (5년 + 3년 연장 가능) - 지원 내용: 급여 80% 및 연구비 포함, 최대 £1.83M 지원 - 목적: 독립 연구자로의 성장 및 정교수 임용 기반 마련 ② Newton International Fellowship - 개요: 해외 출신 박사후 연구자를 대상으로 영국 기관에서 독립 연구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국제적 펠로우십 프로그램- 대상: 박사 취득 후 최대 7년 이내의 비영국 국적 초기 연구자 - 지원 기간: 최대 3년 - 지원 내용: 총액 최대 £420,000 (연간 연구비 최대 £8,000 포함), 인건비 및 연구비 전액 지원 - 목적: 영국-국제 연구 네트워크 형성 및 장기 협력 기반 마련 ③ UKRI Future Leaders Fellowships (FLF) - 주최: UK Research and Innovation (UKRI) - 개요: 다양한 배경(학계·산업·비학문 분야)의 초기 경력 연구자 및 혁신가를 지원하는 UK 전역 규모의 펠로우십 프로그램- 대상: 독립 연구자로 전환하려는 초기 경력 연구자 또는 혁신가 - 지원 기간: 기본 4년 + 조건부 최대 3년 연장 (총 최대 7년) - 지원 내용: 급여+연구비 포함하며 금액 제한 없음- 해외 출신 지원자 가능, 파트타임·잡셰어 지원 허용, 비박사 보유자도 경력으로 대체 가능- 목표: 연구 혁신의 새로운 리더 양성, 학계와 산업 간 경계 허물기 2) 영국 민간 및 산업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 ① BioNTech–UK Government R&D Partnership - 주관기관: BioNTech (독일 기반 생명과학 기업) - 대상: mRNA 기반 암 치료 및 백신 연구 개발 기업 및 기관 - 지원 기간: 10년간 지속 예정 (2023~) - 지원 내용: 최대 £129M 규모 투자, R&D 허브 설립 및 연구자 고용 - 목적: 암 맞춤형 치료 연구의 영국 내 산업화 ② Oxford Science Enterprises (OSE) - 주관기관: OSE (민간 벤처캐피탈) - 대상: 옥스퍼드 대학에서 스핀오프된 과학·기술 스타트업 - 지원 기간: 제한 없음 (evergreen investment model) - 지원 내용: $800M 이상 운용자산. 창업 자금, 멘토링, 사업화 인프라 제공 - 목적: 대학 연구의 민간 기술 상용화 촉진 ③ UnLtd – Social Entrepreneurs Support - 주관기관: UnLtd (사회적 기업가 지원 민간 재단) - 대상: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스타트업 및 초기 기업가 - 지원 기간: 상시 지원- 지원 내용: £5,000~£20,000의 현금 지원, 코칭, 네트워킹 - 목적: 사회혁신 기반의 민간 창업 활성화 3) 연구 네트워크 만들기 ① National Postdoctoral Conference (British Academy ECR Network) - 주최: The British Academy Early Career Researcher Network - 대상: 영국 전역의 박사후연수연구원(Postdoc)을 대상으로 한 컨퍼런스- 내용: SHAPE(인문·사회과학) 및 STEM 분야 통합 네트워킹, 전문 개발 워크숍, 정책 관계자·편집자·출판사 관계자 만남 기회 제공- 일정: 2025년 9월 18일, 런던(10–11 Carlton House Terrace)에서 개최되며 참가비 무료- 목표: Postdoc 연구자 커뮤니티 형성, 다분야 협업 촉진, 경력 관련 지원 제공 - 참가 혜택: 프레젠테이션, 네트워킹, 리셉션, 멘토 기회 등 제공 ② British Academy Conferences - 주최기관: The British Academy (영국 인문사회과학 학술원) - 내용 * 인문 및 사회과학 분야의 세계적 학자들이 모여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대표적 학술 행사 * 주제별 워크숍, 정책 연계 발표, 네트워킹 기회 등 제공 * 영국 학계에서 매우 권위 있는 연례 회의로 평가받음- 개최 장소 및 방식: 런던의 British Academy 건물 또는 영국 내 다양한 기관, 온라인 병행 진행 가능 - 목표: 학문 간 교류 확대 및 최신 인문·사회과학 연구 주제 소개 ③ Royal Geographical Society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 주최기관: Royal Geographical Society- 내용 * 지리학, 환경, 도시계획, 경제·문화 지리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국제 학술 대회 * 연구 발표 세션, 포스터 발표, 정책·산업 관계자 패널, 기업 전시 등- 일정: 2025년 8월 26일~29일, University of Birmingham (온라인 병행) - 목표: 연구자, 정책입안자, 산업계 간 지리 관련 연구 공유 및 협력 증진 ④ SRHE International Research Conference - 주최기관: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내용: 교육 정책, 학습 환경, Equity & inclusion, 혁신적 교수법 등을 주제로 한 국제 컨퍼런스로, 박사과정·교수·교육 관련 전문가 참여- 일정: 2025년 11월 28일 (온라인), 12월 2–4일 (Nottingham, 영국) - 목표: 고등교육 연구 커뮤니티 강화, 정책·실천 기반 연구 교류 ⑤ National Astronomy Meeting (Royal Astronomical Society) - 주최: Royal Astronomical Society- 내용 * 영국 최대 규모의 천문학 및 관련 분야 학술회의로, 매년 개최되며 약 600명 이상의 연구자, 학생, 언론 관계자 등이 참석 * 천문학 연구 발표, 정책·산업 세션, 대중 강연, 커리어 관련 라운드테이블 등 포함- 일정: 2025년 7월, 듀럼 대학교 (Durham University)에서 개최 예정- 목표: 최신 연구 교류, 연구자-정책/산업계 관계 구축, 대중과의 소통 강화 - 참가 혜택: 연구 발표, 기자실 운영, 커리어 다양성 세션, 공공 프로그램 주요 컨퍼런스 · Med-Tech Innovation Expo | 2025-06-04 ~ 2025-06-05 · Autumn Fair 2025 | 2025-09-07 ~ 2025-09-10 · London Design Festival | 2025-09-13 ~ 2025-09-21 · Olympia Beauty | 2025-10-12 ~ 2025-10-13 · Spirit of Christmas Fair | 2025-11-03 ~ 2025-11-09 · IFSEC International 2025 | 2025-11-25 ~ 2025-11-27 · The Toy Fair | 2026-01-20 ~ 2026-01-22 · BETT UK 2026 | 2026-01-21 ~ 2026-01-23 · Spring Fair 2026 | 2026-02-01 ~ 2026-02-04 · MODA 2026 | 2026-02-01 ~ 2026-02-04 · International Food & Drink Event 2026 | 2026-03-30 ~ 2026-04-01 · International Franchise Show 2026 | 2026-04-17 ~ 2026-04-18 영국에서 연구자로 자리 잡는 과정은 쉽지 않지만, 제대로 된 정보를 갖추고 준비하면 충분히 해낼 수 있습니다. 비자부터 취업, 연구 펀딩까지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한 걸음씩 나아가 보세요. 진학프로가 프로님들의 새로운 도전을 응원하겠습니다.
학술연구정보
8월 1주차 연구과제정보 알림🔬
8월 1주차 연구과제 공고 모음 🔔 지금부터 준비하면 딱 좋은, 마감 한달 전 연구과제들을 확인해 보세요. · 2025년도 AI 모델을 활용한 항체 바이오베터 개발 및 실증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 2025년도 글로벌 K-cell뱅크·라이브러리 구축(세포특화연구소)(R&D)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 2026년도 한-일(JSPS) 협력사업 신규과제 공모(협력연구·공동세미나) · 2025년 2차 에너지국제공동R&D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 2025년도 AI 기반 표적맞춤형 의약품제조 자율랩 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이미지 클릭 시 해당 공고 사이트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