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백과사전

서울대 성과연봉제 도입 다시 이슈… 교수 연봉은 어떻게 달라질까?

서울대 성과연봉제 도입 다시 이슈… 교수 연봉은 어떻게 달라질까?

성과연봉제는 교수가 연구와 교육에서 어떤 성과를 냈는지에 따라 급여를 달리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지금까지 서울대는 재직 기간과 직급 등을 기준으로 급여가 올라가는 호봉제를 유지해 왔습니다. 성과연봉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된다면, 단순히 오래 근무하는 것보다 어떤 성과를 냈는지가 연봉을 결정하는 핵심 기준이 될 수 있어요.


다만 서울대가 이 제도를 공식적으로 도입한다고 발표한 적은 없으며, 올해 3월에는 “당장 도입 계획은 없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최근 주요 언론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평가 방식이 다시 보도되면서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았어요. 성과연봉제가 도입되면 연봉이 얼마나 오를지, 왜 이런 이야기가 계속 나오는지 궁금하셨다면 아래에서 차근차근 확인해보세요.



성과연봉제, 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을까?

성과연봉제가 꾸준히 언급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 해외 대학과의 보상 경쟁

최근 몇 년간 서울대에서 해외 대학으로 이직하는 교수자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국회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 5월까지 약 4년 동안 총 56명의 교수가 해외 대학으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이는 전체 교수 수의 약 2%에 해당하는 규모로 “보상 체계가 글로벌 경쟁력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대학 경쟁력 강화 필요성

연구와 교육의 질을 높이려면 기여도에 따른 보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꾸준합니다.

단순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여가 올라가는 구조보다는 성과에 맞춰 인센티브를 주어 연구 의욕과 책임감을 높이자는 주장이죠.



성과연봉제가 도입되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

아직 서울대가 성과연봉제를 공식적으로 확정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주요 언론사의 보도에 따르면 내부 검토 단계에서 아래와 같은 평가 방식이 논의되고 있어요.


정년 보장 교수의 성과를 S·N1·N2·U 네 등급으로 나누어 평가

· S(Satisfied): 상위 5%에 해당하며 기준 성과급의 200%

· N1(Normal1): 상위 45%에 해당하며 기준 성과급의 150%

· N2(Normal2): 약 50% 안팎에 해당하며 기준 성과급의 100%

· U(Unsatisfied): 징계나 표절 문제 등이 해당하며 성과급 미지급



주요 이해관계자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

👨‍🏫 대학 교수

성과가 공정하게 인정되면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습니다.

반면 평가 기준과 운영 방식이 아직 뚜렷하지 않아 신중하게 지켜보려는 분위기도 커요.


🏫 서울대

성과연봉제 도입 여부에 대해 서울대는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확정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재정 부담이 생기기 때문에 예산 확보와 구체적인 설계에 신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성과연봉제 자주 묻는 질문

Q. 서울대 성과연봉제는 언제 시행되나요?

일부 언론에서는 이르면 2025년 9월부터 일부 적용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서울대가 공식적으로 시기를 확정해 발표한 것은 아닙니다.


Q. 성과금이 생기면 연봉이 줄어들 수도 있나요?

평가 방식과 기준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영향을 지금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Q. 이미 성과연봉제를 적용하고 있는 다른 대학은 없나요?

네, 국립대와 카이스트 등 일부 대학에서는 성과연봉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서울 내 주요 사립대(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서강대 등)는 호봉제를 유지하는 곳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 왜 그동안 성과연봉제를 실시하지 않았나요?

대학 재정 부담이 큰 이유가 큽니다.

정부 정책으로 등록금 동결이 10년 넘게 이어지면서 대학 재정에 여유가 많지 않았습니다.


Q. 성과연봉제, 효과가 있나요?

성과에 따라 보상을 주는 방식은 실제로 연구 의욕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중앙대는 2009년 성과연봉제를 도입했고 이후 12년 동안 국제 논문 발행 건수가 2.5배, 학술지 피인용 횟수는 3.7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다만 효과를 꾸준히 내기 위해선 공정한 평가 기준과 안정적 재원, 제도에 대한 신뢰가 함께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서울대 성과연봉제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서울대 교수직 지원을 고민하고 계시다면, 앞으로 연봉제도에 관한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꾸준히 살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오늘 아티클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에서 석박사를 위한 더 많은 콘텐츠를 확인해 보세요.



· 헷갈리는 전임교원 직급 완벽 정리 [더 알아보기]

· 포닥 연봉 9천만 원 보장하는 [이노코어 사업 3분 요약]

· 미리 알아두면 쓸 데 있는 [교직생활 위기 대응법]

· 박사 희망 연봉 6천 만원… [현실은?]



2025.07.16 (Wed)

같이 보면 좋은 글